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계사년(1893) 정종택(鄭鍾澤) 송우정 신창강회(松友亭 新刱講會) 발문(發文)
계사년(1893) 정종택(鄭鍾澤) 송우정 신창강회(松友亭 新刱講會) 발문(發文)
-
기본정보
-
| · 유형분류 |
고문서-시문류-기 |
| · 내용분류 |
교육/문화-문학/저술-기 |
| · 작성주체 |
발급자 : 정종택(鄭鍾澤)
|
| · 작성시기 |
癸巳 (1893)
|
| · 작성지역 |
|
| · 형태사항 |
크기 : 46.7 X 29.0
|
| · 소장처 |
현소장처 : 정시해 후손가
/
원소장처 : 고창 일광기념관 정시해 후손가
|
| · 참고문헌 |
|
-
정의
-
1893년에 정종택(鄭鍾澤)이 발의한 송우정 신창강회(松友亭 新刱講會) 발문(發文)
-
해제
-
작년 봄에 유생들이 모여, 이 어려운 시기를 도모하기 위해서 매년 봄과 가을에 아동과 어른이 다 참석하는 강연하는 자리를 만들자는 의론을 모았다. 매 봄‧가을마다 이 모임을 계속하면 반드시 안정되게 의(誼)를 함께 강론할 수 있으므로, 도(道) 또한 닦여질 것이라고 하였다. 경비는 춘강의 유생들이 각자 한 냥씩을 내어 다른 계처럼 운영하자고 하면서, 이번 10일에 삼태에서 모두 모이자고 제안하였다.
정종택(鄭鍾澤)은, 대한제국기 최익현 의병부대의 소모장 겸 중군장으로 활동한 일광(一狂) 정시해(鄭時海)의 아버지이다.
-
원문텍스트
-
-
松友亭 新刱講會 發文
右通喩事 世道叔季 學術
漸微 久爲斯文之齎嗟 客春
僉議幸同如設講席 冠
童諸儒 一場團會 寔庸
汶陽考亭之遺風 猗敬感
哉 然而從今以進 每春秋
勿替此會 則必有共安 可講
誼之 道亦不可無修 稧經始
之用故 一依春講諸生 錄名
下各出一兩錢 作稧拮居 以爲
當日之資 而春三秋九 會講
旣有定論 故玆以回喩 今初
十日 坊內講儒 齊會于三台
講所焉
此亦聞 稧錢本利條 如
或有力不能一時辦備者
先以利錢收入者
癸巳 九月 三十日 鄭鍾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