■ 형태서지
권수제
栗溪集
판심제
栗溪文集
간종
석인본(石印本)
간행년
미상
권책
22권 11책
행자
12행 28자
어미
上內向白魚尾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선간집수
■ 저자
성명
정기(鄭琦)
생년
1879년(고종 16)
몰년
1950년
자
경회(景晦)
호
율계(栗溪)
본관
서산(瑞山)
특기사항
1921년부터 3차례 독립활동을 위해 중국을 기행함.
■ 가계도
鄭臣保(시조)
鄭成儉
縣監
鄭僖
縣監
鄭仁濬
進士
高祖 鄭潤命
曾祖 鄭東珣
祖 鄭履仁
父 鄭煥禹
順天朴氏
朴奎祚의 女
鄭琦
鄭河鍾
鄭源鍾
女
金永大
女
姜武欽
秋溪秋氏
秋進燁의 女
■ 행력
왕력
서기
간지
연호
연령
기사
고종
16
1879
己卯
光緖
5
1
경상남도 합천군 율곡면 제내리)에서 태어났다.
제국
3
1899
己丑
光武
3
21
老柏軒 鄭載圭에게 나아가 수학하였다
제국
6
1902
壬寅
光武
6
24
鄭載圭, 崔益鉉, 奇宇萬 등의 泉隱寺 강학에 참여하였다.
제국
9
1905
乙巳
光武
9
27
항일을 위해 鄭載圭와 함께 崔益鉉을 만났다.
1911
辛亥
宣統
3
33
스승 鄭載圭의 상을 당하였다.
1912
壬子
34
어머니의 상을 당하였다.
1914
甲寅
36
武山精舍를 짓고 후학들을 양성하였다.
1921
辛酉
43
21년부터 3차례 구국을 위해 요동을 방문하였다.
1927
丁卯
49
士友들과 함께 구례 덕천으로 이주하였다.
1928
戊辰
50
五爰齋와 德川亭을 짓고 후학들을 양성하였다.
1950
庚寅
72
병환으로 별세하였다.○ 구례 죽천에 장사지냈다.
1967
丁未
지역민과 문인들이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에 德川祠 건립하여 제향하였다.
■ 생애
『율계집(栗溪集)』은 정기(鄭琦 : 1879-1950)의 시문집이다. 22권 11책 석인본으로 간행되었다. 정기의 초명은 재혁(在赫), 자는 경회(景晦)이고, 호는 율계(栗溪), 본관은 서산(瑞山)이다. 시조는 정신보(鄭臣保)이고 휘 성검(成儉) 때부터 합천군 율곡면에서 살기 시작했다. 고조(古祖)는 휘 윤명(潤命)이고, 증조는 휘 동순(東珣), 조부는 휘 이인(履仁)이다. 아버지의 휘는 환우(煥禹)이고, 어머니는 순천박씨(順天朴氏) 박규조(朴奎祚)의 딸이다. 정기는 1879년(고종16) 11월 6일 율곡면 율진리(현 경상남도 합천군 율곡면 제내리)에서 3남 3녀 중 3남으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외모다 남다르고, 자질도 뛰어났으나, 1894년 갑오개혁 이후 과거 시험이 폐지되고, 또 흉년을 당하여 공부를 계속 할 수 없었다. 18세인 1896년에 아버지의 상을 당하여,1)1) 『曉堂先生文集』에 있는 정기의 행장에는 "丙午遭外根"으로 되어있으나, 『栗溪集』, 권22에 있는 정기가 쓴 「先考松菴府君行狀」에는 "丙申六月初七日辰時也 壽僅五十九"로 되어 있다. 이를 보아 정기의 부친은 1896년에 별세한 것이며 효당의 행장은 오기인 것으로 보인다.
삼년상을 마친 뒤 공부에 소홀이 하다 어느 날 문득 독서를 하고 학문에 힘쓰는 것과 공명을 세워 세상에 쓰임이 되는 것 중 무엇을 선택해야 할 것인가[士當讀書窮學問 爲世名儒 其次入功名以需當世 爲大丈夫 吾奚擇焉]를 생각하고는 결국 독서를 하기로 하여[吾惟有讀書耳] 그 때부터 문을 닫고 공부에 몰두하기 시작하였다.
1899년인 21세 때 기양(岐陽, 현 경남 합천군 쌍백면 육리 묵동)의 노백헌 정재규(老柏軒 鄭載圭)에게 나아가 수학하였다. 노백헌은 그에게 『대학(大學)』을 읽게 하고 그 가르침을 중요시하여 이를 따라 공부하였다. 그즈음 집안이 어려워져 돈을 빌리면서 스승을 왕래하기를 오래할 수 없었다. 이에 가족을 이끌고 노백헌의 거처 근처로 이사하여 스승을 도우면서 학문에 정진하였다. 1902년 가을 3일간 스승 정재규와 최익현(崔益鉉), 기우만(奇宇萬) 등이 천은사(泉隱寺) 강학에 참여하였다.
1905년 27세 때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노백헌은 뜻을 같이 하는 여러 동문과 제자들을 이끌고 대항하기로 하였는데,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이 조약을 폐기하고 조약을 체결한 오적을 처단하라는 상소를 올리고 상경하여 배알하고자 했으나 하지 못하고 물러나 통곡한다는 소식을 듣고 노성(魯城, 현 논산)의 궐리사(闕里祠)로 가서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을 만났다. 정기는 눈바람을 무릅쓰고 조정에 올라가 상소를 올리려 했으나, 스승 노백헌이 만류하여 그만 두었다. 그러나 항상 1881년 황쭌센[黃遵憲]의 『조선책략(朝鮮策略)』을 비판하는 상소를 올리다 참형을 당한 홍재학(洪在鶴)과 1882년 남산에 봉화를 올리고 척사상소를 제출하여 투옥되었다가 결국 옥사한 백낙관(白樂寬)과 같은 유생들처럼 상소하여 투신하지 못한 것을 한스러워 하였다.
이때부터 세상이 바뀌어 경학을 공부하던 유생들이 옛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구하는 경우가 왕왕 있었는데, 정기는 이를 개탄하며 「답객설(答客說)」지어 비판하였다. 1911년 33세에 봄 스승 노백헌이 세상을 떠나니 부모의 상을 당한 것처럼 슬퍼하였고, 이듬해인 1912년에는 어머니 상을 당하였다. 이에 크게 상심하여 병을 얻었는데, 사람들이 말렸으나 몸도 돌보지 않고 고기도 먹지 않으며 상례를 치루었다. 1914년 봄 무산(武山, 현 합천군 대양면 무곡리)에 무산정사(武山精舍)를 짓자 가르침을 받고 교류하고자 밤낮으로 모여들었다. 이 때 「학규십조(學規十條)」를 지어 동학들과 후학들을 독려하였다. 비록 은거하였으나 세상의 일을 잊지 않아서 1921년부터 세 차례나 요동(遼東)으로 가서 동지들과 함께 형세를 살폈으나 일본의 세가 더욱 커지는 것을 보고 개연히 돌아와 동으로 금강산, 남으로 두류산까지 명산들을 찾아다니면서 울분을 씻으려 하였다.
1927년 겨울 제생(諸生)들을 이끌고 구례 덕천(德川, 현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 덕천마을)으로 이주하여 그 이듬해 1928년 오원재(五爰齋)와 덕천정(德川亭)을 짓고 후학들을 양성하였는데, 수많은 호남의 인사들이 찾아와 수학하기를 청했고, 비문을 구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구례에서 후학 양성에 매진하다 향년 72세인 1950년 10월 3일에 수년간 앓던 병환이 심해져 덕천정(德川亭)에서 별세하였다. 이 때 6.25 전쟁 중이었기 때문에 예를 다 갖추지 못하고 죽촌(竹村, 현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 죽천마을)의 북쪽에 장사를 지냈다. 그러다 몇 년 후에 순천 황전면(현 순천시 월등면 월용리)로 이장하였으며, 1967년에는 지역민과 문인들이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에 덕천사(德川祠) 건립하여 제향하였다. 부인은 추계추씨(秋溪秋氏)로 추진엽(秋進燁)의 딸이며 2남 2녀를 낳았다. 아들은 하종(河鍾), 원종(源鍾)이며 딸들은 김영대(金永大), 강무흠(姜武欽)에게 출가했다.
