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열람
  •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1726년 전여옥(田汝玉) 별급명문(別給明文)

1726년 전여옥(田汝玉) 별급명문(別給明文)

기본정보
· 유형분류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내용분류
· 작성주체 발급자 : 전여옥(田汝玉) / 수취자 : 장손부(長孫婦)
· 작성시기
· 작성지역
· 형태사항 크기 : 48 X 42.7 / 서명 : 田汝玉<着名>, 梁大千<着名>, 劉世彰<着名> / 인장 : □…□ 5顆
· 소장처 현소장처 : (재)한국학호남진흥원 / 원소장처 : 광주 민종기
정의

1726년 4월에 전여옥이 장손자 며느리에게 노비 1명을 물려주면서 작성한 분재기.

해제
1726년 4월 6일에 시할아버지인 田汝玉이 장손자며느리에게 노비를 상속하면서 작성해 준 別給明文이다.
전여옥은 본문 서두에서 재산을 물려주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집안의 흥하고 쇠함은 오로지 내조를 잘하는 여부에 달려 있다. 지금 손자며느리의 자태와 용모를 보아하니, 五品의 형상이 거듭 모여 있다. 어찌 가상하고 다행이지 않는가. 이러한데 조부된 도리로 영리한 손자에 대한 높은 정을 참을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물려주는 재산은 婢 1명인데, 그 인적 사항은 '내 몫으로 물려받은 婢 亍音花의 세 번째 소생인 婢 巡禮, 나이 15세 임진년생'이다. 證保로 梁大千과 筆執으로 劉世彰이 문서 작성에 참여하고 있다.
문서 뒷면에는 배탈입안이 기재되어 있다. 입안은 분재기를 작성한지 31년 뒤엔 1757년 3월에 咸平縣에서 발급하였다. 입안의 내용은 함평현에 거주하는 幼學 田福載가 노비를 같은 함평현에 거주하는 幼學 李命龍에게 노비를 매도했음을 증빙하는 사항이다. 팔고 있는 노비는 31년 전 분재기에서 물려받은 婢인 巡禮가 포함되었고, 아울러 그녀의 첫째 소생인 奴 男奉(23세, 을묘년생), 둘째 소생인 婢 二尙(19세, 기미년생), 셋째 소생인 婢 舍每(16세, 임술년생), 넷째 소생인 婢 禿德(11세, 정묘년생), 다섯째 소생인 奴 福男(6세, 임신년생)도 해당되었다. 모두 6명의 노비를 매도하고 받은 금액은 동전 16냥이다.
배탈 문서에 기재된 田福載은 田汝玉에게 재산을 물려받은 손자며느리의 후손으로 추측할수 있다. 즉 전복재는 어머니 또는 할머니가 물려받은 노비를 그 자손과 함께 매도한 사실을 알 수 있다.

雍正四年丙午四月初六日 長孫婦處 別給明文
右明文爲事段 無他 家之興衰 但在於內助之▣
也 今觀孫婦之姿容 則五品之象 再執 亦豈非嘉
幸耶 以玆祖行之道理 不耐其怜孫之情高乎
無物表悰 衿得婢亍音花三所生婢巡禮 年
十五壬辰 後所生幷以 右孫婦處 永永許給
爲去乎 日後良中 子孫中若有雜談相
爭之弊 則持此文告 官卞呈事
亦在
元財主 祖父 田汝玉 [着名]
證保 梁大千 [着名]
筆執 劉世彰 [着名]

(背面)
乾隆二十二年丁丑三月日 咸平縣背頉
本縣居幼學田福載 衿得婢亍音化三所生婢巡禮 年四十六壬辰 同婢
一所生奴男奉 年二十三乙卯 二所生婢二尙 年十九己未 三所生婢舍
每 年十六壬戌 四所生婢禿德 年十一丁卯 五所生奴福男 年六壬申
六母子乙 價折錢文十六兩 依數捧上爲遣 本縣居幼學李命龍
前 後所生幷以 永永放賣 印
行縣監 [署押]

[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