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표점
  • 국역/표점
  • 국역
  • 남포집(南圃先生集)
  • 권4
  • 시(칠언절구)(詩(七言絶句))
  • 4월에 배를 띄우다【병소서(幷小序)】(淸和泛舟【幷小序】)

남포집(南圃先生集) / 권4 / 시(칠언절구)(詩(七言絶句))

자료ID HIKS_OB_F9008-01-202202.0005.0001.TXT.0199
4월주 306)에 배를 띄우다【병소서(幷小序)】
4월의 맑고 화창한 초파일
작은 배주 307) 금강 물결에 가볍게 띄우네
전생에 신선의 짝이었음을 알겠으니
기쁜 마음으로 호산(湖山)에서의 속세 밖 유람을 즐기네


두 번째
작은 배에 노 하나로 창주(滄洲)주 308)를 내려가니
물결 위에 둥둥 떠 마음대로 노니네
머리 돌려 천지가 늙어감을 탄식하니
오늘의 이 삶 하루살이와 같구나


세 번째
강산이 합쳐지고 응결되어 절로 하늘이 열렸으니
만고의 흥망 속에 너는 무성한 모습이네
이전 시대의 어떤 사람이 나처럼 한가로웠던가
한 척 배 타고 밝은 달 곁을 길게 떠다니네

【경술년(1670, 47세) 4월 초파일 낮의 조수가 잔잔하기에 내가 형제 몇 사람과 함께 작은 배를 띄워 우로포(尤老浦)에서 출발하여 강 위를 떠다니며 가는대로 내맡겨 두었다. 세심정(洗心亭) 아래에 잠시 정박하였다가 장춘정(藏春亭)주 309)을 거쳐 석관정(石串亭)주 310)에 이르러 배에서 내려 언덕에 올랐다. 동행한 몇 사람들은 바람이 두려워 모두 강굽이에 몸을 숨겼는데, 나는 홀로 바윗길을 오르내리며 조는 갈매기에게 장난을 치기도 하고 맑은 여울을 손으로 튕기기도 하였으며 향기로운 풀 자란 물가를 거닐어 아름다운 화초를 꺾고 돌 모서리에 서서 하늘너머를 바라보기도 하였다. 자득한 마음을 시로 읊어 뜻과 생각이 무한하였으니 실로 다른 사람이 알 수 있는 바가 아니요, 참으로 태허(太虛)와 오묘하게 계합하는 점이 있었다. 날 저물자 돌아와 이에 멋대로 읊고서 나의 신세를 돌아보니 또한 감개한 마음이 뒤따랐다.】
주석 306)4월
원문은 '청화(淸和)'다. 진(晉)나라 사영운(謝靈運)의 〈유적석진범해(遊赤石進帆海)〉에, "초여름 4월이라 맑고 화창하니, 향기로운 풀들이 끝없이 돋았네.[首夏猶淸和 芳草亦未歇]"라 한 데서 유래하여, 4월의 이칭으로 쓰인다.
주석 307)작은 배
원문은 '난주(蘭舟)'다. '목란주(木蘭舟)'의 준말로, 결이 곱고 향기 좋은 목련나무로 만든 작은 배를 말한다. 흔히 조각배의 미칭으로 쓰인다.
주석 308)창주(滄洲)
산수가 아름다운 은사(隱士)의 거처를 뜻하는 말이다. 위(魏)나라 완적(阮籍)의 〈위정충권진왕전(爲鄭冲勸晉王牋)〉에, "창주에 가서 지백에게 인사하고 기산에 올라 허유에게 읍을 한다.[臨滄洲而謝支伯 登箕山以揖許由]"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주석 309)장춘정(藏春亭)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多侍面) 죽산리(竹山里) 화동마을에 있는 정자다.
주석 310)석관정(石串亭)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多侍面) 동당리(東堂里) 동백마을에 있는 정자다.
淸和泛舟【幷小序】
四月淸和初八日
蘭舟輕泛錦江流
前身認是神仙侶
喜作湖山物外遊


其二
扁舟一棹下滄洲
泛泛中流漫浪遊
歎息回頭天地老
此生今日等蜉蝣


其三
江山融結自開天
萬古興亡爾菀然
前世何人閒似我
一舟長泛月明邊

【庚戌四月初八日。午潮方平。余與昆季數人。泛小舟發尤老浦。中江容與。任其所之。小泊于洗心亭下。由藏春亭至石串亭。舍舟登岸。同行數子畏風皆伏河曲中。余獨上下巖徑。或戱押眠鷗。或手激淸湍。步芳洲而折瓊草。立石角而望天表。吟哦自得。無限意思。實非傍人所及知。而眞妙契於太虛者存焉。日晩歸來。仍成浪吟。回▦身世。亦有感慨隨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