■ 구성과 내용
『율계집(栗溪集)』은 서(序)와 발(跋)이 없어 간행시기와 간행인 간행경위 등을 알 수 없다.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전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있다. 22권 11책과 목록집이 1책 있다. 1권과 2권은 시 444편, 3권부터 8권에는 서(書) 323편, 9권부터 12권에는 잡저(雜著) 44편, 13권에는 서(序) 71편, 14권에는 기(記) 64편, 15권에는 발(跋) 26편, 잠(箴) 3편, 명(銘) 17편, 찬(贊) 3편, 제사(題辭) 6편, 애사(哀辭) 8편, 상량문(上樑文) 9편이 실려 있으며, 17권에는 비문(碑文) 19편과 묘지명(墓地銘) 34편이 있으며, 18권부터 20권에는 묘갈명(墓碣銘) 123편, 21권에는 묘표(墓表) 55편, 22권에는 행장 16편과 전(傳) 9편이 실려 있다.
1권과 2권은 시집인데 1권에는 145편, 2권에는 299편이 실려 있다. 대체로 스승, 사우, 후학 등 교류인들과의 수창(首唱), 만시(輓詩), 기행시(紀行詩) 등이 다수이다. 주로 우국의 감정이나 국권피탈에 대한 울분을 토로한 시들이 많다. 특히 율계는 구국을 위해 1921년부터 3차례 요동행을 선택하기도 했고, 구국의 계획이 이루어지지 못한 뒤에는 명산대천을 기행하기를 자주했기 때문에, 기행시의 분량이 많은 편이다. 「을밀대(乙密臺)」, 「임술팔월기망등종남산(壬戌八月旣望登終南山)」, 「서석산가(瑞石山歌)」, 「월출산(月出山)」 「벽한정(碧寒亭)」 등은 국내를 돌아다니며 산수를 읊은 시들이며, 「제중국지도(題中國地圖)」, 「관절강도유감(觀浙江圖有感)」, 「차기절강정준경(次寄浙江鄭俊卿)」, 「읍아국유민(泣我國流民)」, 「도압록강(渡鴨綠江)」, 「심양강상억삼학사(瀋陽江上憶三學士)」 등은 구국을 위해 계획했던 중국기행을 쓴 시들이다. 이런 시들에서도 우국의 울분과 구국의 걱정이 담겨있는 시들이 많다. 이외에도 충렬사에 가서 임진왜란 때를 회고했던 「노량알충열사(露梁謁忠烈祠)」 , 단국부터 시작하는 상고사부터 우리나라의 역사를 읊으면서 일본의 지배가 부당함을 알리고, 광복을 바라는 내용인 담긴 장편서사시인 「화동역대가(華東歷代歌)」, 그의 성리학적 시세계를 엿볼 수 있는 「무산정사(武山精舍)」 12수, 「성학십도(聖學十圖)」, 「덕은구곡차무이도가운(德隱九曲次武夷棹歌韻」 등도 있다.
3권부터 8권에는 서(書) 323편이 있는데, 권3에는 32편, 4권에는 50편, 5권에는 51편, 6권에는 53편, 7권에는 16편, 8권에는 58편의 서간이 실려 있다. 편지는 노사의 주리론에 대한 문답과, 간재 전우가 노사의 「외필(猥筆)」을 반박한 것에 대한 내용을 있는 스승 노백헌 정재규에게 보낸 편지들과 1902년 면암의 항소척왜(抗疏斥倭)의 뜻을 따르고자 하면서 우국의 심경을 토로한 「상면암최선생(上勉菴崔先生), 을사조약 때 상소를 올렸던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를 독려하고 오적을 규탄하는 내용을 보낸 「상곽면우(上郭俛宇)」 등의 편지들이 있다. 이외에도 송사 기우만, 일신(日新) 정의림(鄭義林) 등 많은 문인, 사우들과 나눈 서간들이 실려 있다.
9권부터 12권에는 잡저(雜著) 44편이 있는데, 9권에는 잡저 2편, 10권에는 34편, 11권에는 5편, 12권에는 1편이 있다. 9권에는 1899년 노백헌 문하에 들어가 가르침을 받고 살았던 일들을 날짜별로 기록한 「계상수록(溪上隨錄)」, 근래 이체기용(理體氣用)의 설들이 많은 것을 한탄하며 주리론을 중심으로 정리한 「누하쇄언(樓下瑣言)」이 실려 있고, 10권에는 성리학적 논설을 담은 「격물해변(格物解辨)」, 「하영봉맹자도응장강수변(夏靈峯孟子桃應章講授辨)」 등과 같은 변(辨)이나 설(說)이 많다. 또 1917년 영동지방을 기행하면서 쓴 「영동기행(嶺東紀行)」도 있다. 11권에는 노사의 「납량사의(納凉私議)」와 「외필(猥筆)」를 반박한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의견을 논박한 「외필후변변(猥筆後辨辨)」, 「변간재시제생설(辨艮齋示諸生說)」, 「변전간재관정백헌집외필변변(辨田艮齋觀鄭柏軒集猥筆辨辨)」, 「관전간재집(觀田艮齋集)」 등이 있다. 율계의 스승 노백헌 또한 간재의 「외필변(猥筆辨)」을 보고 논박을 했는데, 후 간재가 쓴 「외필후변(猥筆後辨)」을 보고 「외필후변변(猥筆後辨辨)」을 통해 스승 노백헌의 변론에서 거론되지 않았던 사항을 위주로 전개하여 논의를 심화시켰다. 12권에는 『소학(小學)』의 가르침을 정리하고 차록한 「소학차록(小學劄錄)」이 있다.
13권에는 서(序) 71편이 있는데, 많은 문인들의 문집(文集)과 여러 집안의 파보(派譜), 가승(家乘) 그리고 계안(契案) 등의 서문이 다수이다. 그 중 당대 윤리 기강이 퇴폐하자 이를 바로잡고자 쓴 『계고통편(稽古通編)』의 서문인 「계고통편서(稽古通編序)」와 예학을 바로잡고자 편찬한 『사례의(四禮儀)』의 서문인 「사례의서(四禮儀序)」 등이 있다. 또한 「약헌유고서(約軒遺稿序)」, 「황파유고서(黃坡遺稿序)」 등의 서문에서는 문이재도(文以載道)를 중시하는 율계의 문장론을 엿볼 수 있다.
14권에는 기(記) 64편이 실려 있는데, 「야산재기(也山齋記)」, 「죽림재기(竹林齋記)」, 「효자김공정려기(孝子金公旌閭記)」, 「백음당기(柏陰堂記)」 등과 같이 대부분 여러 집안들의 사당이나 재각, 또는 문인들의 누정이나 서재 등에 관한 기문이 다수이다. 그 중 「덕천기(德泉記)」, 「오원재(五爰齋)」에서는 후학들을 양성했던 덕천의 산수와 사우들을 이끌고 정착해 오원재(五爰齋)와 덕천정(德川亭)을 짓고 후학들을 양성한 내용을 볼 수 있다. 이외에도 「유백양산기(遊白羊山記)」, 「남유사산기(南遊四山記)」와 같은 기행을 기록한 기문도 있다. 15권에는 발(跋) 26편, 잠(箴) 3편, 명(銘) 17편, 찬(贊) 3편, 제사(題辭) 6편, 애사(哀辭) 8편, 상량문(上樑文) 9편이 실려 있는데, 발은 대체로 「노백헌선생연보발(老柏軒先生年譜跋)」, 「서송사선생연보후(書松沙先生年譜後)」, 「서만산이공유고후(書晩山李公遺稿後)」 등과 같이 스승의 연보나 사우, 동학들의 문집 등에 쓴 것들이 다수이다. 잠은 「자경잠(自警箴)」, 「월호서실잠(月湖書室箴)」, 「입지잠(立志箴)」 3편이다. 16권에는 축문(祝文) 6편, 제문(祭文) 43편이 실려 있고, 17권에는 비문(碑文) 19편, 묘지명(墓地銘) 35편이 있다. 18권부터 20권에는 묘갈명(墓碣銘) 123편이 있는데, 18권에는 34편, 19권에는 57편, 20권에는 32편이 있다.
