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일기
  • 서암일기(棲巖日記)
  • 1918년(무오)
  • 12월(十二月)
  • (계미)(癸未)

서암일기(棲巖日記) / 1918년(무오) / 12월(十二月)

자료ID HIKS_OB_F9008-01-202011.0007.0009.TXT.0001
(계미)
그믐. 국휼(國恤)주 29)을 들었다. 처음에는 12월 20일에 승하하셨다고 들었다. 혹은 16일이라고 한다. 춘왕정월(春王正月)주 30) 갑신(甲申) 초하루[死魄]주 31)의 삼일째 되는 날인 초사흘[哉生明]주 32)에 소관(素官)과 소복(素服) 차림으로 이어암(李御巖)에서 왕을 위해 곡(哭)을 하였다. 기생백(旣生魄)의 3일째 되는 날인 18일 신축(辛丑)에는 큰 안개가 하늘을 가리어 반나절이 되어도 걷히지 않고, 종일(終日) 이어졌다.
주석 29)국휼(國恤)
국민 전체가 복(服)을 입는 왕실의 상으로, 국상(國喪) 또는 국애(國哀)라고도 한다. 여기에서는 1918년 12월 20일에 승하한 고종 황제의 상을 말한다.
주석 30)춘왕정월(春王正月)
공자가 지은 《춘추(春秋)》에 해마다 춘왕정월(春王正月)을 표기했는데, 이는 주(周) 나라의 정삭(正朔)이 아직도 천하에 행해지고 있음을 보이기 위한 것이었다.
주석 31)초하루[死魄]
백(魄)은 달이 태양빛을 받지 못해 어두운 부분을 말한다. 초하루의 달은 달빛이 아주 소멸하여 사백(死魄)이라 하고, 초이튿날의 달은 사백에 가깝다고 하여 방사백(旁死魄)이라 한다.
주석 32)초사흘[哉生明]
음력 초사흘을 말한다. 《서경》 〈무성(武成)〉 주에 "재는 비로소이다. 비로소 밝음이 나타나니 음력 초사흘이다.[哉, 始也. 始生明, 月三日也]"라고 하였다.
癸未
晦。聞國恤。初聞十二月二十日昇遐矣。或十六日也。春王正月甲申死魄。 越三日哉生明。 素官素服哭王于李御巖。旣生魄越三日十八日辛丑。 大霧蔽天。 至半晌不捲。 連終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