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열람
  •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1957년 무장향교(茂長鄕校) 통문(通文) 7

1957년 무장향교(茂長鄕校) 통문(通文) 7

기본정보
· 유형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통문
· 작성주체 발급자 : 무장향교(茂長鄕校) / 수취자 : 각군향교(各郡鄕校)
· 작성시기 孔夫子誕降二千五百八年 丁酉 (1957)
· 작성지역
· 형태사항 크기 : 99.0 X 92.0
· 소장처 현소장처 : 정계석 후손가 / 원소장처 : 고창 용오정사 정계석 후손가
· 참고문헌
  • · 연결자료
  • 1957년 무장향교(茂長鄕校) 통문(通文) 1
  • 1957년 무장향교(茂長鄕校) 통문(通文) 2
  • 1957년 무장향교(茂長鄕校) 통문(通文) 7
  • 1957년 남원향교(南原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광주향교(光州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김제향교(金堤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금구향교(金溝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고창향교(高敞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정읍향교(井邑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고부향교(古阜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흥덕향교(興德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부안향교(扶安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태인향교(泰仁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익산향교(益山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함열향교(咸悅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여산향교(礪山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운봉향교(雲峰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임실향교(任實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옥구향교(沃溝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전주향교(全州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전라북도유회소(全羅北道儒會所) 답통문(答通文)
  • 1957년 나주향교(羅州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성균관(成均館) 답통문(答通文)
  • 1957년 용담향교(龍潭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고산향교(高山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무주향교(茂朱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진안향교(鎭安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장수향교(長水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금산향교(錦山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진산향교(珍山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만경향교(萬頃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용안향교(龍安鄕校) 답통문(答通文)
  • 1957년 임피향교(臨陂鄕校) 답통문(答通文)
  • 정의

    1957년 무장향교에서 정방규를 배향하는 일로 각 군 향교와 각 서원으로 보낸 통문

    해제
    1957년 8월 무장향교에서 극재 정방규(克齋鄭枋珪)를 아버지가 예향된 덕림사에 배향하자는 취지로 각 군 향교와 각 서원으로 보낸 통문이다.
    '문인(門人)들이 그 스승에게 시호를 주거나, 자손이 그 조상을 불조(不祧)하는 법이 있는 것은, 비록 사적으로 하는 일이지만 그 사정이 예에 부합하여 사사로움에 빠지지 않기 때문이다. 극재 정방규 선생은 덕림사에 예향된 용오 선생의 아들로, 효(孝)‧(功)‧풍(風)이 모두 훌륭하니, 아버지에게 배향하여 아버지를 빛나게 하는데 부족함이 없다. 더구나 이러한 논의가 그 자손이나 문인이 아니라 같은 고을의 여론에서 나온 것이니, 어찌 그 사정이 예에 부합되지 않거나 사사로움에 빠지겠는가. 여러 군자는 옛사람들의 민간에서 시호를 주는 경우나 불조하는 법에 따라 이 일을 함께 이루기를 바란다.'라고 하였다.
    '무장향교다사(茂長鄉校多士)' 명의로 되어 있으나, 이름은 쓰지 않았다.
    원문텍스트
    [미상]
    通文
    右敬通于事 伏以 以門人而或私謚其師 以子孫而或不祧其祖 事雖涉於私 而公行於世者 以其情合於
    禮 而不溺於私也 今克齋鄭先生枋珪晉州人 即徳林祠禮享 龍塢先生官源之子也 言其孝則以鄕士養其親 言其功則育英才振儒化 言其風則任校事斥異道 以是而配其父 則豈不足為于父有光乎 況出其議者 非門人非子孫而鄕人也 一鄕輿論如此 孰能非其議乎 不能非其議 則孰能非其事乎 不能非其事 則豈非情合於禮 而不溺於私也乎 伏願
    僉君子 以古人之私諡不祧爲法 而共濟此事 幸甚幸甚
    右敬通于 各郡鄕校 各 書院 僉尊座下
    孔夫子誕降二千五百八年 丁酉 八月
    茂長鄉校多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