21권에는 묘표(墓表) 55편, 22권에는 행장 16편과 전(傳) 9편이 실려 있다 그 중 22권에 실린 9편의 전은 율계가 이상적으로 생각한 당대의 인물상이 잘 드러나 있다. 「남포허공전(南圃許公傳)」은 임진왜란 때 의병에 참가하여 전공을 세운 허일(許鎰)에 대한 내용이고, 「홍열사전(洪烈士傳)」은 『조선책략(朝鮮策略)』을 비판하는 상소를 올리다 참형을 당한 홍재학(洪在鶴)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두 작품 다 위험에 빠진 나라를 위해 투신한 지식인들의 삶을 담았다. 이외에도 뛰어났으나 요절한 선비의 삶을 담음 「양수사전(梁秀士傳)」, 열부와 효자의 삶을 담은 「남씨이씨효자전(南氏李氏孝子傳)」, 「김유인전(金孺人傳)」 등이 있다.
세부목차
卷 1
詩 : 雪中梅問答二首(丁未), 挽李監察(元吉)二首, 挽南應珍(相魯), 次金士文(周鉉)贈詩又足枝字兼簡林上故人, 統營北將臺觀海, 鑿梁橋, 挽崔强齋(東煥), 老柏書舍新成, 柏堂秋夕同權丈明湖(雲煥)緩石(晩熙)松山(載圭)及南立巖(廷瑀)唱酬, 送李惟常(嬖)歸湖西, 奉別隱求黃兄(澈源)兼呈李德受(承福)鄭元實(現采)兩君, 挽南黎許公(愈), 挽月皐趙公(性家), 挽春灘李公(奉鉉)二首, 偶題, 武山精舍十二詠, 精舍, 何求屋, 俱努宇, 留行寮, 懷露軒, 吟歸堂, 平川洞, 泰巖山, 金盤城, 鼠淸臺, 舒嘯臺, 鳴玉澗, 寄黃景涵二首, 靜夜, 寄德里沈孔玉(鎭禧)征櫶, 挽石愚權公(載斗), 喜盧孟善(浩容)送鳩, 夢與權松山李致善(敎宇)論心字二首, 聽寒樓, 酬文錦潭鄭鶴山(在祿), 挽秋文五(敎耘), 挽敬勝齋柳公(鍾源), 挽剛齋李公(承熙), 雨後觀瀑, 李惟常洪聖舞(淳佾)惠然來訪因與之登山寫懷, 責秋冽, 喜酬吳和益(錫杓)金士文(銖), 九日登國師峯, 庭菊盛開, 修巖亭次贈沈孟雷(鍾煥), 奉和鄭穉貞(元永), 挽安校理(孝濟), 挽洪晩悟(在守), 挽鄭守齋(鳳基), 梅花開盡有懷, 種菊, 方塘魚, 晏起偶題, 枕屛十疊貼付退陶先生所纂聖學十圖因各賦五言一絶題其下, 太極圖, 西銘圖, 小學圖, 大學圖, 白鹿洞規圖, 心統性情圖, 仁說圖, 心學圖, 敬齋箴圖, 夙興夜寐箴圖, 四月十四日啓嶺東行與沈孔玉共和(丙辰), 宿鶴洞之竹東樓, 松京懷古, 善竹橋, 金剛山, 毗盧峯, 六友亭與周玉峯(基鎰)沈愚山(庠基)共吟, 走筆效玉川體謝止岡子送桃, 送止岡子搬于靈川之鶴洞, 次文君敬之(在璣)壽親韻, 贈金汝夷(秉洙)二首, 挽權承旨(哲熙)二首, 挽沈愚山(庠基), 渡漢江, 平壤, 渡鴨綠江, 鳳凰城, 奉天道中, 丁香屯喜贈鄭思叔(邦勘), 長春驛望哈爾濱有懷, 吉林省二絶, 口贈吳和宣(政杓), 挽泰下周丈(東會)二首, 挽宰宇郭公(鍾錫)二首, 挽宋毅齋(鎬完), 和贈周敬一(永直)二首, 次海山亭韻呈寢郞鄭丈(演祈), 挽閔承旨(致鴻)三首, 挽李淸溪(熙瓊)二首, 挽朴貞山(熙凹), 偶吟二絶, 次龍陽亭韻, 挽崔健齋(正愚)二首, 山行, 不知菴夜坐, 挽文南沙(瑩), 挽沈孔玉, 壬戌八月旣望登終南山, 黃州月波樓, 登平壤牧丹峯, 謁箕子陵, 乙密臺, 永明寺, 浮碧樓, 大同江, 練光亭, 箕子井, 渡鴨綠江, 安東縣, 自安東至奉天七百里之間或原野平曠或石壁峻援往往有可遊可覽處而余三入于此每因忽未及下車窮搜恨也玆隨車中所覽以賦之, 瀋陽江上憶三學士二首, 與李憲在(寅燮)周魯瞻(正錫)鄭思叔觀覽淸帝行宮登鳳凰樓(王宮門樓)二首, 北陵二首, 遼野道中, 白塔, 闕帝廟, 奉天張督將與吳佩孚決戰盛修戰備役民治道, 整安堡觀日入, 泣我國流民, 奉天車站泣別鄭思叔三首, 遼陽歸路偶吟, 癸亥九月登不知菴舊墟黃花盛開口號二絶, 挽權石蕉(斗熙), 次韻題玉洞精舍, 過龍巖院墟桂山(宋在洛)西岡(柳遠重)恒齋(宋鎬坤)敦齋(柳相大)松山諸公各賦一絶請余和之, 龍門亭, 黃瀑, 涵碧樓立巖(南廷瑀)松山請次崔勉菴翁韻, 浩然亭, 題中國地圖二首, 觀浙江圖有感二首, 蓬泉紀行, 海雲臺觀海, 乙丑三月東遊嶺左渡洛東江周成三(時玉)亨洛(禹錫)各賦詩余賦一律和之, 道東書院謹次金慕齋先生板上韻, 謁陶山書院, 玉山溪亭次晦齋先生原韻二首, 東京懷古, 挽李友松, 挽文謙山(鏞), 悼河洙源(進海)六首, 悼沈子珍, 次龍門亭韻, 華東歷代歌, 挽金監役(琪淵), 九月與聖玉(金文鈺)景魯(金奎泰)相酬淸汝(秋淵蓉)進酒, 挽信菴李公(準九), 次雪松韻寄卞允中(晶基), 悼朴聖範(昌純), 次寄浙江鄭俊卿(良), 挽趙監役(鏞韶), 挽晦堂張公(錫英)三首, 丁卯七月一日夜夢與友人議求禮卜居事溪上先生時在些內聞之色喜曰求禮山水好田野闊可居也何更遲疑覺而賦二絶, 鄭直泉(燾基)自壇堂秋享歸命其子齎脯送之拜受有感, 挽李小南(相斗), 挽郭大淵(奫), 周君成三(時玉)以其本生大人六十一獻壽韻求和二首, 丁卯除夕述懷, 贈別淸汝兼寄和宣三首, 挽尹參奉(淳學), 次尹氏追慕齋韻, 贈別梁而見
卷 2
詩 : 德隱川九曲次武夷棹歌韻, 德川雜詠十八絶, 德川亭, 居然堂, 闇修室, 嘉貞門, 五爰齋, 詠歸壇, 觀瀾臺, 鼓樓巖, 濯纓潭, 盤陀石, 釜沼, 馬塗川, 玉山, 谷口亭, 大野, 兄弟峯, 蟾津江, 五峯山
