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열람
  •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1901년 이승학(李承鶴) 간찰(簡札) 2

1901년 이승학(李承鶴) 간찰(簡札) 2

기본정보
· 유형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 작성주체 발급자 : 이승학(李承鶴) / 수취자 : 이광수(李光秀)
· 작성시기 辛丑三月卄五日 (1901)
· 작성지역
· 형태사항 크기 : 20.4 X 109.1
· 소장처 현소장처 : (재)한국학호남진흥원 / 원소장처 :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정의

1901년 3월에 이승학(李承鶴)이 아들 이광수(李光秀)에게 관직에 오른 것을 축하하고 여러 가지 당부를 전한 간찰.

해제
1901년 3월에 이승학(李承鶴)이 아들 이광수(李光秀)에게 관직에 오른 것을 축하하고 여러 가지 당부를 전한 편지이다. 지난번 우체국으로 보낸 편지를 받았는지 물어보고 이전의 편지의 전달 여부를 확인하고, 고부(古阜) 편으로 부친 편지가 지체되어 이제 도착했다고 하면서 편지의 전달 여부를 근심하며 편지 서두를 채웠다. 이어 성균관에서 과거 시험 급제 정보를 담은 전방(傳榜)을 받으면서 겪은 일을 적었다. 전방을 든 자가 후한 보상을 기대했으나 3민(緡)을 내어 주자 실망했다는 말과 그 내막 등을 상세히 전한 내용이 보인다. 그리고 고생하며 과거 시험을 통과했다는 사실을 알았다는 말과 함께 출방(出榜) 되었는지를 확인하며 합격에 대한 기쁨을 전했다. 이어 앞으로 관직 살이 하면서 명심할 것에 대해 조언했다. 가장 우선할 것은 임금을 섬기는 의리를 마음에 명백하게 세우는 것이고, 처세할 때는 자세하게 살펴야 하며, 노상에 다닐 때는 용렬하게 하지도 말고 완강하게 하지 말고 화순(和順)으로 중도에 맞게 하도록 당부했다. 또 아들에게 비서랑(秘書郞)이 되기를 바란다고 하면서 기미를 보고 기회를 잘 잡으라고 하며 '농(隴)을 평정하니 다시 촉(蜀)을 바라게 된다'는 등롱망촉(登壟望蜀)의 고사를 인용하며 아들의 벼슬자리에 대한 기대를 표했다. 이어 본인은 노상에 있고 아들은 서울에 있어서 서로의 상황을 잘 알 수 없어 울적하지만, 이 또한 형세이니 너무 조바심내지 말라고 하였다. 이승학은 이 당시 문중 일로 북도(北道) 길에 있으면서 서울에 있는 아들과 편지로 소식을 전하고 있었다. 이승학은 편지에서 노상에서 지내는 기간을 한 달로 잡고 있지만 앞으로 일정은 잘 알 수 없다고 알렸다.
이승학은 시좌(諡座)의 설행 및 의정부 교체에 관한 내용 등에 묻고 재차 서울 생활을 걱정하고 당부한 내용을 이어갔다. 서울에서 사용할 비용으로 백전(白錢) 300냥을 보내는데 부족한 것은 서울에서 환전하여 쓰라는 내용 등을 전하고, 벼슬길에 쓸 관복(官服)과 교자(轎子) 등을 갖췄는지를 걱정했다. 덧붙이기를 돈을 낭비하지도 말고 부족하다고 상심하지도 말라고 했다. 하촌(下邨) 편으로 편지를 보낸다는 말로 편지를 끝마쳤다.
이승학(1857∼1928)의 본관은 전주(全州)로, 양녕대군(讓寧大君)의 후손이며, 자는 자화(子和), 호는 청고(靑皋)이다. 전남 담양(潭陽) 장전리(長田里)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기정진(奇正鎭)의 문인인 진사 이최선(李最善)이고, 이승학 본인도 기정진의 문하에서 배웠다. 을미사변(乙未事變) 때 팔도에 격문을 보내어 의병을 일으키기도 했다. 문집으로『청고집(靑皋集)』 4권을 남겼다.
원문텍스트
[미상]
聞喜後去念日付郵便書相夜晦
可抵其前書皆免浮沈否古阜便
來書念二得見必滯一旬於郡邊也
羣疑盡釋而上庠書中若傳榜而
以厚償如托然旣後相聞故但給三緡
來人以失望而去矣大抵傳榜今雖聞
知吾亦初不以急傳爲言然過後思之
有不然者矣南人之以初事不識裏許
者皆然而設有所費急送伴主人使閭
里如前呼唱可也而今旣後矣見書知
科時經許多勤苦而至於八日之久而
出榜耶束立拔擢之境但以天數而
參之此可爲一快事今也汝之身已許
於國矣苐一事君之義明白立柱
於心頭處世之方詳審出脚於路
下無作碌碌無作硬硬務以和順適
中焉北道行果亦如意已發去而來
往必爲一朔未知間至如何也祕書郞
若爲之是所望者而凡事先知幾微
無失時卽可及也登壟望蜀人情
皆然近日在在道未得的知
是菀而雖爲形役勿爲勞神
吾嘗客遊自驗比在家時猶專一
在家則百務撞着時或擾中在外
則惟一條路看所事保身而已古人
之途學知所以然也汝亦驗此否
諡座近或設行耶日前見新聞知
議政之間遞而又下敦諭則必復出仕
出仕之日似成而又未知如何耶此
事期必結末然後還家而終若
差遲則去留姑亦難矣苐觀下
回焉家中近如前而吾病近以
眩氣益甚不止亦苦哉詩會明
日爲之而客擾姑未知多少耳
白錢參百兩換送付之汝寬族
使傳之又有不足者自得用或
下換用之而玉果金明五處又用
幾許否此去錢每百十二兩式加捧
自此區送則又有些利而姑亦未及
奈何衣服趁爲製着明五便何時
到泊乎官服與轎子等屬皆辦得
乎餘外事但勿浪費當用處亦得
用焉人事之擾惱每以用不足之
致然丈夫在有身豈以此至於傷心
乎有無間以安字過耳水到渠
成不須預慮下邨行以來明發去云
近日所見者必傳之他不一一
辛丑三月卄五父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