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열람
  •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후창선생문집(後滄先生文集)
  • 권5
  • 소심 황장에게 올림(上小心黃丈 乙丑二月)

후창선생문집(後滄先生文集) / 권5

자료ID HIKS_OB_F9002-01-201801.0005.TXT.0002
소심 황장에게 올림
매번 우리 어르신께서 정재(靜齋)에게 보낸 편지글을 읽어보면, 늠연하게 선사의 절의가 드러나고 환하게 음인(陰人)주 13)의 간담을 깨뜨려서 사람으로 하여금 숙연하게 공경심을 일으키게 하니, 직접 존장의 가르침을 받는 것 같았습니다.
아, 저들이 스승을 무함하는 일이 날마다 불어나고 달마다 깊어지고 있습니다. "은행나무 아래에서 홀로 명을 받은 것주 14)은 리(鯉)가 공자(孔子)를 독대하고주 15)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이 효종(孝宗)을 독대한 것이다." 하고【김세기】, "증자의 일관(一貫)이다."주 16) 하고【우형근】, "단전밀부(單傳密付)주 17)로, 간옹이 귓속말로 전한 것이다." 하며【조충현】, "경신년(1920)의 유서는 인가 받지 말라는 뜻이 아니라 별도로 가리키는 뜻이 있다." 하며【최원, 정운한, 김세기가 세 차례 어른에게 말한 것임】, "신해년(1911)의 유서는 하늘에서 떨어지고 땅에서 솟아났다." 하고【정운한】, "크게 의심할 만하다." 하고【김세기】, "감히 가리켜 있다고 할 수 없다." 하니【조충현】, 사람들의 기탄없음이 어찌 이런 극심한 지경에 이른단 말입니까? 일이 이에 이르러 내버려두려고 하면 끝내 선사의 무함을 씻을 날이 없고, 내버려두지 않으려고 하면 저쪽은 강하고 우리는 약하여 결말이 날 기약이 없으니 어떻게 하면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호중(湖中)은 선사께서 도를 제창한 곳입니다. 그러므로 동문과 노성(老成)한 분들이 많으니, 오늘날의 변란에 큰 발길질로 치우친 말을 막고 지극한 정성으로 은혜에 보답하는 것주 18)은 또한 마땅히 호중에서 많이 나와야 하는데, 적막하니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리어 저쪽을 편들어 비호하는 자가 있음을 면하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나라 사람들이, 음성의 오진영을 성토하는 것이 호남의 치우친 논의에서 나왔다고 의심하는 것에 혹 염려가 없지 않으니, 어찌 답답하고 한탄스럽지 않겠습니까? 이에 홀로 우리 어르신께서 사문의 선배요 호중의 두터운 명망으로 우뚝이 의리를 잡아 지키고 의연히 정도를 부지하여 남들이 밝히지 못한 것을 밝히신 스승의 의리를 천명하셨고 폐와 간을 보듯 훤한 저들의 실정을 알아내셔서 확실하게 각인시켜주 19) 조금도 용서하지 않으셨습니다. 그런 후에야 사람들이 모두 음성의 오진영이 저지른 죄는 마땅히 성토해야 하고 호남의 의론이 치우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서, 의심하던 자들도 일제히 따라서 안정되었습니다. 어르신 같은 분은 참으로 노성하고 명망이 두터운 실상에 부합하여 사문의 순정한 신하가 되시니, 세도의 다행스러움이 어찌 이보다 더함이 있겠습니까? 저 무리들이 점점 더 무함하여 거리낌이 없으니, 오직 우리 어르신께서는 거울 같은 마음을 더욱 밝히고 부월 같은 필치를 더욱 엄격하게 하여 시종 그들을 물리쳐 멈춤이 없으시기를 바랍니다.
주석 13)음인(陰人)
음성(陰城)에서 살고 있던 오진영을 가리킨다.
주석 14)은행나무……것
원문의 '행하독명(杏下獨命)'은 오진영이 은행나무 아래에서 홀로 간재에게 문집 발간의 명을 받았다는 말이다.
