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열람
  •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1781년 오시유(吳時裕) 등 상서(上書)

1781년 오시유(吳時裕) 등 상서(上書)

기본정보
· 유형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내용분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작성주체 발급자 : 오시유(吳時裕) / 수취자 : 순어사도(巡御使道)
· 작성시기 辛丑十二月日 [1781]
· 작성지역
· 형태사항 크기 : 98.2 X 110 / 서명 : 巡撫御使[着押] / 인장 : □…□ 5顆(7.0x7.0)
· 소장처 현소장처 : (재)한국학호남진흥원 / 원소장처 : 전남도청(2019년 구입 의병자료)
정의

1781년(정조5) 12월에 전라도(全羅道) 진사(進士) 오시유(吳時裕) 등 111명이 순어사또(巡御使道)에게 이지득(李止得)의 충절에 대해 표창해 주길 청하는 상서(上書)

해제
1781년(정조5) 12월에 진사(進士) 오시유(吳時裕)전라도 열읍(列邑) 유생(儒生) 111명이 연명으로 순어사또(巡御使道)에게 이지득(李止得)의 충절에 대해 표창을 청하는 상서(上書)이다. 나주 진사 오시유 등 총 111명의 전라도 여러 고을의 유생들이 나주사복(司僕) 이지득(李止得, 1555~1594)의 임진왜란 때 의병 활동 사실을 서술하면서 그의 충절이 이와 같이 뛰어남에도 지금까지 포상의 은전을 받지 못하고 있으니, 이 사실을 임금님께 아뢰어 포정(褒㫌)의 은택을 입을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순어사또는 '이공의 충절은 매우 흠탄할 만하나 다만 임금께 글로 아뢰는 것은 중대하니 이조에서 마땅히 헤아려서 할 일'이라는 처분을 내렸다. 상서에 연명한 이들은 나주, 광주, 영광, 함평, 능주, 창평, 담양, 화순, 장성, 남평나주 인근 지역에 사는 유생들이다.
이지득의 충절 포창과 관련하여 1863년 2건의 문서가 있으며, 1893년에는 함평이씨 삼부자의 표창을 요청하는 문서가 함께 남아있다.
이지득(李止得, 1555~1594)의 자는 덕보(德甫), 본관은 함평, 함풍군 극명(克明)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이유회(李惟誨)이다. 나주시 다시면 영동리 초동에서 태어났다. 1584년(선조 17) 별천(別薦)으로 겸사복(兼司僕) 내승(內乘)이 되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 임금이 파천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군량을 모아 행재소로 가서 남으로 내려오기를 청하고 돌아왔다. 1594년(선조 27)에 사재를 털어 군량미로 공급하였고, 장경홍(張景弘)장경남(張景男) 형제와 의병을 모아 활동하다가 흥양포(興陽浦) 전투에서 순절하였다. 1892년(고종 29) 충신정려(忠臣旌閭)가 내려 졌고, 병조참의에 증직되었다. 현재 나주시 다시면 영동리 초동마을이지득의 정려각인 포충각(褒忠閣)이 있다.
상서(上書)는 조선시대 민원서(民願書)인 소지류(所志類)로 그 서식은 다른 소지류와 약간 다르다. 이 문서는 관찰사·수령·암행어사 등에게 올리며, 그 내용은 산송(山訟)과 효행(孝行)·탁행(卓行)의 정려(旌閭)를 위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인원이 많은 경우는 연명하여 올리기도 한다. 이 상서는 전래되고 있는 것이 많으며, 시대는 대개 조선 중기 이후에서 말기까지의 것이 대부분이다.
