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열람
  •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후창선생문집(後滄先生文集)
  • 권4
  • 김성구에게 보냄(與金聖九 壬戉)

후창선생문집(後滄先生文集) / 권4

자료ID HIKS_OB_F9002-01-201801.0004.TXT.0008
김성구에게 보냄
근래에 스승의 원고를 살펴보았는데, 그 중에 "당(唐)나라 중종(中宗)이 종묘에서 측천무후(則天武后)를 쫓아내지 않은 것은 그가 모자(母子)의 윤리를 폐지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본문은 자세히 알 수 없지만, 문장의 뜻이 이와 같습니다.】"라고 하였습니다. 측천무후도 그러한데, 하물며 겁탈을 당하게 되어 자결한 어머니에 있어서야 더 말할 것이 있겠습니까. 그러나 선사가 이것을 억누르고 저것을 허여한 것은 무엇 때문입니까. 일찍이 좀 더 빨리 스승의 원고에 있는 이 문장을 얻어서 평소에 질문하지 못했던 것이 한스럽습니다. 또 생각해보니, 이것을 억누르고 저것을 허여한 것이 의심될 뿐만 아니라 음란하고 무도하여 집안과 국가를 쓰러뜨린 것이 측천무후와 같은 자는 의리가 그 아버지와 끊어진 것이 오래되었으니, 그 자식 된 자는 윤리적 감정이 비록 지극하다 하더라도 마땅히 대의에 의거하여 종묘에 들여서는 안 될 듯합니다. 이것이 이른바 '의리가 있는 곳에서는 인정을 빼앗는 바가 있다'는 것입니다. 만약 의리를 돌아보지 않고 인정만 따르게 된다면 어찌 부조(父祖)는 망각하고 단지 어머니만 생각하는 것이 되지 않겠습니까. 요컨대 한(漢)나라 광무제(光武帝)가 여후(呂后)를 종묘에서 축출한 것주 25)이 의리에 맞는 것 같습니다. 그대는 또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주석 25)한나라……것
이는 한 고조(漢高祖)의 비인 여후(呂后)와 박희(薄姬)에 대해, 광무제가 박희를 정비로 인정해 종묘에 그 신주를 올려 모시고 여후를 한나라를 위태롭게 한 황후라 하여 종묘에서 끌어내려 원(園)으로 따로 모신 것을 말한다. 박희는 한나라의 3대 왕인 효문제(孝文帝)의 모후(母后)이다. 《후한서(後漢書)》 〈광무제기(光武帝紀)〉
與金聖九 壬戉
近閱師稿中有云: "唐中宗之不黜武后於宗廟, 以其不得廢母子之倫。【不能詳本文, 然文意如此。】" 武后且然, 而况遇劫自裁之母乎? 然先師之抑此與彼, 何也? 恨未早得師稿此文, 幷質于平日也。又思非惟抑此與彼之爲可疑, 若淫亂無度, 傾覆家國, 如武后者, 義絕於其父久矣, 爲其子者, 倫情雖至, 恐當據大義而不入廟也。此所謂義之所在, 情有所奪也。若義之不顧, 而情之是循, 豈不爲忘父祖而但念其母乎? 要之光武之黜呂后, 似得於義, 高見於此, 又以爲如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