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열람
  •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언간(諺簡)

언간(諺簡)

기본정보
· 유형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언간
· 내용분류
· 작성주체
· 작성시기 시월초삼일
· 작성지역
· 형태사항 크기 : 24.5 X 57.0
· 소장처 현소장처 : 한국학호남진흥원 / 원소장처 : 광주 고봉 기대승 종가
· 참고문헌
  • 정의

    10월 3일에 보낸 언간(諺簡).

    해제
    이 편지는 10월 3일에 사돈 간에 오간 한글 언간으로, 시댁 어른이 처가 식구에게 보내는 문안과 감사, 미안함의 정서가 짙게 담겨 있다. 특히 현서라는 표현을 통해 편지의 중심 화제가 사위임을 명확히 하며, 시가 쪽의 어른이 병환 중이거나 요양 중인 사위의 상황과 관련해 처가에 인사를 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편지 서두에서 발신자는 오랫동안 안부를 전하지 못한 것에 대해 깊이 미안해하며, 최근에야 전해 들은 사위의 소식이 반가우면서도 걱정스럽다는 복합적인 감정을 드러낸다. 신병(身病)으로 인해 몸이 불편한 사위가 과연 회복 중인지, 그 기운이 어떤지를 거듭 물었다.
    이 편지에는 사돈댁의 자제나 손자 등 가족 구성원에 대한 세심한 문안이 반복되며, 시가의 어른으로서 예의와 도리를 다하려는 태도가 뚜렷이 나타난다. 편지 말미에서는 손자를 만나보지 못한 것을 시가 쪽의 큰 결례로 받아들이는 유교적 예법 인식이 드러난다.
    이 편지는 단순한 사적인 왕래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조선 후기 여성 간 서신 교류의 실례로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사위와 사돈댁에 대한 애정 어린 관심과 배려, 그리고 유교적 예절을 내면화한 언어적 표현 방식은 조선 시대 가족과 정서의 문화적 이해를 풍성하게 해주는 귀중한 유산이라 할 수 있다.
    원문텍스트
    [미상]
    소샹쟝
    울울ᄯᅳᆺ인졍신간바업셔다먼
    ᄃᆡ강젹ᄉᆞ오며일젼의신신귀귀
    ᄒᆞ온히소식을듯ᄉᆞᆸ고즉시슈셔
    로아깃분말삼을통셧코시버쓰
    나여ᄋᆡ갈날이겻일ᄒᆞᄋᆞᆸ기로느
    져ᄉᆞ오니용셔ᄒᆞ시ᄋᆞᆸ연니ᄂᆞ차시라
    문업ᄉᆞ오신경ᄉᆞ오신즁우리ᄉᆞ
    돈외ᄂᆡ분게ᄋᆞᆸ셔안영들ᄒᆞ시니
    잇가우리현셔게셔도식게랑기운
    기운이엇ᄯᅥᄒᆞ심잇가체안만니
    치ᄑᆡ되셧슬닷ᄋᆡ셕ᄋᆡ셕ᄒᆞ여요ᄃᆡ
    ᄃᆡᆨ이도샤쟝듀양ᄃᆡ분게ᄋᆞᆸ셔
    도기후만안들ᄒᆞ오시며셩번각
    ᄃᆡᆨ니ᄉᆡ돈경ᄉᆞ오신즁ᄐᆡ평들
    ᄒᆞ심잇ᄀᆞ소졋시게오셔도시봉평안
    안들ᄒᆞ심잇ᄀᆞ이곳도ᄃᆡ병은업
    ᄉᆞᆸ고외당제리안영ᄒᆞ시ᄋᆞᆸ고각
    ᄃᆡᆨ니무고들ᄒᆞ시ᄋᆞᆸ여ᄋᆞ무양타
    가니든든제남ᄆᆡ무ᄉᆞ니가기츅슈
    을시다원숙의빈ᄒᆞᆫ소치로마소
    효의업시보ᄂᆡ이우리ᄉᆞ돈게셔듀
    부의자미못보신일진실노죄송
    스럽슴니ᄃᆞ단문셔녁그만님
    이ᄃᆞ회문무고소식고ᄃᆡ고ᄃᆡᄒᆞ니이ᄃᆞ
    시월초ᄉᆞᆷ일샹쟝
    우리셔랑이ᄌᆡ이ᄌᆡ조셥ᄌᆞᆯ하시와기운
    조시거든ᄒᆞᆫ슌시기고망망무용니오ᄂᆞ일
    층더보고스버요여ᄋᆞ도니ᄉᆞᆷᄉᆡᆨ곳통의
    얼골슛쳑슛쳑ᄉᆞ돈ᄇᆡᄋᆞᆸ기다단미안ᄒᆞᆷ니ᄃ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