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열람
  •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후창선생문집(後滄先生文集)
  • 권4
  • 나성부제봉에게 답함(答羅性夫濟奉 ○乙丑)

후창선생문집(後滄先生文集) / 권4

자료ID HIKS_OB_F9002-01-201801.0004.TXT.0045
나성부제봉에게 답함
지난번에 외람되이 방문해주시고, 이윽고 또 정성스럽게 편지를 보내주셨는데 바빠서 답장을 올릴 겨를이 없었습니다. 바야흐로 저의 허물을 추궁하고 있었는데, 어찌 넓은 도량으로 더욱 정성스럽게 재차 편지를 보내올 줄은 생각이나 했겠습니까. 이는 이미 남의 허물을 따지지 않는 하나의 일주 100)로서 안자(顔子)의 경지를 추구하는 것에 절반은 넘었다고 할 것이니, 대단히 흠복하는 바입니다. 그대의 종질 익부(益夫)가 크게 진보한 것은 본래 그의 타고난 자질이 훌륭하고 부지런히 공부했기 때문이니, 졸렬한 제가 무슨 관여할 것이 있겠습니까. 이렇게 뜻밖의 칭찬을 받으니 더욱 부끄러워 땀이 납니다. '더욱 자세히 가르쳐달라.'는 말씀은, 제가 비록 합당한 사람은 아니더라도 어찌 감히 다른 생각을 하겠습니까. 다만 자신에게 덕이 있어 따르는 이웃이 있게 되는 것주 101)과 서로 상대의 장점을 보면서 선하게 되는 것주 102)은 강학(講學)하는 사람의 큰 복입니다. 그대와 익부는 친척 중의 금란지교이고 한 집안 내의 정신적 교유 관계입니다. 이웃 중에 누가 이보다 가깝겠으며, 서로 관찰하는데 누가 이보다 친밀하겠습니까. 서로 도움을 주고 서로 권면하여 아름다움이 서로 나란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나씨 집안의 두 현명한 사람을 칭찬하고 부러워하게 하십시오. 이와 같다면 집을 나가지 않더라도 충분한 스승이 있을 것이니, 어찌 굳이 제가 익부를 도와주는 것을 기다리겠습니까? 근래에 들으니, 서패(書旆)를 스스로 부여잡고 노력하여 더욱 착실하게 도움을 받는다고 합니다. 이것은 바로 옛날의 이른바 "널리 배워 일정한 곳이 없다."주 103)는 것입니다. 대붕(大鵬)의 날개가 바람을 쳐 일으켜 하늘에 이르는 격이니, 어찌 부럽고 축하하는 마음을 이루 다 말하겠습니까. 다만 생각건대, 우리들의 관계가 비록 소원하고 새로 교유했다고 하더라도 진실로 과도하게 높이고 절절하게 사양하여 고인의 덕으로 사랑하는 기풍에 어긋나면 안 되는데, 하물며 저와 그대는 가까운 마을에 살고 있으니 더욱 말할 것이 있겠습니까. 선대 인척의 정의(情誼)가 간절했으니 한 번 속마음을 털어놓지 않고 겉만 꾸미는 일을 저는 할 수 없습니다. 일찍이 선생 장자(先生長者)에게서 학문의 대강을 들었는데, '자신에게 덕을 축적하고 싶으면 원대한 뜻을 세우고 바르고 정확한 길을 달려서 윤상(倫常)의 도를 강구하여 밝히고 성경(誠敬)의 공효를 체험하여 인의(仁義)의 집에 귀숙해야 한다. 사리(事理)를 발명하고자 한다면 성명(性命)의 근원을 궁구하여 꿰뚫고 경전의 깊은 뜻을 융합하여 이해하고 예절의 상변(常變)을 종합하고 분석하며 지난 역사의 득실을 저울질하여 문장으로 총괄하여 드러내야 한다. 세상일에 응대하고자 한다면 정학(正學)을 숭상하여 사설(邪說)을 물리치며 군자를 나오게 하고 소인을 물러가게 하며 왕도(王道)를 숭상하고 패공(覇功)을 쫓아내며 중화를 높이고 오랑캐를 물리쳐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제가 비록 한심하지만 뜻한 바는 이것뿐이고 힘쓰는 바도 이것뿐인데, 자질이 이미 아름답지 못하고 실천 또한 힘이 없이 어느덧 40세에 이르렀습니다. 