又賦八景 : 沙灘風帆, 川塢脩篁, 鷄足山晴嵐, 金鰲山朝霞, 王甑峯夕照, 天王嶺暮雨, 月明山明月, 白雲山白雲, 龍湖亭次板上韻, 朝起用農巖集中詠曉景韻, 八月十九日與金瑞中(琫運)柳公寗(麟桓)周景宅(基仁)鄭聖文(敏圭)諸友宿鰲山寺(戊辰), 翌日宿修道菴, 鍾石臺口號二絶, 宋華石(祖憲)來訪與丹霞(李南儀)止堂遊德隱川之第二曲, 己巳仲秋同金丈瑞川(琪鍾)周君景宅發向故山經由雙磎寺宿于靑巖鶴洞崔仲悅(濟學)山庄, 過高隱洞有感, 矗石樓次板上韻, 偶吟三首, 德川亭楹聯, 冬霖連月不開潾潾四至, 朴君來善(令模)恐爲莫篤所尼請一言書此以贈, 二月二日與諸友登王甑峯遇雨(庚午), 十三日夕大風雨捲屋, 滯雨宿淸溪菴草幕, 題燕谷洞門, 庚午四月望日決策向天王峯與之偕者周景宅李晦而(弘榮)鄭聖文裵文五(彩奎)崔季源(錫洙)金聖玉金景魯也鄭鍵和順明自慶州適到亦偕焉, 宿石洞崔季源山庄, 雙磎寺, 佛日瀑, 宿靑巖崔仲悅家, 石門, 宿細石坪草幕, 登天王峯, 又賦長句二則發其餘意, 晦而賦五言古詩以示之輒次其韻, 將下山細雨下下, 宿義神村店, 過孤雲洗耳巖, 七佛菴, 宿神興店, 雨中行, 出山次一是先生韻, 卞生鍾元以其親堂六一係辰謀余所以頌禱者僅構一律以寒其請, 光陽望德山二絶, 挽周玉峯(基鎰), 追和金景儒(珍鉉)見贈, 漢江口號二絶, 挽宋桂山(在洛), 次贈寄孔吉(老善), 白羊寺雙磎樓次板上韻, 邊山來蘇寺, 采石江, 與趙石汀金濯新權松山奇仁伯(春度)李致善奇見五(淑度)梁伯慶(時模)遊三人山, 庚午夏余與松山果齋校松沙集于長城高山院仲秋將歸遊扶安之邊山西岡翁(柳遠重)及梧岡(權鳳鉉)素齋(鄭贊圭)諸公亦偕焉還至格浦以別鄕園之思於是尤切賦五言排律一篇呈諸公覽, 濯新金丈(漢穆)賦古詩一篇以識別謹次其韻以謝之, 次竹林齋韻, 松沙集刊所諸公各賦一律言志輒次其韻, 挽後石吳公(駿善), 挽尹誠齋(禹學), 挽宋恒齋(鎬坤), 次沈景晦(相福)花溪幽居韻, 次李聖中(錫鉉)壽宴韻, 挽趙石汀(寅錫), 一愚鄭丈(費錫)乘月枉訪仍賦其事以示之謹次其韻以呈, 贈別朴來善二絶, 規崔季源, 曠懷吟示聖玉景魯, 挽李東塢(斗煥), 挽鄭直泉(燾基), 中山齋會吟, 新安精舍講會後與檣山(閔用赫)松山果齋諸名勝占韻賦一絶, 贈朴悅可(魯澤)二絶, 挽閔正言(致亮), 挽趙潛溪(章燮), 挽林警堂(顯周)二首, 挽梁後松(相賀)三首, 挽吳子正(南洙), 盆荷三載一朶花始開, 挽沈茶泉(基煥), 次晩翠亭韻, 次南石齋韻, 奉和周子鳴(鳳會)留贈五首, 寶積菴次柳子德(塋業)見贈韻, 寶積菴春夜漫賦一律示從遊諸君, 朴來善趙明元(東昱)二君訪我於華嚴山房喜賦短律, 張生汝賢(永吉)以其大人翁六一係辰索詩於余, 挽高弦窩(光善), 挽崔參奉(元澤), 次呈金主事(澤均), 乙亥端陽節將向金聖玉福川寓庄吳敬立(柱錫)金元善(奎祥)張汝賢從之二首, 宿仙巖寺, 過松廣寺, 節山金氏永思齋諸生有詩余步其韻彭題于楣, 福川道中與金明元(銓)李顯模(敎昌)口號, 憩夢聖菴, 赤壁舟中用金農巖先生韻, 望美亭次丁赤松原韻, 勿染亭次板上韻, 圭峯菴拈峯字, 瑞石山歌, 地藏菴廻別, 次安晦峯(圭容)竹谷精舍韻, 有懷示誠一(吳用根), 挽李桂山(相昊), 送李明汝(炯晳)歸曦陽, 挽柳敦齋(相大)三首, 乙亥十一月入處文壽洞如菴, 二島吟示元善勉承(李相武)四首, 如菴冬夜見老人星, 送金聖玉歸福川, 挽梁東溪(會洛), 山行, 閒中漫詠三首, 明元偕登般若臨別口號以贈, 丙子四月發故山行李君勉承偕之, 同松山渡赤壁橋, 世仁洞拜先師墓二首, 碧寒亭, 德山有感, 哭外兄(柳地根), 峽中觀俗, 謝李源委訪山居, 呈安晦峯西山草盧講座, 悼奇見五三首, 贈安士誠(秉析)二首, 崔君致鳳課歲來訪每辨酒袒甚費以供賓朋一日之歎爲賦一律以謝之, 諸生歲暮將歸前一望有餘而徑皆散去惟敬立勉承二君則否, 挽權應韶(鳳鉉), 立夏前二日被趙省齋(樂模)書招往會于鰲山寺趙倨昆軒(冕材)及敬立明元舜盆(申孝植)乃見(金龍培)雲擧(金鴻圭)亨五(余周奎)偕焉, 挽鄭參奉(萬在), 悼吳和允(英杓), 贈鄭子重(鎭植), 六家同來相土結聚未幾年次第散去紂缺之甚口號一絶, 四月二十八日送諸君往修文壽山房適霖雨連日大霧漫山思之憫切賦一律以寫懷, 月夜聞子規聲有感, 送申舜益歸高興, 李果齋致善與同志諸公會文于山陰之酬寂寺遙投二絶詩于文壽山房以寄意謹次其韻以謝之, 鄭素齋箸卿用果齋韻惠之遂步和二首, 悼金文玉(澤模)二首, 挽李元善(敎灝)二首, 八月二十五日與芝村(權鳳洙)藍山(王在沼)春汀(柳永模)寒溪(金基洙)及愼南重(炳獻)申孝植宿泉隱寺, 挽趙主事(鏞震)三首, 挽趙省菴(愚植), 贈別金春章(正彩)二首, 己卯三月小晦與尹子仁(在麟)發冠山行金生俊基從之, 宿魏氏長川齋, 天冠山, 別白璿一(亨璣)及冠山諸友, 宿尹子仁水東世庄, 眉山埠泛海, 萬德山二首, 月出山, 送別梁而見(會龍), 憩上見性居僧進茶, 鳩林海岸別諸友, 舟行至木浦, 儒達山, 別趙敬華(東棨娃), 車中望月出山, 昌平館別梁元淑裵彩洪(淇玉)二首, 梁仁京(敬承)冒炎遠訪爲賦二絶以謝之, 八月下旬與丹丘諸友作錦山之遊至開陽道中口占, 三千浦, 泛海渡昌善, 南敬眞(勝愚)沈正玉(鎭宅)二君登錦山一宿出至三十里江頭埠方討乘船聞余過知足島還復追踵至錦山下聽溪店相遇仍與之上山, 登錦山, 以雪擁山腰洞口春回禁尾吳頭分韻得腰字, 別丹丘諸友, 露梁謁忠烈祠二首, 渡露梁別敬眞正玉二君, 宿船月里裵彩洪世庄, 與裵彩洪訪裵文五(彩奎)梅谷僑居, 宿梁元淑草坊新亭, 學圃堂有感, 憩雙峯寺, 乘月至竹谷精舍主人不在, 宿德山精舍安晦峯追到, 水月里別廉洛現(秉燮), 節山永思齋酬金聖玉, 行到曲川逢安敬傳(思淳)被挽宿牛峯木美菴安聖匡(圭蒿)追到, 啣月亭, 高興道中口號贈梁裵二友, 到新松里申孝植家, 