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열람
  •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1832년 김양묵(金養默) 고신(告身) 3

1832년 김양묵(金養默) 고신(告身) 3

기본정보
· 유형분류 고문서-교령류-고신
· 내용분류 정치/행정-임면-고신
· 작성주체 발급자 : 순조(純祖) / 수취자 : 김양묵(金養默)
· 작성시기 道光十二年五月初六日 (1832)
· 작성지역 서울특별시 종로구
· 형태사항 크기 : 51.3 X 76 / 인장 : 8.0*8.0 1개(적색, 정방형)
· 소장처 현소장처 : 부안 돈계리 김응상 후손가 / 원소장처 : 부안 돈계 김응상 후손가
정의

1832년(순조 32)이조(吏曺)에서 국왕의 명을 받아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 김양묵(金養默)무공랑(務功郞) 행승문원저작(行承文院著作)에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첩(敎牒)

해제
1832년(순조 32) 5월 초 6일에 이조(吏曺)에서 국왕의 명을 받아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 김양묵(金養默)무공랑(務功郞) 행승문원저작(行承文院著作)에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첩(敎牒)이다. 발급 일자 위에 이조의 관인이 답인(踏印)되어 있고, 이조 판서(判書)가 서압(署押)하였다. 무공랑은 정7품 문관에게 주던 품계이다. 승문원은 사대교린에 관한 문서를 관장하고 이문(吏文)의 교육을 담당한 관서로 정자는 정9품, 저작은 정8품이다. 수취자의 품계인 무공랑이 관직인 승문원 정자의 품계보다 높았기 때문에 행수법(行守法)에 따라 관직명 앞에 행(行)자를 표기하였다.
한편, 문서 배면(背面) 좌측 하단에는 '吏吏金亨福'이라고 적혀있다. 吏吏는 고신을 작성한 이조서리이며, 김형복서리의 이름이다. 부안 김씨 김양묵 가문이 소장하고 있는 고신의 배면을 보면 김형복뿐만 아니라 김형복, 김정호 등의 김씨 성을 가진 서리의 이름이 연속적으로 등장한다. 이는 이조에 근무하는 서리 가운데 김씨 성이 대를 이러 부안 김씨 가문의 단골 서리 역할을 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김양묵은 본관이 부안(扶安)으로, 1829년에 정시문과(庭試文科)에 급제하여 관직생활을 했기 때문에 그가 받았던 고신(告身)들이 그의 후손 가에 오늘날도 전하고 있다. 특히 그가 문과 응시 당시 작성했던 시권(試券)과 급제하여 받았던 홍패(紅牌)를 비롯하여, 고신 16점, 차첩 2점 등 20점이 남아 있다. 뿐만 아니라 그의 아버지 김응상(金膺相)과 어머니, 그리고 할아버지와 할머니, 증조와 증조할머니, 고조와 고조할머니 등이 받았던 고신 20점이 전하고 있는데 대부분 추증교지(追贈敎旨)이다. 이 추증교지는 김응상이 고신을 받을 때마다 함께 받았던 것들이다. 고신 외에 김응상이 1819년부터 1855년까지 작성했던 호구단자(戶口單子) 7점도 전하고 있어서 그의 가족 상황을 살펴 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김응상은 생전에 부안현 남하면 돈계리에 내내 거주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오는데, 오늘날의 부안군 주산면 돈계리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원문텍스트
[미상]
吏曺道光十二年五月初
六日奉
承文院正字金養黙
務功郞行承文院
著作


道光十二年五月初六日

判書[着押] 參判 參議 正郎 佐郞

[官印]

吏吏金亨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