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표점
  • 국역/표점
  • 표점
  • 오남집(吾南集)

오남집(吾南集)

기본정보
· 유형분류 고서-집부-별집류
· 내용분류 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작성주체 편저자 : 김한섭(金漢燮)
· 간사년
· 간사지
· 형태사항 크기 : 33 X 20.5 / 木活字本 / 책수 : 7 / 반곽 : 17.5 X 25.5 / 有界 / 10行22字 / 한자 / 內向2葉花紋魚尾
· 소장처 현소장처 : 국립중앙도서관 / 원소장처 : 미상
정의

김한섭(金漢燮, 1838~1894)의 시문집.

해제
■ 형태서지

권수제
吾南先生文集
판심제
吾南先生文集
간종
목활자본(木活字本)
간행년
미상
권책
13권 7책
행자
10행 22자
어미
內向2葉花紋魚尾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선간집수



■ 저자

성명
김한섭(金漢燮)
생년
1838년(헌종 4)
몰년
1894년(고종 31)
치용(致容)
오남(吾南)
본관
영광(靈光)
특기사항
동학농민운동 때 강진에서 관군과 수성하다 사망함.


■ 가계도

金台用(시조)
工曺典書






金㻫
吏曹參判






金光遠(13대조)
吏文習讀官






高祖 金夢龍






曾祖 金常衡






祖 金瑗






父 金魯鉉






海南尹氏
尹商說의 女






金漢燮





金仁植









金鳳植









金鶴植



















李斗林
濟州梁氏
梁相淑의 女





■ 행력

왕력
서기
간지
연호
연령
기사
헌종
4
1838
戊戌
道光
18
1
장흥 부산면에서 태어났다.
철종
13
1862
壬戌
同治
1
25
아버지의 상을 당하였다.
고종
14
1877
丁丑
光緖
3
40
강진 月角山 大明洞에서 寒泉精舍를 지었다.
고종
16
1879
己卯
光緖
5
42
봄 秋陽契의 일로 영암 道岬寺에서 講會를 열었다.
고종
19
1882
壬午
光緖
8
45
차남 鳳植을 智島의 金平默에게 보내 수학하게 하였다.
고종
20
1883
癸未
光緖
9
46
스승 任憲晦의 문집 간행일로 인해 高敞에서 지냈다.
고종
21
1884
甲申
光緖
10
47
「衣制辨」을 짓고 洋夷가 세상에 날뛰는 것을 한탄했다.
고종
22
1885
乙酉
光緖
11
48
차남 鳳植이 사망했다.
고종
31
1894
甲午
光緖
20
57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자 관군과 함께 강진을 戍城하다 사망했다. ◎ 강진군 朱雀山에 장사지내고, 장흥 興龍洞에 設壇하여 중암과 함께 제향했다.


1910
庚戌



철향되었다.


1912
壬子



金永根이 비명을 써서 묘소에 비석을 세웠다.



