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열람
  •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1451년 박팽년(朴彭年) 연촌선생퇴휴시송별시발(烟村先生退休時送別詩跋)

1451년 박팽년(朴彭年) 연촌선생퇴휴시송별시발(烟村先生退休時送別詩跋)

기본정보
· 유형분류 고문서-시문류-발
· 내용분류 교육/문화-문학/저술-발
· 작성주체 발급자 : 박팽년(朴彭年)
· 작성시기 景泰二年十一月初八日 (1451)
· 작성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 형태사항 크기 : 33.2 X 36.8
· 소장처 현소장처 : 부안 연곡리 유절재 / 원소장처 :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정의

1451년(문종 1) 11월에 박팽년이 연촌 최덕지를 위해 지은 송별 시문집에 부쳐 작성한 발문.

해제
1451년(문종 1) 11월에 박팽년(朴彭年)이 연촌(烟村) 최덕지(崔德之)를 위해 지은 송별 시문집에 부쳐 작성한 발문이다. 연촌은 1405년(태종 5)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관에 들어가 사관(史官), 교서관(校書館) 정자(正字), 김제군수(金堤郡守), 남원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냈다. 문종이 즉위한 후 예문관(藝文館) 직제학(直提學)에 기용되었으나, 연로함을 이유로 사직하고 고향에 내려갔다. 당시 그의 나이 아직 70이 되지 않았을 때였다. 임금을 비롯하여 조정의 신료들이 그에게 머물러 있기를 바랐으나, 연촌은 전라도 영암에 존양(存養)이라고 이름 지어놓은 소당(小堂)이 있다면서 이제는 그곳에서 여생을 보내고 싶다고 말하면서 귀향의 뜻을 분명히 하였다. 이에 조정의 많은 사대부들이 연촌을 추모하며 석별의 정을 나누는 시들을 작성하여 책을 만들었는데 이미 40여편이 넘었다. 범옹(泛翁) 신숙주(申叔舟)박팽년에게 시는 이미 지어서 책을 만들었으니 발문이나 적으라고 권유하였다. 높은 벼슬에 올라 축하시를 구하여 책을 만들어 후세에 전하려고 하여도 그 일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지만, 갑자기 관직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가는 연촌을 위하여 많은 사람들이 다투어 축하시를 바치는 것이야말로 연촌의 높은 덕망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박팽년은 이 발문에서 지적하고 있다. 박팽년은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본관은 순천(順天)이며, 자는 인수(仁叟), 호는 취금헌(醉琴軒)이고, 회덕(懷德) 출신이다. 1432년(세종 14) 생원시에 합격하고 1434년(세종 16) 알성문과에 급제하여 관에 들어갔다. 세종 때 신숙주, 최항(崔恒), 유성원(柳誠源), 이개(李塏), 하위지(河緯地) 등과 함께 집현전에서 경학을 연마하면서 명망을 얻었다. 수양대군이 어린 조카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차지한 뒤에 단종 복위운동을 추진하다가 사전에 발각되어 처형되었다. 박팽년을 포함하여 사육신이 사면 복권된 것은 그로부터 2백여년이 훨씬 지난뒤 1691년(숙종 17)의 일이었다.
원문텍스트
烟村▣▣(先生)遺[退]休時送別詩跋
人有功名富貴能動一世而不可以得匹夫匹婦之心者又有卑巽謙退若不
自勝而有足以負天下後世之望者是豈非人心不可以勢服而公議自有所
在也耶今完山崔先生上書乞歸士林相稱道知與不知莫不欽慕夫使先生
在朝其名聲爵位當不止此而人之欽慕者宜於是乎在今也退休田里已不
與世相關而萬口咨嗟稱頌不已者何耶其所以感人心而負物望者有不在
彼而在此也余於是局從先生有年日接談論固已服其高義頃者牢於職事
阻濶數年矣今還舊局也則先生已告歸離別之情詎可言歟方欲賦詩以叙
其意而泛翁氏謂余曰諸公有作卷已成矣子當跋其尾余開卷奉讀詩凡四
十餘篇道先生出處之高斯文眷戀之意甚詳一一皆可傳於後也盖世之人
有拜大官而求賀詩以傳後者請之勤而或累年不過數篇先生一朝罷官還
鄕求以自晦而人自榮之爭先歌頌其夛乃至如是其感乎人心者可知余於
是益信公議之不可誣也諸公之詩已足余不作可也遂書卷端云
景泰二年十一月初八日中訓大夫集賢殿直提學知製 敎 經筵侍讀官兼
春秋館記注官
平陽後人朴彭年仁叟跋号醉琴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