訪申鳳南國範(錫休)靑龍里新庄二首, 宿楞伽寺, 登八影山, 景魯自金剛歸錄示其記行受而閱之庶可謂一部史矣念余昔, 年行過蠟蠟如夢申事遂拈次其毗盧峯韻以褐之, 挽趙雙石(洪善), 悼族姪聲冕(篤鍾)二首, 奉和權萬齋子正(載春)二首, 挽金嶺松(在洪)二首, 奉和梁道允(彦黙)三首, 次韻寄題沙隱亭, 別申性玉(方雨), 挽權芝村景韶(鳳洙), 題趙士淸(欽植)山居, 敬題永慕齋, 雨中無聊倣水調歌頭, 文壽洞道中, 悼柳子强(健永), 挽洪和益(溫), 柳君忠烈以其王大人聾菴扁請銘謹賦一律以塞其意, 次遯菴韻寄金明七(炯睦), 宿華嚴寺, 次晩山亭韻寄鄭和彦(渾基), 金君遇正以其大人六一係辰請余一言, 五月三日發頭流行, 雙磎寺, 宿佛日菴, 七佛菴, 挽申國範, 挽尹酉堂(鍾均), 題趙省齋聖則書幌, 與諸友會宿盤川鄭舜擧(海寀)家二首, 以明朝有意抱琴來分韻得有字, 奉賀梁而見六一生朝, 吳生熙錫渡海有月以書來未開緘汪然欲涕別賦二十字以寄, 孔欽惠然遠顧感倒之極自形于言, 挽金梅西(克永)二首, 贈別崔汝重(芳鉉)二首, 挽梁行源(孝黙), 挽姜善汝(老善), 三神洞訪崔景武(炯淳)不遇, 送別忠五敬立, 題雲樹亭, 送金舜夫(容九)往寓商山, 悼成道中, 次三松齋實記原韻寄崔景武(幷小序), 十月五日與忠五彦淑敬白(鄭雲燮)宿盤川鄭舜擧家, 噫辣辭送尹子仁歸金陵, 挽李白村(炳浩)二首, 李君起鉉以愚名軒要余一言, 和吳君和善寄詩, 挽梁弦齋(在德)二首, 悼南允肅(熙)二首, 紅雲洞懷徐孤靑故事用侁狼天詞, 西窟菴, 燕谷龜泳潭二首, 鄭君子善以其大人翁六一生朝置酒速賓余爲賦永調歌頭詞, 張友文弘(承鉉)種栗千樹援以自號曰栗山作詩見志和者相繼, 可誦也其從子淳植請余足之, 五月二十四日與李生相麟踰泉隱寺後九曲嶺口占, 午憩上禪庵, 深源龍沼, 思黙峙訪鄭士玉(昌柱)不遇, 踵鄭炯律到張南錫家淳植亦接隣仍留宿聊以相勉, 峽中覽物, 二張君餞至鄭嶺頭廻別, 梁友而見餞至蘆峙崔致道(淇宇)家翌日廻別, 觀龍湖洞天, 淸遠塘荷花盛開二首, 盧君奇玉(泰鉉)惠余以洞庭春一壺彭資消炎感其至意爲賦巫山一段雲詞以謝之, 挽朴國希(魯豊), 仙湖歸路逢居然亭主人徐在洙登亭觀瀑次原韻, 次呈黃石田(瑗)見贈韻, 挽黃石田二首, 挽張致準(基南), 挽李國賢, 挽王樂民(在沼)三首, 次金東珍回甲韻, 悼沈相玉(鎭確), 朴君俊東以其大人翁六一生朝置酒速賓爲賦一律奉賀, 沙上吳翁(權淳)爲余賦一律以壽之感歎之極謹步其韻還以領翁, 挽趙士淑(炳寬), 挽朴瑞仲(載元), 題金鳳輝(在儀)棲遲堂, 挽吳子春(東洙)三首, 挽任宇卿(奉柱)二首, 挽沈應章(鶴煥)二首, 挽鄭文擧(祥圭), 寒食懷先壟, 偶吟二首, 六月二日宿柳忠五山房拈賦一律, 挽吳公(琪淳), 挽河晦峯(謙鎭), 挽許晦彦(燮)二首, 惺溪鮮贈趙性寬, 贈別金景先(容局), 挽周景宅(基仁), 悼尹子仁(在麟)二首, 贈別李甥聖淑(稷鉉)二首, 挽鄭道源(鉉洙), 送盧奇玉寓湖西之鎭岺, 戊子元朝, 驚蟄日與崔景武山行口占, 賀呈和汝(鄭漢春)壽辰二首, 倣巫山一段雲詞呈吳敬文(斗善), 奉呈金士賢(基洙)二首, 悼柳公懋(瑾秀), 挽洪敬集(鈺), 追次許文贊(涇)六一壽辰韻, 挽趙國弼(冕材), 裵君相革(鎭祚)以其萱駙六一生朝置酒速賓余病未與賀爲賦 一律以替山冗一酌, 賀呈忠五壽席, 贈別李顯模, 李生相麟書至自昌城感而賦懷兼簡鄭基潤二首, 寄題申性玉(方雨)松汀幽居(幷序), 追悼李君孔彦(麟鎬)四首, 謝裵敎官采洪來訪, 挽趙省齋聖則, 挽梁俊賢(成黙), 挽李玄山玄之(玄圭)二首, 挽白璿一(亨璣), 挽金允明(漢珏), 呈裵文五壽席
卷 3
書 : 上老柏軒鄭先生(別紙一箚疑一大學發問對目一), 上崔勉菴先生(益鉉), 上鄭日新(義林), 上奇松沙(宇萬), 上郭宰宇(鍾錫○二), 上鄭農山(冕圭), 上權明湖(雲煥○二), 答張晦堂(錫英), 與李是菴(直鉉), 答李信菴(準九), 答閔承旨(致殷), 與閔檣山(用爀), 答南素窩(廷燮), 答夏靈峯(震武), 答柳西岡(遠重○答二與三), 答崔强齋(東煥), 與文謙山(鏞), 答李愚山(鉉五), 答宋毅齋(鎬完), 與宋瘢齋(鎬坤), 與曺迂堂(在學), 答安司果(昌濟), 與梁東溪(會洛), 答金濯新(漢穆), 與金瑞川(琪鍾○與一答一), 答柳敦齋(相大), 答沈直窩(斗煥○三), 答權承旨(哲熙), 答鄭參奉(演祈○二), 答南立巖(廷瑀○四), 答中山講義, 答鄭一愚(贊錫)
卷 4
書 : 答權松山(載圭○答三與四), 答南夷川(昌熙○二), 答外兄崔善若(性濬), 與周晦山(尙洪), 答文新溪(宋純), 答梁後松(相賀), 答尹參奉(淳學), 與金監役(琪淵), 與姜善汝(老善), 答李文一(昌雨), 答柳孟茂(柏年), 答金尙三(鼎運), 答黃季方(瑗), 答陳種彦(柄燾), 答權應韶(鳳鉉), 答安敬三(圭容), 答李美中(光秀), 與沈孔玉(鎭禧○與一答一), 答吳子春(東秀), 答權景韶(鳳洙), 答黃景涵(澈源○五), 答沈孟雷(鍾煥), 答趙聖則(樂模○二), 與趙景昭(廷恂), 答南應珍(相魯), 答魏雲汝(啓龍), 答權益三(宜鉉), 答張致準(基南), 答梁俊賢(成黙), 答白乃淑(永熺), 答沈應章(鶴煥), 答鄭元卿(鉉春), 答申國範(錫休), 答黃君五(漢奎), 答鄭穉貞(元永), 答金瑞中(琫運), 答權禹聲(炳夏), 答鄭泳汝(淳榮), 答權子正(載春), 答金允範(筽鎭), 答安星玉(鍾南), 答王樂民(在沼), 答金文玉(澤模), 答趙穉弘(與九), 與鄭伯勤(與一答二), 答鄭俊卿(良), 答崔汝重(芳鉉), 答權翰擧(鴻洙), 答廉洛現(秉燮), 答吳誠一(用根)
