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열람
  •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1773년 홍석문(洪錫文) 분급문기(分給文記) 1

1773년 홍석문(洪錫文) 분급문기(分給文記) 1

기본정보
· 유형분류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내용분류
· 작성주체 발급자 : 홍석문(洪錫文) / 수취자 : 안명일(安命一)
· 작성시기
· 작성지역
· 형태사항 크기 : 48.3 X 117.7 / 서명 : 洪錫文<着名>, 洪元升<着名>, 洪元臣<着名>, 洪元謙<着名>
· 소장처 현소장처 : (재)한국학호남진흥원 / 원소장처 : 광주 민종기
정의

1773년 1월에 아버지인 홍석문이 자녀에게 재산을 물려주면서 작성한 분재기.

해제
1773년 1월 25일에 洪錫文이 자녀들에게 재산을 나누어주면서 작성한 分給文記이다. 문서 첫행에 '分給都文記'라고 표기하고 있다. '都文記'한 여러 명에게 재산을 나누어주는 등의 행위로 인해 문서를 작성할 때에는 개별 수취자에게 각각 문서를 작성해주어야 하는데, 여기에는 다른 사람에 해당하는 목록도 함께 적는 때도 있고, 수취자 개별 목록만 적는 때도 있다. 도문기는 각자 개별적인 목록만 적은 문서에 대해 상대적으로 모든 수취자의 분배 목록을 모아 적은 문서라는 의미이다.
문서의 서두에서 홍석문은 재산을 분배하는 소회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내가 지금 육십하고도 다섯이 되었으니, 약간의 토지와 노비를 처리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선대를 모시는 山直의 位土와 부모 및 나 자신의 祭位條를 덜어내고, 이후 각각의 몫을 나누어 준다."라고 하였다.
여기서 밝힌 바와 같이 재산은 ①증조부모 山直의 位土, ②부모님 山直의 位土, ③아버님 祭位條, ④어머님 祭位條, ⑤본인과 처의 祭位條를 먼저 열거하고 있다.
이어서 친동생인 洪元謙에게 주는 재산도 언급하고 있는데 그 사연은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同生弟 元謙에 대한 옛일을 돌이켜 생각하면 나도 모르게 슬퍼져 눈물을 흠뻑 적신다. 어버님이 세상에 계실 적에 우리 세 형제에게 재산을 처분하여 문서를 작성하였다. 그 이후 동생인 원겸은 기유년 정월 26일에 태어났지만, 아버지는 같은 해 2월 22일에 세상을 떠났다. 따라서 우리 세 형제에게 이미 재산을 처분하여 문서를 작성하였기에 이 아우에게는 원래부터 都文書에 재산을 나누어 주는 이름 가운데 들지 않았다. 당연히 우리들에게 나누어 준 재산을 덜어서 몫으로 주어야 하나, 아버님이 이미 손수 택하여 만든 바에 감히 손을 댈 수 없었다. 이에 우리는 스스로 매입한 약간의 논을 몫으로 준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원겸에게 논 1.5마지기를 물려준다고 하고 있다. 이어서 "누대의 종손을 차마 모른 채 할 수 없다."라고 하면서 종손인 조카 洪弘樑에게도 3마지기의 논을 배정하고 있다.
그리고 자녀들에게 배정한 재산을 본격적으로 열거하고 있다. 먼저 장자인 巨樑에게는 논 72마지기, 밭 19마지기, 노비 3명을, 딸인 安命一의 처에게는 논 72마지기, 밭 14마지기, 노비 1명을, 양자가 出繼한 아들인 東樑에게는 논 70마지기, 밭 24마지기를 배정하였다. 이어서 둘째 아들인 홍동량에게 주는 재산에 대해 별도의 단서를 달고 있는데, 여기서 그가 아버지 홍석문의 친동생에게 양자로 입양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別錄으로 적은 단서는 "둘째 아들 동량은 친동생에게 出繼하였다. 재산을 나누어 주는 법에서 차등이 있으므로, 2섬지기를 몫으로 주었지만 1섬지기의 논을 여기에 별도로 기록해 놓는다. 세상일은 어찌될지 모르므로, 혹시 罷養하는 일이 있으면 별도로 기록한 논을 둘째 아들인 동량이 차지하여 갈아먹도록 하라. 만약 영구히 出繼한다면 장자인 거량이 차지하여 갈아 먹도록 하라."라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상분재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죽은 딸에 대해서 "죽은 딸은 나이 20이 되려 할 때 시집도 못 가고 죽었으니 더욱 가련하다. 德山洞의 선산에 있는 여분의 구릉에 장사 지냈다."라고 하면서 묘 아래에 있는 논 1마지기를 산지기 위토로 배정한다고 적고 있다.
