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열람
  •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후창선생문집(後滄先生文集)
  • 권4
  • 김성구에게 답함(答金聖九 辛酉)

후창선생문집(後滄先生文集) / 권4

자료ID HIKS_OB_F9002-01-201801.0004.TXT.0006
김성구에게 답함
서당이 새로 완성되어 선비들이 구름처럼 모였습니다. 오늘날이 어떤 날인데 이런 즐거움을 얻었습니까? 이를 통해 그대가 자신을 수양함이 진실하여 다른 사람에게 두루 교화를 미쳤음을 알았습니다. 구라파의 풍조가 급속히 몰려오고 유학의 기풍은 끊어져서 준수한 청년들은 모두 저쪽으로 들어가고, 이쪽을 지키는 자는 노성한 몇 사람만이 외롭게 있을 뿐입니다. 노성한 사람들이 죽으면 누가 다시 이것을 계승하겠습니까. 그러므로 오늘날의 형세로는 노성하여 독실한 사람이 귀한 게 아니고, 연소한 사람 중에 독실한 사람이 믿을만한데, 사방을 둘러보면 나이가 젊고 학문을 돈독히 한 사람으로 미래의 표준이 될 만한 사람으로는 오직 그대 한 사람이 있습니다. 이미 거꾸로 흐르는 거센 물결을 되돌리고 모든 냇물을 막아 동쪽으로 흘러가게 하였으니주 11), 어찌 한문공(韓文公)만이 훌륭함을 독점할 수 있겠습니까. 바라건대 매우 자중자애하고 만 배로 면려하여 세도(世道)가 의지할 수 있게 하십시오. 저는 나이가 들어갈수록 학업이 후퇴하고 세상이 혼란할수록 덕이 박해지고 있습니다. 말할 것 같으면서 말하지 않는 것과 행동할 듯하면서 행동하지 않는 것은, 그대의 근심거리가 아니라 바로 저의 병통입니다. 그대가 어찌 저에게서 구하겠습니까. 제가 진실로 그대에게 구해야 합니다. 비록 그렇지만 똑같이 근심 속에 있으니 누가 초연할 수 있겠습니까. 단지 네 병통이다 내 병통이다 말하는 것도 한가한 말입니다. 그대와 내가 이미 참된 마음으로 서로 허여하고 있으니, 다만 피차간에 만약 말이 이치에 어긋나고 행동이 법도를 어기는 때가 있으면 듣고 보는 대로 그때그때 서로 바로잡고 경계한다면 아마도 도움이 있을 것입니다. 어떻습니까?
"입으로만 하는 수선사(守善社)는 귀하지 않고, 뱃속의 수선사라야 귀하다."고 한 그대의 말씀이 바로 역시 제가 하고 싶은 말입니다. 저의 생각에는, 수선사에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단전(丹田)을 본소로 삼고 오성(五性)과 만선(萬善)을 조약으로 삼으며 장수인 지(志)를 사장으로 삼고 졸병인 기(氣)주 12)를 사원으로 삼는 것이 가장 오묘한 것입니다. 공자와 맹자의 문정(門庭)을 본소로 삼고 《소학》과 사서를 조약문으로 삼으며 책속의 성인을 사장으로 삼고 현인을 사원으로 삼는 것은 그 다음의 것입니다. 본소를 정하고 규례를 만들어 무리를 모아 사(社)를 조직하는 것은 가장 하책에 해당합니다. 잘 모르겠으나, 그대는 또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편지에 근래 학자의 큰 병통을 논한 한 단락은 진실로 아픈 곳을 고치는 하나의 침이고 귀머거리를 고치는 큰 종입니다. 세상의 만사가 모두 허위주 13)라는 것은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의 말인데, 현재 삼연이 살았던 세상과는 얼마나 떨어져 있습니까? 이치를 강론하는 것은 실천을 돕기 위한 것인데 그 귀착점을 따져보면 구이지학(口耳之學)주 14)일 뿐입니다. 문장은 사도(斯道)를 드러내기 위한 것인데 그 극치를 궁구해보면 화려하게 꾸며서 명예를 구하는 것일 뿐입니다. 웅변은 사설(邪說)을 물리치고 이단(異端)을 배척하기 위한 것인데 같은 집안에서 서로 칼부림하는 것이 능사일 뿐입니다. 이러고서 어떻게 마음을 다스리고 몸을 닦아서 천하를 교화할 수가 있겠습니까. 제 스스로 모욕을 초래하고 끝내는 남까지 손상시키는 것이 당연합니다. 저는 바탕이 노둔하고 재주가 짧아서 성리(性理)에 대해 글을 지어 변론하는 것은 비록 감히 마음을 먹지 못하거니와 평소의 행실이 말에 미치지 못하니 진실로 또한 병통이 실제가 없는 자보다 심합니다. 지금 보내준 편지에서 경계를 받은 것이 많으니 얼마나 다행입니까.
