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일기
  • 서암일기(棲巖日記)
  • 1917년(정사)
  • 4월(四月)
  • 16일(무인)(十六日 戊寅)

서암일기(棲巖日記) / 1917년(정사) / 4월(四月)

자료ID HIKS_OB_F9008-01-202011.0006.0007.TXT.0016
16일(무인)
맑음.

〈동지에게 보이다〉
천지가 처음으로 갈라진 후로 백왕(百王)이 흥하고 망하였으니, 소인(所因)한 것은 삼강(三綱)주 81)과 오상(五常)주 82)이요, 손익(損益)주 83)한 것은 문질(文質)주 84)과 삼통(三統)주 85)이다. 소인한 것은 하늘이 지은 것이고, 손익한 것은 사람이 지은 것이다. 하늘이 지은 것은 만고토록 바꿀 수 없으나 사람이 지은 것은 때에 따라 변해간다. 마치 진나라가 주나라의 유약함을 보고 강포함을 더하였고, 한나라가 진나라의 강포함을 보고 관대함을 더한 것과 같다. 그러나 사람이 지어서 끝내 변하는 것으로써는 하늘이 지은 것을 얻을 수 없다. 이후의 제왕으로 손익의 타당성을 얻은 자는 해가 지날수록 장구할 것이고, 타당함을 얻지 못한 자는 해가 지날수록 촉박해질 것이다. 지금에 이르기까지 삼강과 오상의 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삼강과 오상의 도로 처한 자는 거의 얻음이 있을 것이다. 이 뜻은 노논(魯論)주 86)에서 '자장이 십 대 후의 일을 알 수 있을지를 묻다[子張問十世可知也]'장에 밝게 드러난다. 우리 동지들은 더욱 힘쓸 것이니, 삼강과 오상의 도로써 중화의 문화를 사용할지어다.
주석 81)삼강(三綱)
유교 도덕의 기본이 되는 세 가지 도리. 즉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을 말한다.
주석 82)오상(五常)
오륜(五倫). 유교에서 말하는 사람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도리, 즉 인・의・예・지・신을 말한다.
주석 83)손익(損益)
시대의 상황에 맞도록 조화하는 것을 말한다.
주석 84)문질(文質)
강상(綱常)과 제도문물(制度文物). 하나라는 충(忠)을 숭상하고, 상나라는 질(質)을 숭상하며, 주나라는 문(文)을 숭상한 것과 같다.
주석 85)삼통(三統)
하(夏)・상(商)・주(周) 삼대(三代)의 정삭(正朔)을 말한다. 하(夏)나라는 인월(寅月)로 세수(歲首)를 삼아 인통(人統)이 되고, 은(殷)나라는 축월(丑月)로 세수를 삼아 지통(地統)이 되고, 주(周)나라는 자월(子月)로 세수를 삼아 천통(天統)이 된다.
주석 86)노논(魯論)
≪논어≫를 말한다. 위 글은 〈위정편〉에 나온다.
十六日 戊寅
陽。
示同志
天地肇判后。 百王興亡。 而所因者三綱五常。 損益者文質三統。所因者天做底。 損益者人做底。天做底萬古不易。 人做底隨時變易。如秦見周之柔弱。 而加之强戾。 漢見秦之强戾。 加以寬大。然以人做底終變。 不得天做底。此後帝王損益之得當者。 歷年長久。 未得當者。 歷年短促。至于今三綱五常之道不墜。 以三綱五常之道處之。 有庶幾得矣。此義昭著於魯論子張問十世可知也章。惟吾同志勉旃愼旃。 以三綱五常之道。 用夏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