■ 생애
『오남선생문집(五南先生文集)』은 김한섭(金漢燮 : 1838-1894)의 시문집이다. 13권 7책 목활자본으로 간행되었다. 김한섭의 자는 치용(致容)이고, 호는 오남(吾南), 본관은 영광(靈光)이다. 선계(先系)는 신라에서 나왔고, 시조는 고려 현종 때 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한 김심언(金審言)의 후손으로서 고려 때 공조전서(工曹典書)를 지낸 김태용(金台用)이다. 이조참판(吏曹參判)을 지냈던 휘 필(㻫)의 손자로 이문습독관(吏文習讀官)을 지냈으며, 정암(精菴) 조광조(趙光祖)의 문하로 기묘사화 때 안처겸(安處謙)의 옥사에 연루되어 해남에 유배되었던 김광원(金光遠)이 13대조이다. 고조의 휘는 몽룡(夢龍), 증조의 휘는 상형(常衡), 조부의 휘는 원(瑗)이다. 아버지의 휘는 노현(魯鉉)으로 심재(心齋) 송환기(宋煥箕)의 문인이고, 어머니는 해남윤씨(海南尹氏) 윤상열(尹商說)의 딸이다. 김한섭1838년(헌종 4년) 5월 23일 장흥 부산(夫山, 현 장흥군 부산면)에서 출생하였다.
타고난 자품이 순수하고 뛰어나 11세에 글을 짓기 시작했고, 18세에 주석가들의 득실을 논평한 「중용차의(中庸箚疑)」를 지으니 어른들이 너무 이르다고 금지하였다. 『상서(尙書)』를 배울 때 일 년의 날 수를 말한 「요전(堯典)」의 "기삼백육순유육일(朞三百六旬有六日)"을 배울 때 글방 선생이 모른다고 하자, 스스로 연구해 풀이하여 조금도 틀리지 않았다.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에게 나아가 배웠으나 이미 화서가 병중인 상태여서 물러나 그 문인 중암(重菴) 김평묵(金平默)과 성재(星齋) 유중교(柳重敎)와 더불어 도의교(道義交)를 맺었다. 두 번째로 화서에게 찾아갔으나 갑자기 작고하여 그 유문(遺文)을 기록하여 돌아왔다.
이 후부터는 과거 공부를 버리고 오로지 도학에만 힘쓰면서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고산(鼓山) 임헌회(任憲晦)의 문하에 들어가 공부하였다. 1862년 아버지의 상을 당하였는데, 천성이 효성스러워서 삼년상을 치루는 동안 아침마다 반드시 묘소에 가서 곡을 하고 당시 상례를 치루는 예법이 크게 무너짐을 탄식하면서 "중문에 들어가지 않는 것이 예의 큰 예법이니, 이를 삼가지 않으면 다른 것은 볼 것도 없다[不入中門禮之大防也 此而不謹無足觀之]"고 하며 옛 예법을 지킬 것을 중요시하였다.