보내준 편지에 "수치가 심하여 죽었으니 중화와 오랑캐의 구분을 엄격히 한 것이 우러를 만한다."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의리는 무궁하니 아마도 더 헤아려봐야 할 것 같습니다. 예컨대 만약 노(魯)나라와 송(宋)나라 두 나라가 모두 오랑캐에게 함락되어 머리를 깎는 것이 풍속이 되었고 공자와 주자 두 성현이 그 이후에 태어나 어렸을 때부터 그 풍속에 물들었다가 장성해서야 그것이 그릇된 것을 깨달았지만 풍속을 바꾸거나 다른 나라로 갈 길이 없다고 한다면, 과연 반드시 부끄러움이 심하여 자결하였겠습니까? 우리나라가 고려 충렬왕(忠烈王) 이후로 본조에 이르기까지 오래도록 오랑캐 원나라를 섬겨 머리 깎는 풍속을 바꾸지 않았다면 정암, 퇴계, 율곡 이하의 여러 선생들도 또한 반드시 의심할 것 없이 자결하였겠습니까? 자세히 바로잡아 다시 가르침을 주시기 바랍니다.
법도를 벗어나지 않고주 15) 인을 어기지 않는주 16) 경지에 이르러야 본연의 마음을 터득할 수 있습니다. 만약 법도를 벗어나지 않고 인을 어기지 않는 경지에 이르기도 전에 갑자기 본연의 마음이라 말한다면, 본연의 마음은 마음이 이치에 맞는 것이니, 어찌 굳이 다시 법도를 벗어나지 않고 인을 어기지 않음을 기다리겠습니까. 여기의 '심(心)' 자는 아마도 마땅히 '영각의 마음[靈覺之心]'으로 보아야 할 것 같은데, 어떻습니까?
주석 11)이미……하였으니
한유(韓愈)의 〈진학해(進學解)〉에 "온갖 냇물을 막아서 동쪽으로 흐르게 하여, 거센 물결을 이미 거꾸로 흐른 데서 만회하였다.〔障百川而東之, 廻狂瀾於旣倒.〕"라고 하였다.
주석 12)장수인……기(氣)
《맹자》 〈공손추 상(公孫丑上)〉에 "뜻은 기운의 통수자요, 기운은 몸을 채워 주는 것이다. 따라서 뜻이 우선이요, 기가 그다음이다. [夫志, 氣之帥也; 氣, 體之充也. 夫志至焉, 氣次焉.]"라고 하였다.
주석 13)세상의……허위
"오늘날 세상사는 위로 조정에서 아래로 사대부, 소인에 이르기까지 모두 허위를 숭상한다. 사람들의 일상생활의 처사는모두 허위이고, 오직 봄날 들녘에서 소를 채찍하며 몸소 경작하는 것만이 조금 사람의 의기를 복돋운다.[今世事, 上自朝廷下至士夫小民, 無非皆尙虛僞. 凡人身日用處事, 無非虛僞, 惟春日野田中叱牛躬耕者, 差强人意]." 《삼연집습유(三淵集拾遺)》 권31 〈어록(語錄)〉
주석 14)구이지학(口耳之學)
배운 것을 그대로 남에게 옮길 뿐 자신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천박한 학문이다. 《순자(荀子)》 〈권학(勸學)〉에 "소인의 학문은 귀로 들어왔다가 곧장 입으로 나간다.〔小人之學也, 入乎耳出乎口.〕"라고 하였다.