가슴속을 들여다보면 텅텅 비어 하나도 얻은 것이 없으니, 어찌 감히 말하고 응대하는 것이 장래에 소문나기를 바랄 수 있겠습니까. 자신을 돌아보매 스스로 서글퍼져 한밤중에도 서성이게 됩니다. 그대는 순후하고 훌륭한 자질로 젊은 나이에 시작하여 날마다 소문이 나니, 제가 고한 말들은 틀림없이 이미 보았던 소릉(昭陵)주 104)일 것입니다. 그대는 하루에 천리를 가는 천리마이니 다시 어찌 많은 말씀을 드리겠습니까. 지극한 도는 깨우치기 어려운데 세월은 쉬이 흘러가 버리니, 이는 옛 사람들이 탄식했던 바입니다. 저의 오늘날 모습은 흡사 퇴락한 곤궁한 집모양이지만 옛날 젊었을 때의 장렬한 뜻을 간직하지 않은 적이 없었습니다. 앞에서 수레를 전복시킨 자가 뒤따르는 수레가 잘 몬다는 이유로 길이 험하고 좁은 상황을 알려주지 않지는 않습니다. 제가 그대에 대해서도 이와 같습니다. 대낮의 등불이라고 치부하여 버리지 않기를 바라니,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그런데 또 생각건대, 오늘날 상황은 금수의 발자국주 105)이 사람을 핍박하고 오랑캐 소리주 106)가 요란하여, 윤리를 초개처럼 여기고 경전을 독처럼 여기며 예의를 거름처럼 여기니, 공자를 외우며 본받는 자가 구덩이 속의 귀신이 되지 않는 것만도 다행입니다. 그러므로 배포가 연약하고 다리에 힘이 없어 풍조(風潮)에 흔들려 심지어 선비의 의관을 찢어버리고 달려가는 자가 도도히 흘러넘쳐서 서로 빠져들고 있으니, 이것은 무슨 광경입니까. 아, 태산이 그 앞에서 압도하고 맹호가 그 뒤에서 이를 갈며, 큰 칼이 그 머리를 자르고 긴 창이 그 가슴을 후비더라도 그 눈을 부릅뜬 채 꿈쩍하지 않으며, 정신이 흔들리지 않은 채 더욱 굳센 자는 어떠한 기백이며 어떠한 절개입니까. 죽음에 이르러도 변하지 않는 강자(强者)와 위무(威武)에 굴복하지 않는 대장부가 바로 그런 사람이 아니겠습니까. 저는 또한 이것을 그대에게 깊이 바라니, 용기야말로 진실로 사학(斯學)을 제대로 이루는 요소이기 때문이고, 더욱 오늘날의 시의(時義)가 이와 같기 때문입니다. 심신을 다 바쳐 장차 끊어지려는 한 가닥 줄을 붙든다면 훗날에 저승에서 우리 공자를 배알할 때 그대가 어찌 다른 사람보다 크게 뒤지겠습니까.
주석 100)남의……일
증자(曾子)가 "유능하면서도 무능한 사람에게 물으며, 학식이 많으면서도 적은 사람에게 물으며, 있어도 없는 듯이 하며, 가득차도 빈 듯이 하며, 자신에게 잘못을 범하는 자가 있어도 따지지 않는 것을, 예전에 내 친구[顔回]가 그렇게 했었다.〔以能問於不能, 以多問於寡, 有若無, 實若虛, 犯而不校, 昔者, 吾友嘗從事於斯矣〕" 하였다. 《논어(論語)》 〈태백(泰伯)〉
주석 101)자신에게……것
《논어》 〈이인(里仁)〉에 "덕이 있는 사람은 외롭지 않다. 반드시 이웃이 있다.〔德不孤 必有隣〕" 하였다
주석 102)서로……것
《예기》 〈학기(學記)〉에 "절차를 뛰어넘지 않고 가르치는 것을 손이라 하고, 학자들끼리 서로 장점을 보고 배워 선해지게 하는 것을 마라 한다.〔不陵節而施之謂孫 相觀而善之謂摩〕" 하였다.
주석 103)널리……없다
《예기》 〈내칙(內則)〉에 "널리 배워 일정한 곳이 없으며, 친구에게 공손히 하되 그의 뜻을 살핀다.〔博學無方, 孫友視志.〕"라고 한 것을 두고 말한다.