1877년 금릉 월각산 (月角山, 현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아래 대명동(大明洞)에 한천정사(寒泉精舍)를 짓고 후학들을 양성하였다. 1879년 봄에는 추양계(秋陽契)의 일로 영암 도갑사(道岬寺)에서 관내의 사우들과 모여 강회(講會)를 열었다. 1882년 봄에는 둘째 아들인 봉식(鳳植)지도(智島, 현 신안군 지도읍)김평묵에게 보내어 그의 문하에서 수학하게 하였다. 1883년에는 스승인 임헌회의 문집을 간행하는 일로 인하여 고창 봉산(蜂山, 현 고창군 고수면 봉산리)에서 오랜 시간 보내게 되었다.
1884년 의복의 제도가 크게 변하자 심의(深衣)를 입고 지내면서 「의제변(衣制辨)을 짓고 양이(洋夷)가 세상에 날뛰는 것을 한탄했고 "근세벽양(近世闢洋)" 문자를 지어 학자들에게 "천지간에 이런 문자들이 없어서는 안된다[天地間 不可無此等文字]"고 했다. 후학들을 지도할 때에도 과거 공부를 배우고자 하는 자가 있으면 허락하지 않고 "과거 공부의 해로움이 사학(邪學)과 다를 것이 없으니, 온 세상이 긴 밤중이 된 것이 이것 때문이다.[科學之害 與邪學無別 擧世長夜職以此也]"라고 하였다. 1885년에는 둘째 아들 봉식이 질병으로 사망하였다.
1894년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자 진실로 통탄하며 "탁류속의 지주석이요, 어두운 거리에 촛불이라 어찌 평생 자부했던 마음을 저버리리오[濁流底柱昏衢燭 肯負平生自待心]"라고 시를 짓고, 또 「경시적도문(警示賊徒文)」을 지어 "너희 무리들은 하늘에 죄를 얻어 도망갈 곳이 없다. 내가 사는 데가 곧 수양산이니 죽어서 백이숙제(伯夷叔齊)를 따르게 되면 족하다.[爾徒獲罪於天 無所逃也 我之所居則首陽山也 死得從夷齊遊足矣]"고 썼다. 그 해에 동학무리들을 막기 위해 강진의 관군과 함께 수성(戍城)하다 사망하였다.
1894년 12월 7일 주작산(朱雀山, 현 강진군 신전면 수양리 주작산)에 장사지냈다. 그리고 같은 해에 오남의 옛 집인 장흥 흥룡동(興龍洞, 현 장흥군 부산면 내안리)에 설단(設壇)하여 중암과 함께 제향하였다. 그러나 1910년 경술국치 때 철향되니, 장례를 모신지 19년 만에 문인인 경회(景晦) 김영근(金永根)에 의해 명을 지어 묘소에 비석을 세웠다. 부인은 제주양씨(濟州梁氏) 양상숙(梁相淑)의 딸로 3남 1녀를 낳았다. 아들은 인식(麟植), 봉식(鳳植), 학식(學植)이고 딸은 이두림(李斗林)에게 출가했다.


