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열람
  •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후창선생문집(後滄先生文集)
  • 권4
  • 김성구에게 답함(答金聖九 壬午)

후창선생문집(後滄先生文集) / 권4

자료ID HIKS_OB_F9002-01-201801.0004.TXT.0028
김성구에게 답함
저는 재주가 매우 졸렬하여 세상에서 화합하며 지내는 사람이 적습니다. 때문에 사람들이 처음에는 나와 사귀다가도 좀 지나서는 나에게 취할 만한 점이 없다는 이유로, 혹은 견해가 다르다는 이유로 버려버립니다. 그러나 유독 그대만이 견문이 넓고 교유가 넓음에도 불구하고 오래될수록 더욱 더 친하게 대해주시니, 무엇 때문입니까. 감격하면서도 의심이 없을 수 없습니다. 지금 세상의 유문(儒門) 대가(大家)의 자손들을 살펴보면 선조의 학문을 제대로 계승한 사람으로는 오직 그대가 있으니 이는 진실로 후세에 할 말이 있는 것입니다. 급한 풍조가 뜨겁게 들끓는데도 오히려 주장을 고수하며 60년까지 끌고 온 사람도 드무니, 이 때문에 불쌍히 여기어 같은 심정을 느낀 것입니까. 비록 그렇더라도 저는 실로 늙었습니다. 사람이 태어나 70까지 사는 것은 예부터 드물었으니, 설사 그 나이에 이른다 하더라도 이제 여생이 얼마나 되겠습니까. 먹는 것이 줄고 살이 빠지며 정신이 나가고 생각이 막히는 것 등은 일일이 말할 겨를도 없습니다. 나이를 따져보고 힘을 헤아려보니 앞날에 가망이 없고, 허물을 반성하고 신세를 슬퍼하니 평소의 뜻은 허위가 되었습니다. 그대는 저보다 15세가 적고 겨우 40세를 넘겼으니 바로 발전하여 큰 성취를 이룰 수 있는 때입니다. 그런데 "나라가 망하여 얼이 빠지고 의리를 구명하기 어려워서 부친과 선사를 저버릴까 두렵다.'는 말씀을 하시면서 저에게 도움을 구하니 무엇 때문입니까? 궁핍한 길을 만난 것으로 말하자면 누가 심하고 누가 심하지 않은지 모르겠습니다. 한쪽은 노인을 섬기고 아이를 기를 책임이 있고, 다른 한쪽은 부친이 죽고 자식이 장성했으니, 근심에 차이가 있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러나 한쪽은 노인이 편안하며 아이가 즐겁고 다른 한쪽은 부인이 비난하고 자식이 어긋납니다. 이것은 또한 깊은 근심 속에 깊은 기쁨이 있는 것이고, 얕은 근심 속에 깊은 근심이 있는 것입니다. 대체로 우리는 이 세상에서 진실로 동병상련하는 심정이 있습니다. 이처럼 한갓 근심하고 한탄하며 범범하게 서로를 구하기보다는 곧바로 눈앞에 행해야 할 일에 대해 진실한 마음으로 강구하고 익혀서 잘못을 빚어내지 않는 것이 더욱 낫지 않겠습니까? 지금 저는 이미 집안의 생계를 잊어버리고 푸른 산속에 살며 문을 닫아걸고 있으니 인사에 관여하지 않는 것이 마땅합니다. 그러나 사는 곳이 오히려 마을과 가까워서 차마 듣거나 보지 못할 일과 편치 않은 의리와 관련한 일이 없지 않습니다. 간절하게 깊은 산이나 먼 바다로 높이 날아가고 멀리 떠나가서 사람들로 하여금 결국 어떻게 됐는지 알지 못하게 하고 싶습니다. 다만 신세가 종손이라서 여러 대의 조상 신위에 제사를 받드는 때에 몸소 참가하지 않는 것은 윤리를 무너뜨릴까 두렵기 때문에 가벼이 감행하지 못합니다.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정밀한 의리로 알려주기 바랍니다.
答金聖九 壬午
僕於才最劣, 于世寡合, 故人雖始與之交, 既而以其無可取, 或異見而棄之, 獨以足下聞見博而交遊廣, 久而愈親者, 何也? 不能以感焉而不致疑也。竊觀今世儒門大家子孫, 繼述先學者, 惟足下在, 此固有辭今後, 而急潮熱沸, 猶能撕捱, 而輥到六十者亦鮮, 故爲之矜憐而同情也歟? 雖然, 僕誠老矣。人生七十古來稀, 縱使及之, 今餘幾何? 食減肉敓, 精遁思窒, 不暇枚言。計年量力, 前頭無望; 訟諐悼躳, 素志歸虛。乃以足下少僕十五歲, 僅過強年, 正可進成之日。有"鼎敗神喪, 義理難究, 懼負父師"之語, 而求助於僕, 何哉? 至於竆途之遭, 未知孰甚孰否。而一則有老幼事育之責, 一則既親沒而子壯, 宜其憂之有淺深。然一則老安而幼樂, 一則室讁而庭違。是又深憂中有深喜, 而淺憂中有深憂也。蓋吾人于斯世也, 實同病而相憐也。與其如此徒爾憂歎, 泛泛相求, 曷若直以目下當行, 實心講習, 不至鑄錯之爲愈乎? 今僕既忘家累, 棲碧閉戶, 宜其與人事無關。然所棲尚近家里, 不無聞見之不忍、處義之難安, 切欲高飛遠走於竆山絕海之中, 令人不知所終。但念身爲宗孫, 累世祀板奉祭之時, 身不與祭, 恐乖倫理, 故不敢率爾, 未知如何則可乎? 幸以精義指示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