卷 5
書 : 答李致善(敎宇○六), 答梁而見(會龍○二), 答金翼夫(暉○三), 答梁元淑(會甲○四), 答鄭聖徇(泰圭), 答鄭晦夫(邦燁○二), 答鄭思叔(邦繹○二), 答任宇卿(奉柱), 答文養吾(有浩), 與程仲讓(毓謙), 答李敬美(鉉翼), 答奇見五(叔度), 答許亨佑(相), 答李敬仲(忠奎), 答申貞叔(元敎), 答安仲述(鍾基), 與周子鳴(鳳會), 答梁行源(孝黙), 答柳公懋(敏秀), 答金允明(永淳), 與楊子昻(道康), 答金允淸(鍾昊), 答李正汝(鉦), 答李乃善(承佑), 答李英傳(敎川), 答趙士淑(炳寬), 答趙士淸(敏植○二), 答朴汝亨(永睦), 答裵俊和(正模), 答裵彩洪(淇玉), 答周景宅(基仁), 答李晦而(弘榮), 答金明七(炯睦○二), 答李安甫(熹洙), 答郭德用(基永○三), 答沈亨七(鎭斗), 答南汝晦(相燁), 答宗姪子明(宜鍾), 答吳和益(錫杓), 答李仁吉(棟欽), 答吳敬文(斗善), 答吳道淑(致會), 答柳忠五(泳), 答金聖律(洪錫), 答張彦淑(基松), 答裵文五(彩奎), 答宋德敖(在曄), 答朴濟勝(海佑), 答安進明(德洙), 與鄭尙善(在鎔), 答林應善(鍾植)
卷 6
書 : 答金士文(銖○答二與一), 答金孔淑(永大), 答朴仲豪(興圭○二), 答南敬眞(勝愚○二), 答鄭仁彦(奇洙), 答金聖瑞(相圭), 答周成三(時玉○二), 答梁道允(彦黙○二), 答朴尙玉(啓鉉), 答池奉吉(亨源), 答許漢卿(鴻模), 答李應坤(洙吉), 答李德夫(敎明), 答金慶弼(相九), 答田子尙(甲秀), 答金在正, 答李孔彦(麟鎬), 答安聖巨(圭嵩), 答鄭元實(現采)春秋胡傳左傳箚疑, 答裵順明(圭晳), 答朴允敬(宰榮), 與奇公吉(老善), 答鄭文叔(秀民)大學問目, 答白中玉(膺善)問目, 答尹子仁(在麟), 答朴在天(淑鉉○二), 答李明善(震錫), 答李孟奎(珉), 答鄭容夫(泓采), 答鄭玄甫(漢丞), 答申性玉(方雨), 答金春章(正彩○二), 答金景先(容局), 答朴德吾(道東), 與黃性伯(采五), 答奇希文(世稷○二), 答金而晦(榥), 答李文甫(杜甲), 答崔德善(允煥), 答金致萬(永一), 答申子敬(井休), 答李相悅(泳奎), 答李德汝(在潤), 答金起漢, 答華山壇諸儒, 答文聖元(在鳳), 答馬相德, 答鄭孔與(秉晳), 答吳伊伯(稷相), 答吳天卿(根浩), 答鄭景魯(宗燮), 答羅士敬(燾敬)申乃宣, 答劉子敬(貞熙)
卷 7
書 : 答沈正玉(鎭宅)大學問目, 答沈正玉論語問目, 答沈正玉箚疑, 答沈正玉孟子問目, 答沈正玉中庸問目, 答沈正玉金孔欽(永鐸)中庸箚疑, 與沈正玉(與一答二), 答金孔欽, 答文敬之(在璣)喪禮問目(答一), 答李甥聖淑(在玹○二), 答吳和宣(政杓)小學問目, 答吳和宣(四), 答夏貞立(成吉○二), 答許誠禹(基洪), 答李繼先(康述, 答沈德梧(相鳳)
卷 8
書 : 答金聖玉(文鈺○十一), 答金景魯(奎泰○三), 答文正夫(在杓), 答金景春(奉榮), 答李善五(奎煥), 答安士誠(秉析), 答沈南擧(翰求), 答朴孝先(恒模), 答朴仁吉(佶柱)問目, 答崔大亨(基胤), 答宋道永家禮問目, 答秋淸汝(淵蓉○三), 答柳聲振(遠瑢)大學問目, 答吳敬立(柱錫)禮疑箚目, 答鄭乃綏(鉉福), 答朴允肅(敬來), 答南羲善, 答金舜夫(容九), 答朴來善(令模○二), 答朴悅可(魯澤), 答趙明元(東昱○三), 答權友鉉, 答李明汝(炯晳), 答金聲振(亨在), 答池亨玉, 答柳景輔(根弼), 答金元善(奎祥)小學問目, 答金元善大學問目, 答金元善論語問目, 答金元善別紙, 答金元善孟子問目, 答金元善周易問目, 答金元善問目, 答金汝栽(永培), 答鄭昌圭, 答李勉承(相武)別紙, 答金晦卿(在華), 答金晦卿別紙, 答許厚卿(永栽), 答申舜益(孝植), 答梁柱現, 答金子成(會龜), 答羅聖浩(濬), 答金亨五, 答李學來, 答尹在楠, 答柳子誠(根壽), 答張汝一(永億), 答裵士强, 答鄭基潤, 答洪鍾浩, 答許壯煥, 答朴天錫, 答朴春燮, 答崔致鳳(允采), 答或人, 答金性佑(錫中), 答裵錦澤
卷 9
雜著 : 溪上隨錄, 樓下憬言
卷10
雜著 : 明氣問答與動之靜之問答合辨, 格物解辨, 格物物格兩格字鮮, 夏靈峯孟子桃應章講授辨, 兄弟同昭穆共一位辨, 辨明美堂集論筍或事, 讀梅泉集百里奚及四皓論, 讀宰宇集答姜佐明書, 讀韓昌黎雜說, 學規卞條示從遊諸君, 答客說示諸同志, 題朴壺山集, 能所說寄梁元淑, 惺齋說, 止堂說, 省齋說, 拓窩說, 直軒說, 沈潛說贈柳東彦(興夏), 鄭聲叔字說, 李文甫字說, 李相悅字說, 吳敬立字說, 書贈愼懼堂李惟常(嬖), 書贈柳忠五, 書贈奇希文兼示諸生, 書示吳和宣(政杓), 書示金元郁(奎澤), 書示周亨洛(禹錫)亨重(弘錫), 書贈朴晦夫(熙洙), 書贈張和仲(利錫), 書贈張汝賢(永吉), 示諸生, 嶺東紀行
卷 11
雜著 : 猥筆後辨辨, 辨艮齋示諸生說, 山房隨箚, 辨田艮齋觀鄭柏軒集猥筆辨辨, 觀田艮齋集
卷 12
雜著 : 小學箚疑
卷 13