문서 작성에는 元財主인 아버지 홍석문 이외에 증인으로 친형인 元升과 친동생인 元臣과 元謙이 참여하고 있다.
원문텍스트
乾隆三十六年癸巳正月二十五日 子婿弟侄處 分衿都文書
右文爲 嗚呼 余今六十有五 畧干田民 不可不區處乙仍于 先代山直位父
母及己身祭位條除出後 各其分衿爲齊
曾祖父母山直位 彌力面下道德來員 詩字畓 二斗落只六負六束 同字陳畓 三斗落只六
負八束 同坪讚字陳畓 一斗落只五卜九束 同字陳畓 二升落只 負數一卜 同坪羔字畓 八升落只三
卜 同字陳畓 一斗落只四卜三束爲齊
父母主山直位 道村面虎吟洞入字畓 四斗落只十六負八束 同字陳畓 三作 六斗落只十四負八束 同字
陳畓 三斗落只 同字陳畓上邊 二刀落只 兩庫負數九卜 同字陳田 六斗落只五卜 同字陳田 十斗落只 負數
十三卜七束爲齊
父主祭位條 龍門面上德山洞 爲字畓 三作 伍斗落只 負數二十二負爲齊
母主祭位條 龍門面舊校洞員 呂字畓 四斗二十一卜六束 同字畓 二作 幷六斗三十三卜七束 致字田 二作 幷七
斗落只 負數十卜五束 奴己金金年三十三 婢夢業年二十九爲齊
夫妻祭位條 呂字畓 二作 幷伍斗落只 負數二十七卜八束 騰字畓 三斗 負數十七卜六束 同字畓 二作 幷六
斗落只 負數三十四卜一束 垈田竹田 爲字 七作 幷負數三十一負一束內 十五負五束 庫登洞員 雨字田 二
作 幷九斗 同字反畓 壹斗 婢夢業一所生奴得男年七 婢元尙三所生奴石年金年十七 婢元尙年
五十五爲齊
同生弟元謙追慕舊事 不覺哀淚滲然 父主在世之日 吾等三兄弟處 區處成文後 同生弟元謙 己酉正月
二十六日生辰 而父主同年二月二十二日別世 則吾等三兄弟處 已爲區處成文 故此弟元無都文書中分財列
名 事當吾等分給中除出衿給 而父主已成手擇 不敢下手 吾等自已買得是在 畧干畓庫 衿給
爲齊 蘆洞面九龍村 上邊 轉字畓 一斗五刀落只爲齊
宗孫侄弘樑 累代宗孫 則不忍越視 龍門面頭毛谷員 露字畓 三作 幷三斗落只 負數十卜爲齊
長子巨樑 呂字畓 五作 幷十斗 騰字畓 二作 幷五斗 調字畓 四斗六升 雲字畓 四刀 調字畓 三斗 同字畓
一斗 同字畓 二斗落只 彌力面下道城忠員 詩字畓 三斗 福內面 上道官田員 暑字畓 五斗 城後 日字
畓 三作 幷五斗 德山洞 爲字畓 防川內 四斗 同坪墨石員 結字畓 四斗 蘆洞面梧洞亭子下員
通字畓 四斗 同員 通字 廣字 合九斗 同員 廣字 反畓 二斗 長興 長東面杯山員 淵字畓 十四斗
內 上邊 六斗 德山洞 爲字畓 五斗 蘆洞面防築下 面畓兩庫幷六斗 致字田 六斗 德山洞 墓下 結字田 四
斗 彌力面松林員 悲字田 九斗落只 婢尙丹年四十四 同婢一所生婢喜才年十七 奴夢伊年三十七爲齊
女婿安命一 龍門面梧里洞 律字畓 五斗 蘆洞面防築下 面字畓 二作 幷十五斗落只 玉巖面糠山坪
滿字畓 四斗落只 心字畓 四斗 頭尾峙 堅字畓 二斗 長興長東面怪石洞 流字畓 伍斗落只
同面杯山員 息字畓 十斗落只 杯山員 淵字畓 八斗落只 同面社倉洑坪員 惡字畓 二作 幷十
二斗落只 長西面水臧員 暑字畓 六斗落只 帳內員 日字畓 一斗 糠山村 直字垈田 四斗落只
牛峯洞 守字田 伍斗落只 頭尾峙 爵字垈田 伍斗落只 元尙二所生婢順每年二十二爲齊
出繼子東樑 龍門面玉基村 騰字畓 兩庫幷九斗落只 致字畓 一頭 頭毛谷員 露字畓
兩庫幷伍斗 同坪 露字畓 七升 結字畓 一斗 德山洞 爲字畓 伍斗 同坪眼山 爲字畓 三斗 蘆
洞面 鞍峙員 渭字畓 六斗 兆內面塔洞員 髮字畓 八斗落只 松谷面國巖員 斯字畓 三
斗落只 斗毛谷員 玄字田 四斗落只 玄字田 三斗 結字垈田 兩庫幷三斗 德山洞 結
字田 下邊 三斗落只 同坪員 爲字田 二斗落只 彌力面松林坪 難字田 九斗落只 婢尙丹
二所生奴獨術里年十爲齊
別錄 次子東樑 出繼于同生弟 分衿法有差等 故二石許衿給 而一石畓庫 如
是別錄名 世事無常 或有罷養之擧 則別錄畓 次子東樑次知耕食爲遣 永
爲出繼 則長子巨樑次知耕食 依父所願爲齊 別錄畓 德山洞防
築內 霜字畓 金字畓 兩庫合七斗落只 德山洞 爲字畓 四斗落只 上德山洞
結字畓 二斗落只 蘆洞面九龍村 轉字畓 下邊 二斗落只 同面村前員
疑字畓 伍斗落只
亡女 年將二十 未嫁前身死 猶爲可矜 入葬于德山洞先山餘壠 故墓下
結字畓 一斗落只 除出山直位 永世禁火禁伐事爲齊

元財主 父 [着名]
證 同生長兄 元升 [着名]
證 同生弟 元臣 [着名]
證 同生弟 元謙 [着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