■ 구성과 내용
『오남선생문집(吾南先生文集)』은 서(序)와 발(跋)이 없어 자세한 간행시기와 간행인 간행경위 등을 알 수 없다. 국립중앙도서관, 전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있다. 13권 7책 목활자본이다. 1권에는 시(詩) 119편이 실려 있고, 2권에는 상량문(上樑文) 3편, 명(銘) 6편, 잠(箴) 3편 기(記) 5편이 실려 있고, 3권에는 서(序) 5편, 발(跋) 5편, 행장(行狀) 7편, 묘갈명(墓碣銘) 1편이 수록되어 있고, 4권에는 전(傳) 3편, 찬(贊) 2편, 제문(祭文) 15편, 5권부터 7권까지는 서(書) 98편, 8권에는 서증(書贈), 9편, 잡저 8편이 실려 있고, 9권부터 13권까지는 잡저(雜著) 37편이 수록되어있다.
1권은 시집인데 부(賦)가 5편이고 금조(琴操) 1편, 고시(古詩) 8편, 오언고시(五言古詩) 8편, 칠언고시(七言古詩) 7편, 오언절구(五言絶句) 32편, 칠언절구(七言絶句) 21편, 오언율시(五言律詩) 12편, 칠언율시(七言律詩) 25편이 수록되어있다. 부 중에는 주희의 「감춘부(感春賦)」에 차운한 「근차주자감춘부(謹次朱子感春賦)」, 성리학의 중요 명제중 하나인 이일분수론(理一分殊論)을 주제로 한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이일분수부(理一分殊賦)」를 차운한 「근차율곡선생이일분수부(謹次栗谷先生理一分殊賦)」 등이 있다. 시는 대체로 「총국(叢菊)」 , 「설중송(雪中松)」, 「영원중잡훼(詠園中雜卉)」, 「옥매화(玉梅花)」, 「산거(山居)」, 「춘우(春雨)」, 「산중즉사(山中卽事)」 와 같은 산수영물을 노래한 시들이 다수이며, 「근차중암김장무안야교운(謹次重菴金丈務安野橋韻)」, 「증김익경(贈金翼卿)」 등과 같은 동문이나 후학들에게 주거나 차운한 시들도 많다. 이외에도 「등월출산(登月出山)」, 「등무등산(登無等山)」, 「여대언등주작산(與大彦登朱雀山)」과 같은 주변의 명산을 기행한 기행시들,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났을 때 나주강진이 동학군을 막아냈던 것을 쓴 고시 「금릉의사(金陵義事)」와 「금성행(錦城行)」도 있다. 또한 왜구와 양적이 인근 연해에 자주 출몰하며 나라를 위태롭게 하는 것을 걱정하는 우국의 감정이 담긴 「근문양적거흥양삼도인왕래연해 이심형세도박우강진남포 기의소재 효연가지 오인불행 당차조석 험화불가무정 견성인소위독신호학수사선도 차성제일의체 인송선사고산선생병인팔월 서시오당절구설 여서사제생경보기운 (近聞洋賊據興陽三島因往來沿海 以審形勢到泊于康津南浦 其意所在 曉然可知 吾人不幸 當此朝夕 險禍不可無定 見聖人所謂篤信好學守死善道 此誠第一義諦 因誦先師鼓山先生丙寅八月 書示吾黨絶句說 與書社諸生敬步其韻)」, 「문왜양추유력람연해제읍(聞倭洋醜類歷覽沿海諸邑)」 등도 있다.
2권에는 상량문(上樑文) 2편, 명(銘) 6편, 잠(箴) 3편 기(記) 5편이 실려 있다. 상량문은 「대명동사당상량문(大明洞祠堂上樑文)」, 「봉양정사상량문(鳳陽精舍上樑文)」으로 모두 1877년 이후 강진 대명동에서 우거하며 후학들을 길렀던 공간에 지었던 건물들의 상량문이다. 잠은 「주일재잠(主一齋箴)」, 「지척잠(紙尺箴)」, 「독서잠(讀書箴)」 3편이며 기는 총 5편으로 대체로 대명동에서 후학들을 길렀던 한천정사에 대한 기문인 「한천정사기(寒泉精舍記)」, 문인인 경회 김영근의 서실에 쓴 기문인 「경회당기(景晦堂記)」 등이 있다.
