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열람
  •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1773년 백민징(白敏徵) 교지(敎旨) 3

1773년 백민징(白敏徵) 교지(敎旨) 3

기본정보
· 유형분류 고문서-교령류-고신
· 내용분류 정치/행정-임면-고신
· 작성주체 발급자 : 영조(英祖) / 수취자 : 백민징
· 작성시기 (1773)
· 작성지역 서울 종로구
· 형태사항 크기 : 30.1 X 45.1 / 서명 : [官印] 1개 / 인장 : 6.5*6.5(정방형) 적색 1개
· 소장처 현소장처 : 영암 곤이시 수원백씨가 / 원소장처 : 영암 곤이시 수원백씨가
정의

1773년(영조 49)에 국왕이 백민징(白敏徵)절충장군첨지중추부사(折衝將軍僉知中樞府事)에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敎旨)

해제
1773년(영조 49) 3월에 국왕이 백민징(白敏徵)절충장군첨지중추부사(折衝將軍僉知中樞府事)에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敎旨)이다. 절충장군(折衝將軍)은 조선시대 무신 정3품 당상관(堂上官)의 품계명으로 해당 관직에는 중추부(中樞府)의 첨지사(僉知事)가 있다.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는 조선시대 중추부(中樞府)의 정3품 당상관(堂上官)으로 정원은 8명이다. 위로 영사(領事) 정1품 1원, 판사(判事) 종 1품 2원, 지사(知事) 정2품 6원, 동지사(同知事) 종2품 8원이 있고, 아래로 종4품인 경력(經歷) 1원과 종5품인 도사(都事) 3원이 있다. 수원백씨 가문에는 이 교지를 포함하여 백민징의 교지가 4건 소장되어 있는데, 모두 80세가 넘어 수직(壽職)으로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실직(實職)에 임명된 것은 아니다. 이 교지가 소장된 영암의 수원백씨 가문에는 백민징의 호구단자를 포함하여, 그의 아들 백창윤(白昌潤), 손자 백경옥(白慶玉), 증손 백사형(白思亨) 등의 호구단자 11점이 소장되어 있다.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에 작성된 것들이다.
원문텍스트
敎旨
白敏徵
折衝將軍
僉知中樞
府事

乾隆三十八年三月 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