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열람
  •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1927년 이준회(李浚會) 간찰(簡札)

1927년 이준회(李浚會) 간찰(簡札)

기본정보
· 유형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내용분류
· 작성주체 발급자 : 이준회(李俊會)
· 작성시기 丁卯易月旬九
· 작성지역
· 형태사항 크기 : 22 X 47.6
· 소장처 현소장처 : 성주이씨 이정순 / 원소장처 :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정의

1927년 10월 19일, 소제 이준회가 상대의 편지에 답하여 자신의 안부와 상황을 전하고 상대가 말한 책장과 고공 값에 대해 전하는 내용으로 보낸 간찰

해제
1927년 10월 19일, 소제(少弟) 이준회(李浚會)가 상대의 편지에 답하여 자신의 안부와 상황을 전하고 상대가 말한 책장(冊藏)과 공(工) 값에 대해 전하는 내용으로 보낸 편지이다.
헤어진 뒤로 병이 심해지고 근심은 더욱 요란해졌다며 상대의 편지를 받고도 답장하지 못하고 다만 친형이 편지 올리고 말로 사례를 했을 뿐이라고 했다. 지금 상대의 편지를 받으니 미처 전달하지 못한 말이 있어서 그러하리라 생각한다며 자신의 불민함을 탓하였다. 최근 상대의 건강이 평안하시는 말에 위로되었다고 하고 막내 동생분의 병환은 어떠한지 물었다. 자신은 집안의 많은 문제들로 어지러운 중이라며 상황을 말하고 자신의 이러한 상황을 이해해 달라고 청한 후 편지를 마쳤다. 추신에는 쓸모없는 재목이 허사로 돌아갔음을 알 것이라고 하고, 책장(冊藏)에 대해서는 황변(黃弁)에게 그 규제(規制)를 상세히 언급해 주었다는 것, 공가(工價)에 대해서는 말씀대로 우선 결정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원문텍스트
[미상]
奉別後 病益深 愁益乱 承拜
惠椷 未暇修復 只以舍伯書付呈
而只以口報仰謝矣 今此獲拜
下輹之施 可想傳言之未達也 自訟
不敏 是庸蹙蹙 謹詢辰下
棣體動靖增護崇旺 何等仰慰
賢季兄愼候已至退聽否 書無及
焉 仰想其弛慮 不任頂頌之忱 少弟
未堪家多難風飜浪打景索撓
乱 近復擧措 乖常貽羞 觀聽寧
欲鑽地 以入而不可得矣 或可
俯燭此情勢耶 姑此倩草 不備謹
謝上禮
丁卯易月旬九 少弟 李浚會 拜復

樗材歸虛 旣已仰悉 而冊藏言及
于黃弁 詳其規制 而工價依 戒 姑
不決定 諒下如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