주석 104)이미……소릉(昭陵)
진즉부터 알고 있다는 뜻이다. '소릉'은 당태종의 비 문덕황후(文德皇后)의 능이다. 태종은 황후를 장사 지낸 뒤에 황후가 그리워 후원에다 망루를 세우고 자주 올라가 바라보았다. 한번은 위징(魏徵)과 함께 올라가서 소릉을 가리키며 보라고 하였는데, 위징은 눈이 어두워 보이지 않는다고 시치미를 떼었다. 당 태종이 저기에 있지 않느냐고 말하자, 그제야 위징이 "신은 폐하께서 헌릉(獻陵, 태종 모친의 능)을 말씀하시는 줄 알았습니다. 소릉은 신이 진작부터 보고 있었습니다." 하였다. 《구당서(舊唐書)》 권71 〈위징열전(魏徵列傳)〉
주석 105)금수의 발자국
《맹자(孟子)》 〈등문공 상(滕文公上)〉에 "요 임금의 시대에 세상이 아직 평정되지가 않았는데, 홍수가 무질서하게 흘러 온 세상에 넘쳐흘렀다. 풀과 나무가 무성하고 짐승들이 번식하였으며 오곡이 자라지 않고 짐승들이 사람들을 핍박하였다. 길짐승 발자국과 새 발자국이 나라 안에 가득하였다.〔當堯之時 天下猶未平 洪水橫流 氾濫於天下 草木暢茂 禽獸繁殖 五穀不登 禽獸偪人 獸蹄鳥跡之道 交於中國〕"라고 하였다.
주석 106)오랑캐 소리
《맹자》 〈등문공 상(滕文公上)〉에, 맹자(孟子)가 이르기를 "지금 남만의 왜가리 혀를 놀리는 사람이 주장하는 것이 선왕의 도가 아니다.〔今也 南蠻鴃舌之人 非先王之道〕"라고 하였다.
答羅性夫濟奉 ○乙丑
前垂左顧, 既又致書懇摯, 忽卒未暇詳報。方且追咎, 何圖洪量再書愈款? 卽此已是不校之一事, 而其於希顏也, 思過半矣, 欽服滿萬。令從姪益夫長進, 自是渠稟質之美, 工程之勤, 拙者何與焉? 而承此不虞之譽, 尢切郝汗。益加諄誨之喩, 顧雖非人, 豈敢有他? 但德隣之有從, 相觀之有善, 講學家洪福, 而高明之於益夫, 乃花樹中金蘭, 一室內神交, 隣孰近焉? 觀孰親焉? 交修胥勖, 匹美齊休, 使人稱願羅氏之二賢也。即是不出家, 而餘師在矣, 豈必待區區之益益夫也? 近聞書旆自扶而牟, 滋益慥慥, 此正古所謂博學無方者, 大鳥之翼, 其搏風而戾天, 豈勝艷且賀也? 第念吾人相與, 雖疏遠新交, 固不當尚詡詡而遜切切, 有乖古人德愛之風, 而況鄙人於高明鄉井之居邇也? 先姻之誼切也, 不一披陳肝膈, 而邊幅之是修, 吾則不能也。竊嘗聞學問之槩於先生長者。欲其畜德于己也, 則立遠大之志, 趨正的之路, 講明乎倫常之道, 體驗乎誠敬之功, 而歸宿乎仁義之府是已。欲其發明乎理事也, 則究貫性命之源, 融會經傳之奧, 綜櫛禮節之常變, 鑑衡往史之得失, 總著之以文章者是已。欲其酬酢乎世務也, 則崇正學而斥邪說, 進君子而退小人, 尚王道而黜伯功, 尊中華而攘夷狄者是已。顧雖無似, 所志者是已, 所勉者是已, 而質既不美, 行又不力, 居然輥到強年。而回顧胸中, 空空無一得, 安敢望所發所酬之足聞於將來也? 撫躳自悼, 中宵繞壁。高明以淳茂之質, 妙年發軔, 日有所聞, 其於陋拙所告, 應是已見之昭陵, 一日之千里, 更何多囑? 惟是至道難聞, 歲月易失, 古人之所慨歎者也, 而此漢今日之竆廬頹落, 未始非昔日之青春壯志也。夫覆車乎前者, 不以後車之善御而不告以險隘, 鄙於高明亦猶是也。幸勿以晝燈而棄之, 如何? 抑又念今之日, 獸蹄逼鴂舌咻, 土苴倫常, 鴆毒經籍, 糞壤禮義, 誦法孔子者, 其不爲坑中鬼幸矣。故弱腸軟腳, 被風潮所蕩, 至有毀冠裂裳而走之者, 浸浸滔滔, 載胥及溺, 此何景光? 噫, 泰山壓其前, 猛虎齧其後, 大劒長槍截其頭而穴其胷, 瞠其目而不瞬, 神不奪而愈厲者, 何等氣魄? 何等志節? 強者之至死不變, 丈夫之威武不屈, 非其人耶? 吾又以此深望於高明, 蓋以勇固爲斯學之成終, 而尢以目下時義然也。鞠躬盡瘁, 扶將絕之一線, 歸拜吾夫子於他日, 高明豈多讓乎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