雜著 : 近思錄葉本攷異序, 四禮儀序, 稽古通編序, 文襄公實紀序, 字音通攷序, 常變祝輯序, 龍灣遺稿序, 石洞集序, 率性齋崔公楊州箴序, 聾黙堂遺詩序, 梅谷集序, 月波集續刊序, 約軒遺稿序, 黃坡遺稿序, 東溪遺稿序, 酉堂詩稿序, 豊壤趙公實記序, 文化柳氏三世實記序, 成晩翠遺稿序, 聾齋實記序, 五峯遺稿序, 白齋遺稿序, 桂山遺稿序, 蓮坡遺稿重刊序, 嶺泉遺稿序, 晩翠堂遺稿序, 全州李氏世德錄序. 金寧金氏世德錄序, 瑞山鄭氏家乘序, 濟州梁氏家乘序, 大邱徐氏派譜序, 咸陽朴氏家乘序, 慶州金氏家乘序, 竹山安氏家乘序, 金海金氏家乘序, 長興馬氏派譜序, 慶州金氏派譜序, 玉川趙氏派譜序, 他不川詩契序, 光義契序, 義方契案序, 同講契序, 兩以契案序, 自警別曲序, 敬愼齋遺稿序, 黙窩遺稿序, 小松遺稿序, 養眞堂遺稿序, 文江詩稿序, 吳晴川詩稿序, 晩石遺稿序, 慶州崔氏世稿序, 鄭寢郞六十一壽序, 柳春汀六十一壽序, 白村壽瑞帖序, 李玉山美中壽序, 李椧山壽瑞岾序, 柳子德大夫人壽瑞詩卷序, 吳道淑壽序, 柳聲振字序, 鄭子善字序, 金元善字序, 金晦卿字序, 贈沈相玉正二君序, 贈吳和宣序, 贈金聖玉序, 贈金景魯序, 贈秋淸汝序, 送朴來善歸曦陽序, 贈金舜夫序, 贈李勉承序
卷 14
雜著 : 德川記, 五爰齋記, 聽寒樓記, 油然齋記, 忠愍祠講堂記, 松玉齋記, 也山齋記, 長山齋記, 玉山齋記, 玉泉亭記, 孝子金公旌閭記, 金孝子兩世旌閭記, 德山齋記, 敬慕齋重修記, 追遠齋記, 曲溪堂記, 講修齋記, 黃岡齋重修記, 華山壇記, 念修齋記, 追遠齋記, 藍田洞影堂記, 雙山齋記, 遠慕齋記, 追遠齋記, 雙石窩後記, 西山草盧記, 臨淵齋記, 竹林齋記, 南石齋記, 寒溪堂記, 蘭溪堂記, 聾巖亭記, 龍巖齋記, 鶴山祠續記, 碧梧軒記, 仙溪精舍記, 鶴樓軒記, 柏陰堂記, 稼山齋記, 某溪精舍記, 珍陽田舍記, 集賢齋記, 朝陽精舍記, 聽流亭記, 月山齋記, 三峯齋記, 斗山齋記, 春圃齋記, 龍隱齋記, 雲岡亭記, 雲溪堂記, 松皐亭記, 無憂堂記, 蓮香亭記, 伏龍巖記, 遊懸巖記, 遊方文山記, 遊白羊山記, 小隱屛記, 正月菊記, 南遊四山記, 文壽洞改名記, 柳子德家飮蓮葉酒記
卷 15
雜著 : 孝寧大君年譜跋, 迂窩崔公 御賜畵屛跋, 老柏軒先生年譜跋, 書浙江譜系後, 謹題先師午草遺本後, 草溪鄭氏家乘跋, 書景淵亭遺稿後, 書農巖集審敵篇後, 題淸儒學案後, 書松宇金公實錄後, 書松溪朴公事狀後, 書松沙先生年譜後, 題趙松菴實紀, 喪禮儀後識, 柳菴實紀跋, 跋石田集, 書晩山李公遺稿後, 書素窩遺稿後, 養浩齋遺稿跋, 書性師心弟辨後, 題趙省齋壽瑞詩軸後, 題李楓山賀壽詩卷, 書郭德用四書箚錄後, 澗齋遺稿跋, 書梁母曺孺人傳後, 書金聖玉孰言後
箴 : 自警箴, 月湖書室箴, 立志箴
銘 : 臨齋銘, 月林亭銘, 晩翠亭銘, 晩稼亭銘, 慕巖亭銘, 田隱堂銘, 可窩銘, 誠齋銘, 壺石銘, 八樂亭銘, 蓮湖亭銘, 艮菴銘, 寶岡亭銘, 南隱堂銘, 一亭銘, 兼山室銘, 一靑書室銘
贊 : 三先生甲會圖贊, 杏史梁公贊, 石原尹公像贊
辭 : 祭屛十圖題辭, 晩翠堂辭, 松石軒辭, 竹下堂辭, 東江釣臺辭, 四而堂辭
字辭 : 金元汝字辭, 奇子善字辭, 趙明元字辭, 金乃見(龍培)字辭
哀辭 : 奇仁伯哀辭, 沈孟雷哀辭, 鄭思叔哀辭, 李周汝哀辭, 柳東彦哀辭, 李化約(晩雨)哀辭, 朴允敬(宰葉)哀辭, 吳和宣哀辭
上字辭: 感慕齋上梁文, 追遠齋上梁文, 覽德齋移建上梁文, 端川亭上梁文, 退山亭上梁文, 大山亭上梁文, 雲谷書舍上梁文, 三陽精舍上梁文, 平川精舍上梁文
卷 16
祝文 : 朱夫子影幀奉安夾室告由文, 五鳳祠奉安朱夫子影幀告由文, 奉安勉菴崔先生影幀告由文, 萬壽祠晦軒安先生常享祝文, 海望祠畢齋金先生常享祝文, 七義壇常享祝文
祭文 : 祭先師老柏軒先生文, 再祭老柏軒先生文, 祭勉菴崔先生文, 祭日新鄭公文, 祭松沙奇公文, 祭農山鄭公文, 再祭農山鄭公文, 祭明湖權公文, 祭海山鄭公文, 祭周丈(興祚)文, 祭老圃吳公(應千)文, 祭是菴李公文, 祭權緩石文, 祭鄭晩松(致圭)文, 祭南素窩文, 祭柳晦岡文, 祭踊夫李監察文, 祭伯踊李氏婦文, 祭伯氏文, 祭仲氏文, 祭柳西岡文, 祭李愚山文, 祭金瑞川文, 祭鄭一愚文, 祭吳雙山文, 祭沈直窩文, 祭南立巖文, 祭南夷川文, 祭周魯瞻(正錫)文, 祭沈孔玉文, 祭黃景涵文, 祭鄭穉貞文, 祭鄭元卿文, 祭許享佑文, 祭金瑞中文, 祭申貞叔文, 祭金翼夫文, 祭李致善文, 祭鄭晦夫文, 祭吳和益文, 祭金士文文, 祭奇公吉文, 祭金元善文
卷 17
碑 : 軍器寺主簿 贈資憲大夫戶曹判書兼知義禁五衛都摠府都摠管謚忠毅晩翠柳公衣履藏碑, 贈資憲大夫吏曹判書南坡鄭公遺墟碑, 石圃鄭公遺墟碑, 成均進士金公遺墟碑, 洪州宋氏七孝碑, 六世祖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府君墓碑, 海州吳氏歲一祭壇碑, 晋陽鄭氏祭壇碑, 慶州金氏歲一祭壇碑, 孝子慕菴金公盧墓遺墟碑孝子, 贈童蒙敎官崔公遺墟碑銘, 監役崔公實蹟碑, 南平文氏墓壇碑, 孝烈婦淑人丁氏旌閭碑, 張母任孺人紀行碑, 孺人驪陽陳氏紀行碑, 陽齋居士文君碑, 台隱朱公宅里碑, 孝婦金海金氏實蹟碑
墓誌銘 : 司憲府持平圭南河公墓誌銘, 昌陵參奉裵公墓誌銘, 竹坡朴公墓誌銘, 學生張公墓誌銘, 悔尤堂金公墓誌銘, 柏巖鄭公墓誌銘, 溪狂陳公墓誌銘, 晩悔金公墓誌銘, 府使梁公墓誌銘, 學生柳公孺人文氏墓誌銘, 蓮坡金公墓誌銘, 孺人高氏墓誌銘, 芝隱鄭公墓誌銘, 思黙堂鄭公墓誌銘, 玉精齋裵公墓誌銘, 晩松鄭公墓誌銘, 竹圃宋公墓誌銘, 學生李公墓誌銘, 斗南朴公墓誌銘, 雙石趙公墓誌銘, 瑞川金公墓誌銘, 愚山李公墓誌銘, 伯兄菊史公墓誌銘, 孺人柳氏墓誌銘, 弦齋梁公墓誌銘, 直窩沈公墓誌銘, 權芝村墓誌銘, 吳癡齋墓誌銘, 丹霞李公墓誌銘, 申庸齋墓誌銘, 重軒黃君墓誌銘, 潛軒柳君墓誌銘, 吳君和益壙誌銘, 秀士鄭君墓誌銘, 金舜夫壙銘