3권에는 서(序) 5편, 발(跋) 5편, 행장(行狀) 7편, 묘지명(墓誌銘)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서는 「존양신론서(尊攘新論序)」, 「강릉유씨종회안서(江陵劉氏宗會案序)」, 「백우후육심이연행향음례서(白虞候六十宴行鄕飮禮序)」 등 5편, 행장은 선고(先考) 휘 원(瑗)의 행장인 「선고삼산부군가장(先考三山府君家狀)」과 둘째 아들 봉식(鳳植)의 행장인 「차자봉식행록(次子鳳植行錄)」, 「차자봉식정종언행(次子鳳植正終言行)」을 비롯해 7편이 있다. 묘갈명은 괴은(槐蔭) 문사구(文思九)의 묘지명인 「괴은문공묘지명(槐蔭文公墓誌銘)」 1편이 있다.
4권은 전(傳) 3편, 찬(贊) 2편, 제문(祭文) 15편이 수록되어 있다. 전인 「효자안공전(孝子安公傳)」, 「열부유인이씨전(烈婦孺人李氏傳)」, 「김경독재전(金耕讀齋傳)」 3편은 모두 효자와 열부에 대한 것이다. 찬은 화서 이항로 선생 화상(畫像) 대한 찬인 「선사화서이선생화상찬(先師華西李先生畫像贊)」과 제갈공명, 황패(黃霸), 육수부(陸秀夫), 윤곡(尹穀) 4명의 일화에 대한 찬인 「사현찬(四賢贊)」 2편이다. 제문은 스승 화서의 제문인 「제화서선생문(祭華西先生文)」, 「재제화서선생문(再祭華西先生文)」, 역시 스승인 고산의 제문인 「제고산선생문(祭鼓山先生文)」, 「재제고산선생문(再祭鼓山先生文)」, 스승 노사의 제문인 「제노사기선생문(祭蘆沙奇先生文)」, 동문인 중암의 제문인「제중암선생문(祭重菴先生文)」을 비롯하여 총 15편이 있다.
5권부터 7권까지는 서(書) 98편이 있다. 5권에는 스승인 화서, 고산, 노사에게 올린 서간인 「상화서선생(上華西先生)」「상고산선생(上鼓山先生)」, 「상노사선생(上蘆沙先生)」과 동문인 중암에게 보낸 서간인 「상중암(上重菴)」 4편이 있고, 6권에는 사우 및 동문들에게 보낸 서간이 29편이 있으며, 7권에도 역시 사우와 족제 등에게 보낸 서간이 14편이 수록되어 있다. 그 중 「답이복여(答李服汝)」에서는 성과 의(意), 정(情)과의 관계에 대한 그림을 그리고 "성(性)은 심(心) 중에 갖추어진 이(理)이자 아직 발현하지 않은 것이고, 정은 성(性)의 발현이요 심(心)의 쓰임이다. 의(意)는 정(情)에 묶여 계교상량(計校商量)하는 것이다[性者心中所具之理而未發者 情者性之發而心之用也 意者緣情計校商量者也]"라고 하여 서로의 관계를 정립하여 설명하고 있고, 간재 전우에게 보낸 「여전자명(與田子明)」에서는 간재의 성위심재설(性爲心宰說)을 반박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외의 서간에서도 경학이나 성리학적인 내용이 많아서 오남의 철학적인 견해를 엿볼 수 있다.
8권에는 「지지설서증한천재제생(知止說書贈寒泉齋諸生)」, 「서증문충렬(書贈文忠烈)」 등 서증(書贈) 9편, 잡저 8편이 실려 있다. 잡저는 이후 9권부터 13권까지 29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9권에는 「경리관견(經理管見)」1편, 10권에는 「삼극도설(三極圖說)」, 「형이상하도변설(形而上下圖辨說)」 등 14편, 11권에는 「일감문답(一鑑問答)」 1편, 12권에는 「산중촉화(山中燭話)」, 「심자신지소주설(心者身之所主說)」 등 7편, 13권에는 「벽사설(闢邪說)」, 「통화변답(通貨辨答)」, 「농정신서서주변(農政新書序條辨)」 등 6편이 수록되어 있다. 대체로 후학의 교육에 관련된 내용이나 태극설(太極說)이나 성리설(性理說)과 같은 성리학적 견해를 논설한 것들이 많다. 또 「벽사설(闢邪說)」, 「통화변답(通貨辨答)」, 「농정신서서조변(農政新書序條辨)」처럼 정책적 견해를 논설한 것도 있다.