상서를 접수한 관찰사수령은 이를 검토하고 그 처분을 문서의 좌편 하단의 여백에 써놓는다. 이것을 제음(題音) 또는 제사(題辭)라 한다. 이와 같이, 처분한 내용을 써서 상서를 올린 사람에게 돌려준다. 그러나 수령에게 1차 올려서 일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2차, 3차 계속 올리며, 그래도 해결되지 않으면 관찰사에게 올리게 된다. 이러한 상서는 당시의 사회사정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원문텍스트
全羅道列邑儒生進士吳時裕等謹齋沐上書于
巡御使道按節之下伏以褒忠㫌節爲 國先務激勸世道扶植人心苟有可褒之忠㫌之節則豈以世代之久遠置而不論哉竊念羅州節義之鄕也金健齋倡義使父子
及梁承旨山濤諸公當壬辰倭寇殉節於晉州矗石江其偉烈貞忠與星月爭光而 朝家褒寵炳烺於千載之下矣至若羅州司僕李公止得末宦家食殉 國自
誓素所蓄積於中者而逮逢龍蛇之亂兩京旣覆八路俱壞墟里烟絶臣民鳥竄雖 天兵東救住郞開府而十萬軍粮無以供饋上自畿旬下至州縣無現存󰡖師之穀
伊時 國勢殆乎汲汲智者束手而汲策 朝野跂足而無計於是乎李公奮袂而起先募義穀於列郡同志之士與奇公孝曾幹當其事載運於千里海路以助軍粮未哉大
軍滯陣不進京城危迫迫在朝暮且萬軍頷顑無復進戰之心李公見 國歌急急之勢挺身獨當更募義穀白米一百四十二石九斗五升赤豆一石及期轉運再饋
天兵進復京城李公之前後効忠班班可考於兩紙古蹟而且其時右相未知爲何公而成給帖文喪葬運穀之苦忠益勉其更募漕運印踏署押之跡只今未沫則李公之効忠不待
卞說而矣及至島夷充斥兩南擰鋒前到興陽等地則李公挺身而出手持長槍胺帶大刀與同志張公景弘搏進賊󰡖斬馘倭酋石綻等十餘級忽有飛丸中傷公左
脅落於水奴金同者負公而歸于船公將紀呼張公而訣曰生未斬倭死豈▣▣▣人眷佑廓掃妖氣丈夫雖殞義魂猶幸云而遂絶焉李公之義烈至今尙在口碑嗚呼李公之
再募義穀勇斬倭首級夫賊鋒之殉節明白巍卓宜若竝列於金健齋梁承旨諸公㫌褒之日而募穀之尺文無人現告殉身之毅節無人闡揚遂致湮沒而未彰在李公則無憾
而 朝家㫌褒之典顧不有欠哉玆乃鄕人聞于官道內章甫爭赴名帖呈于 巡營則題云李公忠節在古亦罕兩紙古蹟宛然可考多士呈單蔚然可見百戰之下令人欽歎但
孝烈狀 聞已於歲首封進今無可及留待後日云矣生等生長於李公之隣邑而慣聞李公之殉節目覩其募義尺文 政府帖文不勝其仰鬱泯滅之感更此仰蹟於
▣節之下伏▣…▣之再運募穀之忠竟致殉節之義啓達 天門俾蒙褒㫌之澤勿令義烈百代未闡之地千萬祈懇之至
巡御使道 處分
辛丑十二月 日
羅州進士 吳時裕 奇繼商 廉宗愼 廉宗鏶 金之獜 金吉羽 閔邦仁 幼學 柳希顔 洪載淵 柳德漠 金德鼎 李遇臣 金麗臣 羅得敬 洪若洙 張天翰 羅廷瑞 柳文錫 吳時爕 柳德復 崔承烈 林永鎭
光州進士 朴徽鎭 金義集 朴聖激 鄭潤吉 朴河鎭 幼學 柳迪 柳光國 奇秉勳 柳逹 金大鳴 崔澐之 李有坤 李實 金孝一 朴爕 高一柱 靈光進士 李以錫 吳先源 李景錫 幼學李國佐 柳元龜 丁友仁 李應台 金必大 金允國
綾州進士 文演撲 南熤 幼學 文濬吾 閔奎五 洪永宅 李政垕 崔鳳祉 林泰赫 奇宗喆 宋(氵+喆)梁命龍 咸平幼學 安邦允 李洪心 鄭錫亮 安復允 鄭錫白 金垕錫 李命建 李慶鳳 李廷燦 鄭齊夏 金宅欽 金若欽
昌平進士 高時遇 朴虎瑞 吳相鼎 幼學 鄭梓 梁學海 朴瓓 柳震升 羅得奎 潭陽進士 羅得和 南彦夏 幼學 金文達 金虎達 務安幼學 金鎰 金涷 崔致祥 金淑 林東鎭 高載岳 宋之翼 金虎瑞 和順進士 曺翊鉉 幼學 崔孝昌 崔堯昌 曺翊俊 柳涑
柳亨運
長城進士 邊得衡 幼學 邊得一 朴成春 金直賢 金益賢 南平進士 洪鳳周 幼學 崔鳴岐 洪憲東 宋相履 李徵福 鄭明欽 任昌福 徐粹貞

巡撫御使[着押]

(題辭)
李公忠節
聞極
欽歎
但登
聞体
重更
當商
量向事
卄二

[官印] 5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