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열람
  •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1789년 나순좌(羅舜佐) 호구단자(戶口單子)

1789년 나순좌(羅舜佐) 호구단자(戶口單子)

기본정보
· 유형분류 고문서-증빙류-호적
· 내용분류
· 작성주체 발급자 : 나순좌(羅舜佐) / 수취자 : 동복현감(同福縣監)
· 작성시기
· 작성지역
· 형태사항 크기 : 48 X 46.3 / 인장 : 1
· 소장처 현소장처 : (재)한국학호남진흥원 / 원소장처 : 광주 민종기
· 연결자료
  • 1780년 나순좌(羅舜佐) 호구단자(戶口單子)
  • 1786년 나순좌(羅舜佐) 호구단자(戶口單子)
  • 1789년 나순좌(羅舜佐) 호구단자(戶口單子)
  • 1792년 나순좌(羅舜佐) 호구단자(戶口單子)
  • 1795년 나순좌(羅舜佐) 호구단자(戶口單子)
  • 정의

    1789년 나순좌가 자신의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노비 현황을 기록하여 동복현에 제출한 호구단자

    해제
    1789년 나순좌가 자신의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노비 현황을 기록하여 동복현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나순좌와 처(妻) 방씨(房氏), 아들 나득검이 가족원으로 등재되어 있다. 나순좌의 거주지는 동면 삼지천리이고, 나이는 59세이다. 나순좌의 사조(四祖)와 처 방씨의 사조가 기재되어 있는데, 나순좌의 사조에는 생부(生父)도 함께 기재되어 있다. 소유노비는 앙역비(仰役婢)와 각거질(各居秩)로 나누어 기재하였는데, 앙역비는 1구(口)이고 각거질은 3구이다. 각거(各居)는 외거(外居) 노비를 가리킨다.
    호구단자는 국가에서 부세나 군역 등의 행정을 위한 기반자료로 삼기 위해 각 가호의 규모를 정기적으로 파악하여 호적대장에 반영하기 위해 관에 제출하는 문서로, 3년마다 식년(式年)에 작성하였는데, 식년은 간지가 자(子), 묘(卯), 오(午), 유(酉)로 끝나는 해를 가리킨다. 호구단자는 본래 2통을 작성하여 관에 제출하면 구대장(舊臺帳)과 대조하여 사실여부를 확인한 뒤 1통은 호적 작성에 사용하고 1통은 제출자에게 돌려주었는데 이렇게 돌려받으면 준호구적인 효력도 함께 갖게 된다.
    원문텍스트
    [미상]
    …▣第二三支川里戶籍單子
    …▣第三戶通德郞羅舜佐年五十九辛亥本錦城
    ▣▣〔父學〕生 景瞻
    ▣〔生〕父學生 景益
    祖學生 載挺
    ▣〔曾〕祖學生 以驥
    ▣〔外〕祖通德郞金處衡 本道康
    妻房氏年五十六甲寅 籍南陽
    父學生 啓亨
    祖學生 日佐
    曾祖學生 泰彦
    外祖學生崔鳳三 本和順
    率子得儉年二十一己丑
    己酉式
    仰役秩婢甲辰年四十三丁卯父良人太萬
    母婢順每各居秩奴卜同年二十四▣…
    婢卜丹年二十庚寅母婢甲辰父良人談伊
    婢林尙年不知母婢順每父良人林哥名不
    知壬辰逃去順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