세부목차

卷 1
賦 : 謹次朱子感春賦, 謹次栗谷先生理一分殊賦, 述懷賦, 肅艾賦, 菊花賦
琴操 : 明洞琴操
古詩 : 民之初生十四章, 大田三章, 南山四章, 採薇七章, 淸湖三章, 小兒歌習, 經業要辭, 金陵義辭
五言古詩 : 續遠遊, 甲申三月十九日, 次紫極官韻, 新元吟贈小學諸童子, 偶吟示齋中諸生, 李兄白受(錫采)挽, 憶亡友文亮叔(基潁), 贈別崔秀才采佑
七言古詩 : 次李无悶(喜冕)大明洞行, 大明紅, 題義僧靈圭碑, 題丁兄舜和(炫)鳳岡千洙堂, 自警吟, 落齒嘆, 錦城行
五言絶句 : 山居(四首), 春日偶吟, 遣懷, 花樹亭次諸生韻, 叢菊, 雪中松, 遊修仁山謹次族祖放湖公(喜祖)韻, 除草(二首), 玉梅花, 登月出山(二首), 省坡州先墓, 明悶蒼碧亭謹次鼓山任先生韻(二首), 用韋蘇州韻詠夜, 聞書院毁薇之報, 詠園中雜卉, 大明洞山泉精舍雜詠(十二首), 大明洞林卉雜詠(二十六首), 明洞會事, 贈新谷主人(金璣烈), 山中卽事(二首), 春雨, 題張慶先畵卷, 謹次重菴金丈務安野橋韻, 謹次重菴丈惠贈大明洞韻(二首), 白虞侯(基虎)挽(十首), 上天吟(五首), 寒泉齋與諸生和吟(三首), 過長水洞悼亡友宣敬集(翼欽), 偶吟, 立春雨後偶吟(二首), 無題, 送金德文(永奎)兼寄韓守奉官敬熙(昌壽)
七言絶句 : 錄先考三山府君家狀志感, 石實道中作, 過麻貴坪, 仲秋月夜聞長兒麟植誦濂洛風雅, 和族弟新齋(漢驥), 見童子雙廊喜感而吟, 智海別重庵文丈, 姜處士(禹永)挽(四首), 贈別黃萄鍾五, 壁上揭日月二字, 近聞洋賊據興陽三島因往來沿海以審形勢到泊于康津南浦其意所在曉然可知吾人不幸富此朝夕險禍不可無定見聖人所謂篤信好學守死善道此誠第一義諦因誦先師鼓山先生丙寅八月書示吾黨絶句說與書社諸生敬步其韻(二首), 書社諸生俱讀孟子喜成一絶(時殷景乃範子見聖則文五同處), 草堂卽事, 鳳陽精舍雜詠(五首), 姑堊鳥(二首), 送大彦(魏琫植)乃晦(金永根)之雲潭, 贈任萄吾東(二首), 次重菴遺塚韻贈羅聖敎(有英三首), 題鳳岡精舍, 山家獨作, 和河巳千(正秀)之字韻
五言律詩 : 偶吟, 書示諸生, 己丑立春感吟, 壬辰立春翌日吟, 贈心漁堂主人(金道淳), 贈魏大彦, 贈丁文玉(璨壽), 贈金翼卿(世輔), 庚寅陽月哉生明入處鳳陽精舍, 中元憶重菴先生, 仲秋上弦大彦來言所懷, 剝月望朝書示吳禮中(時榮)丁瑩汝(玟壽)金直卿(在植)李祥元(思圈)
七言律詩 : 己卯暮春興省內諸賢會講道岬寺到大明洞和吟, 集古人詩句示諸生, 癸未至月謹次朱子寞灘韻, 謹次重翁贈別正三(金台漢)益進(韓學淵)韻, 到笛坪謹次南坡李丈(僖錫)書示韻, 奉和无悶李兄用其韻, 步錦坡李兄(秉燮)寄示韻, 遊舍人亭敬次原韻, 花樹亭次諸丈韻, 靜潭齋次主翁聞倭洋魏類歷覽沿海諸邑, 林德洪(炳鏞)來訪, 致圖(馬鍾河)讀心經汝仁(金世鉉)讀近思錄文萄忠烈讀論(高彦在)韻, 次崔氏(奎文)龍湖亭韻, 寄題心漁堂, 寄吳大集(成模), 登無等山, 贈別姨弟羅賢守, 語及諸隣兒讀小學作此志喜, 新元逢朗西諸友, 病中强吟, 輿大彦登朱雀山, 知足翁嘉顯(尹樂浩)誦退溪呈尹安東詩因命和之謹忘拙構呈

卷 2
上樑文 : 大明洞祠堂上樑文, 鳳陽精舍上樑文
銘 : 約軒銘, 隧齋銘, 止一齋銘, 持敬齋銘, 母贊室銘, 復軒銘
箴 : 主一齋箴, 紙尺箴, 讀書箴
記 : 寒泉精舍實記, 首陽精舍記, 敬齋箴板重刊實記, 弘毅齋記, 景晦堂記

卷 3
序 : 尊攘新編序, 送陳子平(禹錫)歸皇朝村序, 江陵劉氏宗會案序, 寶巖坊約序, 白虞侯六十一宴行鄕飮禮序
跋 : 敬題 永曆大統曆後, 敬題朱子五倫筆帖後, 敬畏箴跋, 書晩悔集後, 題河君巳千自敍賦後
行狀 : 先考三山府君家狀, 再從叔仁山公(德鉉)行狀, 刑曹參議金公(相勉)行狀, 學生金公(鯨錫)行狀, 次子鳳植狀錄, 次子鳳植正終言行, 十一代祖月峯府君謚狀本草
墓誌銘 : 槐蔭文公(思九)墓誌銘(幷序).

