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열람
  •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1996년 기성근(奇聖根) 망기(望記)

1996년 기성근(奇聖根) 망기(望記)

기본정보
· 유형분류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 내용분류
· 작성주체 발급자 : 도산서원(陶山書院) / 수취자 : 기성근(奇聖根)
· 작성시기 丙子二月 日 (1996)
· 작성지역
· 형태사항 크기 : 95.0 X 65.5
· 소장처 현소장처 : 한국학호남진흥원 / 원소장처 : 광주 고봉 기대승 종가
· 참고문헌
  • · 연결자료
  • 1996년 기성근(奇聖根) 망기(望記)
  • 2021년 기성근(奇聖根) 망기(望記)
  • 정의

    1996년 2월에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기성근(奇聖根)에게 발급한 망기(望記).

    해제
    이 문서는 1996년 2월에 도산서원에서 기성근에게 발급한 망기이다. 이 문서는 전라남도 광주시 서구 월산 4동에 거주하는 유학 기성근이, 1996년 2월에 도산서원의 재유사(齋有司)에 추천된 문서이다. 전면의 서식 배열과 '망(望)'이라는 용어의 사용으로 보아, 서원 운영과 관련된 정식 추천을 문서화한 것으로 판단된다.
    해당 문서에서는 기성근의 성명과 거주지, 추천 연월이 명확히 기재되어 있다. 이를 통해 서원의 유사(有司)로의 추천이 단순한 지역 인맥이 아닌 일정한 자격과 평판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李滉)을 봉향하는 대표적인 서원으로, 이곳의 유사로 추천되었다는 점은 해당 인물의 학문적 도덕적 품성을 인정받았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 문서는 조선 유학 전통의 연장선에서 근현대기 서원 운영과 지역 유림의 참여 구조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20세기 후반에도 유림 중심의 추천제도가 존속되었음을 보여주는 구체적 예시로서, 유학 교육의 전통과 그 변용 양상을 보여주는 사료라 할 수 있다.
    원문텍스트
    [미상]
    陶山書院齋有司

    幼學奇聖根
    丙子二月 [陶山書院] 日

    [皮封] (前面) 全羅南道光州市西區월산四洞九七八-二八
    奇 聖 根 座前
    (背面) 安東市 陶山面 土溪里 六八0番地
    陶山書院 謹封
    [中封] (前面) 謹 封
    (背面) 陶山書院齋有司 望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