주석 15)법도를 벗어나지 않고
《논어(論語)》 〈위정(爲政)〉의 "내 나이 일흔 살이 되자, 이제는 마음에 하고 싶은 대로 따라 해도 법도에 넘치는 법이 없게 되었다.〔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라고 하였다.
주석 16)인을 어기지 않는
《논어(論語)》 〈옹야(雍也)〉에 나오는 말로, 공자가 "안회는 그 마음이 석 달 동안 인을 어기지 않았고, 나머지 사람은 하루나 한 달에 한 번 인에 이를 따름이다.〔回也 其心三月不違仁 其餘則日月至焉而已矣〕"라고 하였다.
答金聖九 辛酉
書屋新成, 衿佩雲集, 今日何日, 乃得此樂? 于以見足下修己者實, 而及人者廣也。歐巴潮急, 鄒魯風絕, 青年英俊, 皆入于彼, 此之守者, 獨老成幾箇人孑然在耳。老成之逝, 誰復繼之? 故今日之勢, 老成篤實者不足貴, 年少篤實者乃可恃, 環顧富年篤學, 足爲表準乎來日, 惟足下一人。回狂瀾於既倒, 障百川而東之, 豈獨專美於韓文公哉? 願十分愛重, 萬倍勉勵, 使世道有賴也。僕年進而業退, 世亂而德薄, 似說不說, 似做不做, 非公之憂, 正僕之病。公豈求僕? 僕實求公。雖然, 通患之中, 孰能超然? 只說爾病我病, 亦是閒話。公我既已實心相與, 但當彼此若有言乖理行違度時, 隨聞隨見, 既相規戒, 恐爲有益。未知如何?
"口頭守善社不足貴, 肚裹守善社乃爲貴", 盛喩正亦吾言。澤述竊以爲守善社有三般, 以丹田爲本所, 五性萬善爲條約, 志帥爲社長, 氣徒爲社員者, 其最妙者也。洙泗門庭爲本所,《小學》四書爲約文, 卷中聖賢爲社長社員, 其次者也。若乃定所發例會衆結社者, 其最下者也。未知高明又以爲如何?
盛論近世學者大病一段, 誠劄痛一針, 砭聾洪鐘。世間萬事都是虛僞, 三淵語也, 而今距三淵之世, 又幾何矣? 講理所以資踐履也, 要其歸則口耳而已; 文章所以發揮斯道也, 究其極則飾藻干名而已; 雄辯所以闢邪排異也, 同室戈戟乃其能事爾, 其何能治心修身, 以及天下乎? 宜其自招侮辱, 終底滅亡也。僕質魯才短, 性理文辯, 雖不敢生心, 而平日之行不及言, 則固亦病深于無實者也。今於來喩, 警發多矣, 何幸何幸。
來喩: "恥甚而死, 可仰華夷之嚴。" 然義理無竆, 恐容更商也。如使魯宋二國, 皆陷夷狄而行髠俗, 孔朱二聖賢生於其後, 幼染其俗, 長覺其非, 無變俗適他之路, 則果必恥甚而自裁矣乎? 我東麗忠烈以後, 至于本朝, 久事胡元, 不變剃俗, 則靜·退·栗以下諸先生, 亦必自裁之無疑乎? 幸細訂回敎。不踰矩不違仁, 然後心得其本然。若於未及不踰矩不違仁之前, 遽謂本然心, 本然心, 是心之合理者也, 何必更待不踰矩不違仁乎? 此心字, 恐當只以靈覺之心看, 未知如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