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열람
  •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1748년 배유장(裵幼章) 추증교지(追贈敎旨)

1748년 배유장(裵幼章) 추증교지(追贈敎旨)

기본정보
· 유형분류 고문서-교령류-고신
· 내용분류
· 작성주체 발급자 : 영조(英祖) / 수취자 : 배유장(裵幼章)
· 작성시기
· 작성지역
· 형태사항 크기 : 60.2 X 85.5 / 인장 : 施命之寶(9.0×9.0)
· 소장처 현소장처 : (재)한국학호남진흥원 / 원소장처 : 광주 민종기
정의

1748년에 배유장을 통훈대부 사헌부 집의에 추증하는 교지이다.

해제
승사랑(承仕郞) 내시교관(內侍敎官)을 지낸 배유장(裵幼章)을 1748년(영조 24) 11월에 통훈대부(通訓大夫) 사헌부(司憲府) 집의(執義)로 증직(贈職)하는 교지이다.
승사랑은 동반 종8품에 해당하는 품계명이며, 통훈대부는 동반 정3품 하계에 해당하는 품계명이다. 내시교관은 궁중의 내시를 교육하고 훈도하는 책임을 맡은 종9품직이다. 집의는 종3품직으로, 사헌부의 장인 종2품인 대사헌 다음 직위이다. 증직하는 사유는 '충효(忠孝) 탁이(卓異)'라고 날짜 좌측에 작은 글씨로 써 놓았다.
배유장은 조선 후기 안동 지역에서 활동한 유생으로, 평생 존주의리(尊周義理)를 투철히 실천한 것으로 명성이 높다.1)1) 향토문화전자대전 참조.
본관은 성산(星山)이고, 호는 유암(楡巖)·서호자(西湖子)이다. 문집으로 『유암집(楡巖集)』 2권이 있으며, 만년에 임명된 내시교관에는 나아가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문텍스트
敎旨
承仕郞內侍
敎官裵幼章
贈通訓大夫司
憲府執義者
乾隆十三年十一月 日
忠孝卓異 贈職事承

[施命之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