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일기
  • 서암일기(棲巖日記)
  • 1916년(병진)
  • 7월(七月)
  • 15일(임오)(十五日 壬午)

서암일기(棲巖日記) / 1916년(병진) / 7월(七月)

자료ID HIKS_OB_F9008-01-202011.0005.0007.TXT.0015
15일(임오)
흐리고 밤에 비. 이날 밤에 셋째 손자가 태어났다.
이두봉(李斗奉)은 호(號)가 양재(養齋)로, 고향에서부터 장동을 방문하여서 성수(星數)주 39)와 침법(針法)을 꺼내 보여주기에 그것을 기록한다.

〈침법(針法)〉 - 원보방사법(圓補方瀉法)주 40)으로 중침(中針)주 41)을 4관(四關)주 42)에 놓는다.
먼저 사법(瀉法)주 43)을 3회 하는데, 상괄(上括)을 3회, 침두(打針) 때리기 3회 한 후에 청룡파미(靑龍破尾)주 44)한다. 이때는 침두를 엄지손가락으로 흔들며 침두를 3번 넣었다 뺐다 하는 것이 좋다. 백호요두(白虎撓頭)주 45)는 침두를 잡고 보사법(補瀉法)주 46)과 같이한다. 영구탐혈(靈龜探穴)주 47)은 동서남북을 가리키고, 적봉영원(赤鳳迎源)주 48)은 사법(瀉法)과 같이하는 것이 옳다.
- 침술을 행할 때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에 놓는데, 남자는 아침에는 손에 침을 놓고 석양에는 발에 침을 놓는다. 여자는 아침에는 발에 침을 놓고 석양에는 손에 침을 놓는다. 병이 위에 있으면 침은 아래에 놓고, 병이 아래에 있으면 침은 위에 놓는다. 병이 왼쪽에 있으면 침은 오른쪽에 놓고 병이 오른쪽에 있으면 침은 왼쪽에 놓는다. 병이 뱃속에 있고 병이 온몸에 있으면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에 놓으며, 4관(四關)에 모두 놓는다. -
- 침법을 놓는 것은 금귀일(金鬼日)이 좋다. 납음(納音)주 49)에 금(金) 아래가 귀성(鬼星)주 50)이란 것이 이것이다.-
주석 39)성수(星數)
사주 보는 것을 가리킨다.
주석 40)원보방사법(圓補方瀉法)
침을 놓을 때 손가락 모양이 원(圓) 모양이 되면 보법(補法), 펴지면 사법(瀉法)이라 한다.
주석 41)중침(中針)
그리 굵지도 가늘지도 않은 중치의 바늘이다.
주석 42)4관(四關)
곽란(癨亂)이 되었을 때에 통기(通氣)시키기 위하여 손과 발의 네 군데 관절(關節)에 침을 놓는 곳. 곧 손의 두 합곡(合谷)과 발의 두 태충(太衝)을 가리킨다.
주석 43)사법(瀉法)
병증(病症)을 깎아 내리고 쳐내는 방법을 말한다.
주석 44)청룡파미(靑龍破尾)
보법(補法)의 일종으로, 침을 놓고 엄지손가락을 한번은 좌측으로 돌리고 한번은 우측으로 돌리는 방법이다.
주석 45)백호요두(白虎撓頭)
사법(瀉法)의 일종으로, 침봉(針峯)을 한번은 좌측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돌리고 한번은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돌리면서 침을 놓는 방법이다.
주석 46)보사법(補瀉法)
부족한 것은 더해주고 남는 것은 덜어주는 치료법이다.
주석 47)영구탐혈(靈龜探穴)
보법(補法)의 일종으로, 땅속으로 들어가는 거북이가 3진 1퇴(三進一退)하는 방식이다. 상하 좌우(上下左右)로 들어간다.
주석 48)적봉영원(赤鳳迎源)
사법(瀉法)의 일종으로, 봉황이 날개를 펴는 것과 같이 침을 놓는 수기법으로 상하좌우로 회전한다.
주석 49)납음(納音)
육십갑자(六十甲子)를 오음(五音)과 십이율(十二律)에 맞추는 것으로, 갑자(甲子)를 황종(黃鐘)의 상(商)이라 하고 을축(乙丑)을 대려(大呂)의 상이라 하며, 상은 금(金)에 속하므로 갑자와 을축을 바닷속의 금[海中金]이라 하는 따위를 이른다.
주석 50)귀성(鬼星)
28수 가운데 스물셋째 별자리의 별들로, 대한(大寒) 때, 해가 뜨고 질 때에 정남쪽에 나타난다.
十五日 壬午
陰夜雨。是夜生三孫。李斗奉。 號養齋。 自故園來訪章洞。 出示星數針法。 記之。

針法。圓補方瀉法。中針四關。
先瀉三次。 上括三次。 打針頭三次後。 靑龍破尾。 針頭手大指撓。 針頭三次浮沉可。白虎撓頭。 執針頭。 如補瀉法。靈龜探穴。 指東西南北。赤鳳迎源。 如瀉法行之可也。
【行針男左女右。 男子朝日行針手。 夕陽行針足。女子朝日行針足。 夕陽行針手。病在上針下。 病在下則針上。病在左則針右。 病在右針左。病在腹中。 病在全身。 男左女右。 通四關。】
【作針法。 金鬼日可也。納音金下鬼星是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