卷 4
傳 : 孝子安公(世龍)傳, 烈婦孺人李氏傳, 金耕讀齋(日淳)傳
贊 : 先師華西李先生畵像贊, 四賢贊
祭文 : 祭華西先生文, 再祭華西先生文, 祭鼓山先生文, 再祭鼓山先生文, 祭蘆沙奇先生文祭重菴先生文, 祭族大父同知公(瑾)文, 祭齋鄭公(在弼)文, 祭茶欄魏兄(榮馥)文, 祭梧軒丁公(炫)文, 祭族弟新齋文, 祭剛軒丁君(炳序)文, 祭亡次子鳳植文, 祭亡長子婦丁氏文, 祭族孫鍾煥文

卷 5
書 : 上華西先生, 上鼓山先生(三), 上蘆沙先生, 上重菴(十三)

卷 6
書 : 上李黃溪(璞), 上李朗海(烋二), 與柳穉程(重敎四), 與崔參判(益鉉與二答一), 與宋祭酒(秉璿二), 答鄭國彦(在弼), 與魏芳瑞(榮馥), 答金子元(勳), 與洪汝章(大憲與一答一), 答李服汝(喜冕五), 答李敬述(孝植), 與田子明, 與洪思伯(任龜與一答二), 答柳聖存(基一), 與奇會一(宇萬三), 與宋燦五(鍾雲), 答朴應瑞(在麟), 與李致道(秉龜), 答族弟民受(永澤), 答宋致承(鎭鳳答一與一), 答金景三(在珪), 答崔德汝(潤燦), 答李進夏(三遠), 答金亨善(泰瑀), 答丁采文(炳序), 答尹士奎(柱璨), 答金贊炯(水), 答玄士明(在昇二), 答朴子善(熙元)

卷 7
書 : 答族弟台漢, 答魏衡良(三), 答郭洪翊趙宗九, 答魏琫植, 答族弟漢文(三), 答金永根(三), 答吳成模, 答崔根完(二), 答金世輔, 答白永昇(答一與一), 答金世鉉, 答黃明奎, 與天台山講會諸生, 寄長兒麟植

卷 8
書贈 : 知止說書贈寒泉齋諸生, 書贈郭昌欽, 讀禮說書贈朴秉洙, 書贈吳成模, 學顔說書贈韓學淵, 陽復說書贈黃明奎, 讀論語說書贈崔采佑, 書贈羅有英, 書贈文忠烈
雜著 : 論天台講說, 寒泉齋夜講略辨, 寒泉齋約規, 寒泉精舍學規, 小學箚疑, 處巳常則, 寶巖坊契約, 小齋志喜

卷 9
雜著 : 經理管見

卷 10
雜著 : 三極圖說, 形而上下圖辨說, 朞圖解說, 日月會朔圖辨說, 土圭地中圖辨說, 律呂相生圖辨說, 卦變改正圖說, 心統性情圖辨說, 人物性同異圖辨說, 費隱圖辨說, 明德圖辨說, 大學全圖後說, 聖賢闢邪圖說, 聖賢傳敬圖說

卷 11
雜著 : 一鑑問答

卷 12
雜著 : 山中燭話, 心說集解上, 心說集解下, 心者身之所主說, 儒釋心學不同辨, 衣制辨答, 衣制辨說

卷 13
雜著 : 寅字說, 闢邪說, 通貨辨答, 異端總辨, 農政新書序條辨, 警示賊徒文
기사목록
目錄
卷之一
卷之二
卷之三
卷之四
卷之五
卷之六
卷之七
卷之八
卷之九
卷之十
卷之十一
卷之十二
卷之十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