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열람
  •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병신년 최의수(崔義壽) 혼서(婚書)

병신년 최의수(崔義壽) 혼서(婚書)

기본정보
· 유형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 내용분류
· 작성주체 발급자 : 최의수(崔義壽) / 수취자 : 곽생원(郭生員)
· 작성시기
· 작성지역
· 형태사항 크기 : 25 X 46
· 소장처 현소장처 : (재)한국학호남진흥원 / 원소장처 : 광주 민종기
· 연결자료
  • 병신년 최의수(崔義壽) 혼서(婚書)
  • 병신년 경주최씨(慶州崔氏) 사성단자(四星單子)
  • 정의

    병신년 11월 26일 신랑측인 최의수가 신부측인 곽생원댁에 보낸 혼서

    해제
    병신년 11월 26일 신랑측인 최의수가 신부측인 곽생원댁에 보낸 혼서이다. 자신의 맏아들 혼인이 이루어지게 되어 기쁘다는 인사와 함께 경첩(庚帖), 즉 사주단자를 보내니 연길(涓吉)을 알려달라는 내용이다. 이때 보낸 사주단자도 함께 전하고 있다. 전통혼례는 서로 결혼 의사를 타진하는 의혼(議婚), 혼인 날짜를 정하는 납채(納采), 예물을 보내는 납폐(納幣), 혼례식을 올리는 친영(親迎)의 네 가지 의례로 이루어진다. 연길은 납채에 해당되는데, 납채는 혼약이 이루어져 신랑의 생년월일시를 적은 사주단자를 보내고 연길을 청하는 절차이다. 신부집에서 허혼편지나 전갈이 오면 신랑집에서는 신랑의 사주와 납채문을 써서 보내고, 신부집에서는 사주단자를 받으면, 신랑 신부의 운세를 가늠해보고 혼례날짜를 택하여 신랑측에 통지한다. 이것을 연길이라 한다. 피봉에 적힌 최의수의 주소는 밀양군 부북면 운전리이고, 곽생원댁은 밀양군 내산면 가자리이다.
    원문텍스트
    [미상]
    (婚書)
    伏惟孟冬
    尊體動止萬重仰
    溸區區第長子親
    事旣蒙頷可私楣
    之幸庚帖仰呈
    涓吉回示之如何伏

    尊察謹拜 上狀
    丙申十一月二十六日
    慶州后崔義壽拜上

    (皮封)
    密陽郡府北面雲田里 崔生家 下執事
    密陽郡山內面加者里 郭生員宅 座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