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열람
  •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후창선생문집(後滄先生文集)
  • 권4
  • 김성구에게 답함(答金聖九 辛酉)

후창선생문집(後滄先生文集) / 권4

자료ID HIKS_OB_F9002-01-201801.0004.TXT.0005
김성구에게 답함
김씨의 일은 저의 의론이 인가를 받았으니 매우 다행입니다. 대저 김씨의 자결이 만약 [삭발을 당할 때] 그 자리에서 행했다면 어느 누가 그 심정을 헤아려 의리를 인정하지 않았겠습니까. 오직 그의 죽음이 너무 늦었고, 중화니 오랑캐니 하는 고담준론이 삭발을 당한 이후에 있었으니, 뻔뻔하게도 수치를 알지 못한 것이 심하였습니다. 설사 비웃음을 당하고 싶지 않았더라도 그렇게 되었겠습니까? 만약 삭발 이후 죽기 전의 여러 날 동안 하루아침에 우연히 감기에 걸려 죽었다면, 비록 자결하여 뜻을 이루고자 해도 어찌 할 수가 있었겠습니까?
지금 스승의 가르침을 받드니, "삭발을 당하여 자결한 자에 대해 절개를 손상하였다고 하면 괜찮지만 절개를 잃었다고 한다면 옳지 않다."고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절개를 손상시킨 것은 절개를 잃은 것과 매우 차이가 나며, 저의 주장도 스승의 가르침과 매우 가깝게 됩니다. 그대의 편지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고 한 것은 진실로 옳은 말씀입니다.
유자로서 오랑캐의 나라에 태어나서 어릴 때부터 머리를 깎았지만 장성하여 그것이 그르다는 것을 깨달은 자가 능히 풍속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역량이 있다면 훌륭할 것입니다만, 그렇지 않다면 다른 나라로 가서 사는 것도 괜찮습니다. 만약 갈 만한 나라가 없거나 갈 수 없는 형편이 있다면 마땅히 수치를 알고 억울함을 품고서 일생을 사는 것도 괜찮습니다. 이것은 보내온 편지대로 선생께 여쭈어 가르침을 받은 것입니다.
答金聖九 辛酉
金氏事, 鄙論得蒙印可, 幸甚。大抵金氏之死, 若在於不旋其踵, 則孰不原情而與義? 惟其死之也太晚, 而曰華曰夷之高談峻論, 乃在於見削之後, 其靦不知恥甚矣。縱不欲見笑得乎? 若其削後死前許多日, 一朝偶得寒疾而死, 則雖欲自裁而遂志, 何可得乎?
今承師訓, 曰: "被削自死者, 謂之虧節則可, 謂之失節則不可。" 然則虧節之於失節爲甚遠, 而鄙說之於師訓爲甚近也。盛喩所謂微有異者, 誠是矣。
儒者生於夷狄之國, 自幼薙髪而長覺其非者, 有能變俗之力則尚矣, 不然則往之他國居焉可也。若無可適之國, 或有勢不能往者, 則當知恥含冤, 以度一生, 可也, 此是師門因來書轉稟而下敎者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