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일기
  • 서암일기(棲巖日記)
  • 1929년(기사)
  • 12월(十二月)
  • 30일(기묘)(三十日 己卯)

서암일기(棲巖日記) / 1929년(기사) / 12월(十二月)

자료ID HIKS_OB_F9008-01-202011.0014.0012.TXT.0030
30일(기묘)
-도유단알(屠維單閼)-. 맑음. 《통서(通書)》주 74)를 보다가 〈사제칠(師第七)〉의 "중(中)이란 것은 화(和)이며 절도에 맞는 것이니, 천하의 달도(達道, 공통된 도)요, 성인의 일이다.[惟中也者, 和也, 中節也, 天下達道也, 聖人之事也。]"라는 구절에 이르렀는데, 그 주(註)에서 "화(和)를 중(中)이라고 하는 것은 《중용》과 합치되지 않는다.[以和爲中, 與中庸不合]"라고 하였다. 대개 이발(已發)에 과(過)와 불급(不及)이 없는 것을 취해서 말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서경》의 이른바 '윤집궐중(允執厥中)'이란 것이다. 가만히 생각컨대 부자(夫子, 공자)의 시중(時中)주 75)은 미발(未發)의 중과 발하여 절도에 맞는 중 두 가지 의미가 있다. 동정(動靜)의 다름은 있지만 그 중의 이치는 하나이다.
주석 74)《통서(通書)》
중국 북송대 인물인 주돈이(周敦頤)의 저서로 1권 40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래 《역통(易通)》이라 칭하기도 했다.
주석 75)시중(時中)
때에 따라 적중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중용장구》 제2장에 공자가 "군자는 중용이요, 소인은 중용에 반한다. 군자의 중용은 군자이어서 때에 따라 중도를 지키는 것이고, 소인의 중용은 소인이어서 거리낌이 없는 것이다.[仲尼曰 "君子中庸, 小人反中庸。君子之中庸也, 君子而時中, 小人之中庸也, 小人而無忌憚也.]"라고 하였다.
三十日 己卯
【屠維單閼】。陽。看《通書》。 至〈師第七〉。 "惟中也者。 和也。 中節也。 天下達道也。 聖人之事也。" 註言 "以和爲中。 與《中庸》不合。" 蓋取已發無過不及者而言之。 如《書》所謂 '允執厥中'者也。竊想如夫子之時中也。 未發之中。 發而中節之中。 有二義。有動靜之殊。 然中之理一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