주석 15)리(鯉)가 공자(孔子)를 독대하고
리는 공자의 아들로, 자는 백어(伯魚)이다. 공자가 뜰에 홀로 서 있을 적에, 백어가 종종걸음으로 그 옆을 지나가자, 공자가 시(詩)와 예(禮)를 배우라고 훈계한 고사를 말한다. 《논어(論語)》 〈계씨(季氏)〉
주석 16)증자의 일관(一貫)이다
일관은 일이관지(一以貫之)의 준말이다. 공자(孔子)가 제자 증삼(曾參)을 불러서 "나의 도는 하나의 이치로써 모든 일을 꿰뚫고 있다.〔吾道 一以貫之〕"라고 하자, 증삼이 "예, 그렇습니다.〔唯〕" 하여 곧바로 깨닫고는 잘 모르는 다른 문인에게 "부자의 도는 바로 충서이다.〔夫子之道 忠恕而已矣〕"라고 설명해 준 것을 말하는데, 오진영이 문집간행에 대한 간재의 뜻을 홀로 알았음을 비유한 것이다. 《논어(論語)》 〈이인(里仁)〉
주석 17)단전밀부(單傳密付)
《주자대전(朱子大全)》 권59 〈답왕숙경서(答汪叔耕書)〉에서 "〈태극도(太極圖)〉를 단전밀부(單傳密付)의 삼매(三昧)로 여기는 것은 또한 근세 학자들이 형체를 등지고 그림자를 쫓으며 거짓을 가리켜 진짜라고 하는 폐단입니다."라고 하였다. 단전밀부는 한 사람에게만 은밀하게 전수한다는 의미이고, 삼매는 흐트러짐 없이 한곳에 집중한다는 의미로 모두 불교의 용어이다. 여기서는 전우가 오진영에게 은밀히 남긴 유언이라는 의미이다.
주석 18)큰 발길질로……보답하는 것
《주자대전(朱子大全)》 권28 〈답진동보서(答陳同夫書)〉에, "공자가 어찌 지극히 공정하고 지극히 성실하지 않았겠으며, 맹자가 어찌 거친 주먹을 휘두르고 큰 발길질을 하지 않았겠는가.〔仲尼豈不是至公血誠 孟子豈不是麤拳大踢〕"라고 한 데서 나온 말로, 여기서는 오진영의 한쪽으로 치우친 주장을 반박하여 물리치고 스승의 은혜를 지성으로 갚는 것을 말한다.
주석 19)확실하게 각인시켜
원문의 '일봉일혈(一棒一血)'은 《주자어류(朱子語類)》 권34에 "대개 성인이 하시는 일은 예를 들면 방망이로 내려쳐서 한 가닥 혈흔(血痕)이 생기게 하고 손바닥으로 때려서 혈인(血印)이 생기게 하는 바로 그런 것과 같은 것이다.〔大概聖人做事 如所謂一棒一條痕 一摑一掌血 直是恁地〕"라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上小心黃丈 乙丑二月
每得吾丈與靜齋書, 讀之, 凜凜然先師節義著, 灼灼然陰人奸膽破, 令人肅肅然起敬, 宛若親承尊誨也。
噫, 彼邊之誣師, 日滋月深。 謂杏下獨命, 爲鲤尤獨對【金世基】, 曾子一貫【禹烔根】, 單傳密付, 艮翁耳語【趙忠顯】。 謂庚申遺書, 謂非指勿認, 而別有所指【崔愿·鄭雲翰·金世基, 三次惇丈】。 謂辛亥遺書, 從天降從地出【鄭雲翰】, 可疑之大者【金世基】, 不敢指以爲有【趙忠顯】, 人之無忌憚, 胡至此極? 事到于此, 欲置之乎, 則終無洗誣之日, 不置之乎, 則彼強我弱, 出場無期, 未知如何則可乎? 竊念湖中, 先師倡道之地。 故多同門老成, 今日之變, 大踢距詖, 血誠報佛, 亦宜多出湖中, 不惟寥寥爲未聞, 反不免有護袒者。 故國人之疑討陰之出於湖南偏論者, 或不無慮, 寧不悶歎? 乃獨有吾丈, 以師門先進, 湖中重望, 卓然仗義, 毅然持正, 闡師義之發人未發, 得彼情之如見肺肝, 一棒一血, 不少假貸。 然後人皆知陰罪之當討, 湖論之非偏, 疑之者, 翕然隨定。 若丈者, 誠副老成重望之實, 而爲師門之純臣也, 世道之幸, 豈有加此哉? 彼輩之滋誣無憚, 惟願吾丈之心鏡愈明, 筆斧愈嚴, 始終闢之而無替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