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1894년 김문영(金文榮) 소지(所志) 1
1894년 김문영(金文榮) 소지(所志) 1
- 기본정보
-
· 유형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내용분류 · 작성주체 발급자 : 김문영(金文榮) / 수취자 : 영광군수(靈光郡守) · 작성시기 [1894.05.23.] · 작성지역 · 형태사항 크기 : 77 X 39.7 / 서명 : 官[着押] · 소장처 현소장처 : (재)한국학호남진흥원 / 원소장처 : 광주 민종기 · 연결자료 - 1894년 김문영(金文榮) 소지(所志) 1
- 1894년 김문영(金文榮) 소지(所志) 2
- 1895년 김문영(金文榮) 소지(所志) 초(草)
- 해제
-
1894년(고종31) 5월에 무장현(茂長縣) 장자면(莊子面) 회룡리(會龍里)에 사는 김문영(金文榮)이 선산 투장건으로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소지(所志)이다. 지난 갑자년(1864) 갑자기 부모상을 당하여 산지를 박씨로부터 구입하고 부모 산소를 조성하였다. 그런데 김인칠이 그곳이 자신의 외가(外家) 금양(禁養) 산지라고 주장하고 또 늑장(勒葬)까지 하였으므로 호소하며 파가도록 하였으나 파가지 않고 오히려 밤에 19명을 데리고 와서 불과 칼로 마을을 위협하고 사람들을 상하게 하였을 뿐만 안라 마을에서 돈과 농우 등을 탈취해 가는 등 다양한 죄를 저질렀음을 고하며 그가 가져간 손해를 배상받을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청하였다. 이에 대하여 영광군수는 '김인칠은 이미 칼을 씌워 가두었고 마땅히 감영에 보고하여 법대로 처리할 것이니 물러나 기다리라'고 23일에 뎨김을 내렸다.
- 원문텍스트
-
-
[미상]茂長 莊子面 會龍 金文榮
右謹言幽明間至冤極痛事 民門衰祚薄 歸於農業 僅守簪纓者累世 而去甲子年分 不幸遭伯父母兩造喪變 山地買得於治下道內面自包洞朴哥局內 而入葬
是加尼 千萬意外 戊子年良 陳良書堂村金仁七 稱以渠之外家禁養是如 呼群作黨 猝入勒葬是乎所 仁七則家世饒富 且謙李參判之舍音 驕假虎威 恐喝行權 無所不爲
者也 强弱之間 禁葬末由然名分之下 當其勒葬 不如死矣 此由鳴寃于綾州兼官城主 則圖形後卽爲定校督掘是白加尼 噫彼仁七含嫌於此由 忽於再昨夜誘引陳良道人十九
名 圍入本村 放炮如雷 翻劒如霜 一村男女老少 惟望其生惶㤼走四家戶盡虗 所謂仁七設席於內庭炬火於街頭逐 而捉際 不幸民之叔父與同生弟 入於捉中 結而縛之 以炮毆打 以劒接身 叔弟
當場氣絶 故民之叔母赴扶痛哭 則所謂仁七呼以此女彼女 直對放炮 民之叔母方者胎上也 惶㥘轉顚 驚伏氣絶 久而僅甦是乎乃 死傷迫頭叔弟則遍身傷處 已無可言 而食飮專癈
者于今三日也 難可救起 誠是一大事也 而凶彼仁七號令儻群 殺猪一首引酒三樽酌酌醉飽後突入內房山地買得文券與官掘狀軸 一一搜奪 炬火直放於山處 而伯父母合窆塚 卽爲督掘
骸軆周雜 不辨其父母 而如干小骸 盡歸於掘土 致此散骨 所謂仁七殺父母之讎也 又重討索三百兩之財 而農牛奪去 故錢三十兩 卽給一百兩辦給樣 手票書給 則幽明之痛 胡至此極 仁七則本
以接司任駈 渠無掘塚散骨殺猪被酒奪牛索錢奪券 向人放炮婦女驚殆 以釖占人敺打厄刑重傷 此豈非殘賊之類乎 此寃先鳴于義所 則自義所卽爲發捕是乎乃 掘塚散骨之
罪 課在於 城主神明照律之處决 故緣由泣血仰達爲白去乎 參商敎是後 同仁七捉致法庭 山地文券果 官掘狀軸果 給錢三十兩及一百兩錢手標 猪酒費二十兩 一一推給後 掘塚散
骨之罪 照律嚴勘事 處分爲白只爲
行下向敎是事
靈光城主 處分 甲午五月 日
行靈光官 封印[署押]
(題辭)
金仁七俄已
着枷嚴囚矣
(背面)
當報 營 依律
處置矣 退待
向事
卄三日 過元山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