卷 18
墓碣銘 : 翊衛司左侍直柳公墓碣銘, 承文院正字, 贈嘉善大夫戶曹參判柏軒金公墓碣銘晦窩徐公墓碣銘, 承議郞申公墓碣銘, 訓鍊都正申公墓碣銘, 行軍器寺僉正, 贈嘉善大夫戶曹參判黃公墓碣銘, 行海南懸令, 贈水使申公墓碣銘, 贈通訓大夫司僕寺正栗亭李公墓碣銘, 尤谷處士朴公墓碣銘, 折衝將軍龍塗衛副護軍行晋州營張公墓碣銘, 鷺洲處士金公墓碣銘, 樂友堂吳公墓碣銘, 五世祖通德郞府君墓碣銘, 溪菴柳公墓碣銘, 贈戶曹佐郞三松齋崔公墓碣銘, 通德郞李公墓碣銘, 德齋梁公墓碣銘, 贈戶曹參判柳公墓碣銘, 孝子, 贈司憲府監察金公墓碣銘, 贈刑曹參議林公墓碣銘, 志齋朴公墓碣銘, 贈工曹參議金公墓碣銘, 遯齋柳公墓碣銘, 贈通訓大夫司僕寺正姜公墓碣銘, 贈通政大夫承政院左承旨劉公墓碣銘, 贈崇祿大夫議政府參政鶯峯李公墓碣銘, 明溪永公墓碣銘, 耕隱金公墓碣銘, 德菴李公墓碣銘, 贈童蒙敎官司僕寺正鄭公墓碣銘, 參奉文公墓碣銘, 參奉高公墓碣銘
卷 19
墓碣銘 : 秉忠奮義靖國攻臣行嘉善大夫刑曹參判, 贈資憲大夫兵曹判書謚貞毅黃公墓碣銘, 贈通政大夫金公墓碣銘, 幇睡齋庚公墓碣銘, 鷗汀朴公墓碣銘, 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許公墓碣銘, 永慕齋吳公墓碣銘, 孺人星山全氏墓碣銘, 拙菴李公墓碣銘, 逸圃兪公慕碣銘, 孝友堂朴公墓碣銘, 仰晦堂朱公墓碣銘, 梧山金墓碣銘, 二樂軒崔公墓碣銘, 農隱奇公墓碣銘, 嘉善金公墓碣銘, 農隱李公墓碣銘, 醉翁吳公墓碣銘, 曲溪處士申公墓碣銘, 二山柳公墓碣銘, 竹圃鄭公墓碣銘, 樵隱鄭公墓碣銘, 拾軒崔公墓碣銘, 學生周公墓碣銘, 學生申公墓碣銘, 穡圃李公墓碣銘, 菊圃李公墓碣銘, 處士林公墓碣銘, 孺人金氏墓碣銘, 老稼軒金公墓碣銘, 東梧愼公墓碣銘, 愛日堂朴公墓碣銘, 屛山柳公墓碣銘, 遯菴裵公墓碣銘, 新齋李公墓碣銘, 蒙菴郭公墓碣銘, 春塘處士柳公墓碣銘, 晴沙李公墓碣銘, 寢郞申公墓碣銘, 孺人李氏墓碣銘, 學生文公墓碣銘, 晦窩朴公墓碣銘, 約軒處士趙公墓碣銘, 野隱李公墓碣銘, 松澗金公墓碣銘, 學生趙公孺人柳氏墓碣銘, 學生金公墓碣銘, 石汀處士趙公墓碣銘, 竹沙朴公墓碣銘, 述齋許公墓碣銘, 稼隱李公墓碣銘, 牌菴金公墓碣銘, 農隱蘇公墓碣銘, 五衛將張公墓碣銘, 凰山宣公墓碣銘, 農隱白公墓碣銘, 松隱金公墓碣銘, 學生光山金公墓碣銘
卷 20
墓碣銘 : 通政大夫承政院同副承旨兼 經筵參贊官春秋墩修撰官陞, 嘉善大夫成均官直提學河石李公墓碣銘, 同知中樞府事梁公墓碣銘, 處士慶州崔公墓碣銘, 主事金公墓碣銘, 學生李公墓碣銘, 夢翠李公墓碣銘, 敦寧都正鄭公墓碣銘, 康隱曺公墓碣銘, 學生裵公孺人朴氏墓碣銘, 也松朴公墓碣銘, 處士金公墓碣銘, 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金公墓碣銘, 學生朴公墓碣銘, 義士後柏吳公墓碣銘, 石原尹公墓碣銘, 務安朴公墓碣銘, 主事金海金公墓碣銘, 學生豊壤趙公墓碣銘, 玉圃許公墓碣銘, 楓山李公墓碣銘, 左海李公墓碣銘, 樵菴李公墓碣銘, 高靈申公墓碣銘, 慕鄕齋裵公墓碣銘, 金海金公墓碣銘, 張農窩墓碣銘, 惺窩周君墓碣銘, 晩山鄭公墓碣銘, 沈圃文君墓碣銘, 雲巖奇君墓碣銘, 中樞院議官趙公淑夫人鄭氏墓碣銘, 學生吳君墓碣銘
卷 21
墓表 : 印月菴處士任公墓表, 先祖逸參奉, 贈通訓大夫掌樂院正公墓表, 通政大夫司諫院大司諫隱谷崔公墓表, 處士宋公墓表, 學生申公墓表, 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松溪金公墓表, 成均進士行廣興主簿陞資憲大夫崔公墓表, 贈通訓大夫司僕寺正劉公墓表, 黙山處士文公墓表, 將仕郞 顯陵參奉黃公墓表, 贈章蒙敎官崔公墓表, 通政裵公墓表, 處士金公墓表, 學生柳公墓表, 雲圃金公墓表, 通德郞安公墓表, 思菴徐公墓表, 野隱林公墓表, 大山齋金公墓表, 嘉善大夫趙公墓表, 處士金寧金公墓表, 處士柳公墓表, 文化柳公墓表, 南隱吳公墓表, 後石吳公墓表, 孝子金公墓表, 耕隱金公孺人朴氏墓表, 愚谷鄭公墓表, 貞夫人李氏墓表, 柏菴姜公墓表, 參奉林公墓表, 磻溪鄭公墓表, 孺人尹氏墓表, 稼隱梁翁墓表, 誠菴申公墓表, 吳母周孺人墓表, 學生河公墓表, 東塢李公墓表, 石田柳君墓表, 松齋鄭君墓表, 鄭晦夫墓表, 鄭孺人墓表, 金孺人墓表, 惺齋鄭公墓表, 晩喜金公墓表, 司憲府監察張公墓表, 竹岡朴公墓表, 守隱丁公墓表, 慕漢齋處士劉公墓表, 聾巖徐公墓表, 學生錦城羅公墓表, 處士崔公墓表, 學生慶州金公墓表, 參奉李公墓表
卷 22
行狀 : 節齋金公行狀, 先祖龜潭先生遺事狀, 石洞先生李公行狀, 通政大夫承政院右副承旨兼, 經筵參贊官春秋墩修撰官歸樂窩柳公行狀, 黙軒鄭公行狀, 竹下鄭公行狀, 通訓大夫司諫院司諫趙公行狀, 先考松菴府君行狀, 管山處士安公行狀, 老圃吳公行狀, 學生金公行狀, 監察李公行狀, 雙山處士吳公行狀, 柏下鄭公行狀, 趙省齋行狀, 秀士許君行狀
贊 : 南圃許公傳, 南氏二孝子傳, 洪烈士傳, 孺人姜氏傳, 鄭氏二孝子傳, 金孺人傳, 林孝烈婦傳, 梁秀士傳, 金孝婦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