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열람
  •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후창선생문집(後滄先生文集)
  • 권4
  • 이종택에게 답함(答李鐘澤 ○戊辰)

후창선생문집(後滄先生文集) / 권4

자료ID HIKS_OB_F9002-01-201801.0004.TXT.0038
이종택에게 답함
우리 도의 바름은 하늘의 명으로부터 나와 성인의 가르침으로 세워졌고, 순선(純善)한 본성으로부터 도출되어 영명한 마음에 갖추어져 있습니다. 그것을 몸으로 실천하면 몸이 편안해지고 그것을 세상에 사용하면 세상이 다스려지니, 잠시도 떠날 수 없는 것입니다. 이단 학설의 바르지 못함은 하늘이 미워하고 성인이 배척한 것입니다. 타고난 본성에서 찾아보면 본디 없는 것이고 허령한 마음에서 체험해보면 불안한 것이니, 몸에는 죽음과 치욕의 재앙이 있게 하고 세상은 혼란과 멸망의 지경으로 들어가게 되니, 잠시라도 가까이 하면 안 되는 것입니다. 만약 타고난 성품의 덕성을 실추시키고 본래부터 밝은 심지(心知)를 어둡게 하는 자가 아니라면 정정당당(亭亭當當)하고 직상직하(直上直下)주 86)하며 평탄정대하고 진선진미하고 온전한 우리 도를 버리고, 덜컹덜컹 하고 이랬다저랬다 하며 구불구불 뒤섞여 험악하고 위태로운 저들의 술책을 어찌 따르겠습니까? 불교의 게송에 "해가 싸늘해질 수도 있고 달이 뜨거워질 수도 있으나, 뭇 마귀가 감히 우리의 진결(眞訣)을 깨뜨릴 수 없다."주 87)라고 하였습니다. 저들이 비록 이교도라 할지라도 오히려 진실로 지키는 것이 있었기 때문에 마귀한테 꺾여 빼앗기지 않는 것이 이와 같습니다. 만약 우리 성인의 정도(正道)를 가지고서도 도리어 부정한 학설에 의해 무너지고 혼란스럽게 된다면 어찌 도리어 불교도의 비웃음거리가 되지 않겠습니까? 그대가 힘쓰기 바랍니다. 비록 그렇지만 이것은 모두 이단과 사설 가운데 알기 쉬운 것으로 말한 것입니다. 이치에 가까워 진리를 어지럽히는 것은 우리 도의 담장 안에도 간혹 있습니다. 이것은 경전을 궁구하고 이치를 연구하는 공부가 아니면 결단코 살필 수가 없습니다. 또한 그대는 헤아리기 바랍니다.
주석 86)직상직하(直上直下)
상하가 일관되었다는 뜻이다. 정호(程顥)가 "중은 천하의 큰 근본이니, 천지 사이에 정정당당하고 상하 좌우 어디든 막힘없이 통하는 바른 이치이다. 이를 벗어나면 옳지 못하니, 오직 공경하여 잃음이 없어야 가장 극진하다.〔中者, 天下之大本, 天地之間, 亭亭當當直上直下之正理. 出則不是, 唯敬而無失, 最盡〕"하였다. 《이정유서(二程遺書)》 권11 〈사훈(師訓)〉, 《근사록(近思錄)》 권1 〈도체(道體)〉. 또 《주자어류(朱子語類)》 권95에 주희(朱熹)가 정정당당의 뜻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고 "이것은 속어이니, 대개 불편불의 직상직하의 뜻이다.〔此俗語也 蓋不偏不倚直上直下之意也〕"라고 대답한 말이 나온다.
주석 87)해가……없다
당나라 영가현각대사(永嘉玄覺大師)의 게송 가운데 있는 구절인데, 전우(田愚)도 이를 인용한 적이 있다. 《간재집(艮齋集)전편》 권1 〈여박녀길 세화 ○임인(與朴年吉 世和 ○壬寅)〉
答李鐘澤 ○戊辰
吾道之正, 出自上天之命, 而立於聖人之敎, 循其純善之性, 而具於靈明之心, 行之於身而身安, 用之於世而世治, 不可須更而離者也。異說之邪, 上天之所惡, 而聖人之所斥也。求之於性分而本無, 驗之於心靈而不安, 身有戮辱之禍, 世入亂亡之境, 不可晷刻而近者也。茍非墜秉彝之德性, 而昧本明之心知者, 安肯舍吾亭亭當當直上直下坦平正大美善安全之道, 而徇彼轇轇轕轕之東之西崎嶇回互險惡危殆之術哉? 釋子之偈曰: "日可冷, 月可熱, 衆魔不敢壞眞訣。" 彼雖異敎, 猶實有所守, 故不被魔障之撓奪如此。若以吾聖人之正道, 還被邪說之壞亂, 豈不反爲釋子所笑乎? 惟高明勉之。雖然, 此皆以異邪之易知者言, 若其近理而亂眞者, 則吾道門墻之內亦或有之。此非竆經研理之功, 定無以察之, 亦惟高明之諒之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