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열람
  •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1927년 이문량(李文亮) 서간(書簡)

1927년 이문량(李文亮) 서간(書簡)

기본정보
· 유형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내용분류
· 작성주체 발급자 : 이문량(李文亮) / 수취자 : 노진영(盧軫永)
· 작성시기
· 작성지역
· 형태사항 크기 : 18.2 X 62
· 소장처 현소장처 : (재)한국학호남진흥원 / 원소장처 : 광주 민종기
정의

1927년 3월 4에 제 이문량이 노진영에게 관여하는 일에 차질이 생긴 사유 등을 전한 서간.

해제
1927년 3월 4일에 제(弟) 이문량(李文亮)이 노진영(盧軫永)에게 관여하는 일에 차질이 생긴 사유 등을 전한 서간(書簡)이다.
헤어진 뒤로 해가 바뀌었다며 당신을 향하는 마음이 깊다고 했다. 이때에 어버이 모시는 상대와 가족이 잘 지내시고, 원래 경영하던 일이 뜻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물었다. 자신은 매년 나이를 먹는 것이 일이라며, 반백이 된 지금에 이뤄놓은 일이 없이 산 속 오두막에 칩거중이라고 했다. 또 새해 첫 달 20일간에 백리도 되지 않은 길을 떠났는데 5일이나 소비하여 다녀왔다는 것, 누에가 느리게 가듯이 했다는 것, 뜻밖에 독기(毒氣)가 생겨 그 통증으로 한달 남짓 자리에 누웠다가 이제야 겨우 뿌리를 뽑은 것을 말하며 이것이 나의 운수때문이냐고 한탄했다. 드릴 말씀은 자신이 관여하는 조항에 있어 서로 믿는 사이라 말이 없었지만 해를 넘기도록 미루니 투명하지가 않아서 이 무슨 세상에 쓸데없는 물건이냐며 죄송하고 민망하다고 했다. 이 조항을 밤낮으로 걱정했지만 형편이 실로 어렵기 때문에 믿음을 주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다며 용서해 주기를 바란다고 했다. 나머지는 행보하시는 날을 기다려 즉시 뵙고 말씀드리겠다고 한 후 편지를 마쳤다. 협지에는 긴히 의논할 일이 있으니 속히 뵙고 싶지만 행보가 아직 불가능하기 때문에 응낙하신다는 의사를 듣지 못한다며 이것을 별록(別錄)으로 상세히 고할 것이라며 귀하의 뜻이 어떠한지 물었다. 잠깐 굽어 돌보시면 좋을 듯 하다고 말하고, 자기 또한 이달 15일 내로 행보할 힘이 있을 듯 하다는 것, 혹시 한가한 날이 없으시면 이것(별록)으로 대신 토론해도 무방하다고 했다.
원문텍스트
[미상]
(피봉_앞면)
光州郡 本村面 日谷里
盧軫永氏 殿
▣展
(피봉_뒷면)
長城郡 南面 德星里
李文亮

(簡紙)
奉別後, 於焉歲過, 懷仰政
深矣. 謹惟伊來,
侍體候旺安, 寶眷均迪, 元於
所營, 如意前進否? 仰溯區區
至祝. 弟 每年所得添齒
一事, 半白光陰, 未成事業,
蟄伏山廬, 消遣無從, 可
悶可悶. 而又於新元念間, 以不
百里之路, 半旬往還, 可謂
緩行之繭處, 意外毒
氣發生, 以痛症月餘委
席, 今纔拔根, 姑未封
皮, 是亦身數耶? 奈何.
就悚, 所關条, 相信間無言
之地, 拖年未淸, 是可謂
此世之絶物, 何等悚悶哉.
以此条, 晝宵爲慮, 然形便
實難且難, 至此無信之境,
恕 諒休咎敢望耳. 餘
可待行步之日, 卽晋拜討.
姑留不備, 謹上.
丁卯三月四日, 弟 李文亮 拜上.

(夾紙)
緊有議及之事, 欲速晋拜爲
意, 然行步未能, 故未遂應意. 玆以
別錄詳告, 貴若何如, 則暫 枉顧
似好似好耳. 然鄙亦今望內, 似可得行步
之力矣. 未得暇日, 則以此對討, 亦無妨
耳. 諒俟之亦如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