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열람
  • 디렉토리열람
  • 유형분류
  • 1975년 나익영(羅益榮) 편지(便紙)

1975년 나익영(羅益榮) 편지(便紙)

기본정보
· 유형분류 고문서-근현대문서-문서
· 내용분류
· 작성주체 발급자 : 나익영(羅益榮) / 수취자 : 나기수(羅琪洙)
· 작성시기 10/8 (1975)
· 작성지역
· 형태사항 크기 : 25.3 X 17.8
· 소장처 현소장처 : 한국학호남진흥원 / 원소장처 : 광주 나주나씨
· 참고문헌
  • 정의

    1975년 10월 8일에 나익영(羅益榮)이 나기수(羅琪洙)에게 보낸 편지(便紙).

    해제
    1975년 10월 8일 아침에 서울시의 나익영(羅益榮, 1908~1980)이 광주시의 나기수(羅琪洙)에게 보낸 편지로, 정렬사(旌烈祠)에 송도공(松島公) 나해륜(羅海崙, 1583~1659)을 합향(合享)하는 일에 관한 자신의 의견을 전하는 내용이다. 건재공(健齋公) 김천일(金千鎰, 1537~1593)의 정렬사비(旌烈祠碑)는 계곡(谿谷) 장유(張維)가 비문을 짓고, 시서(市西) 김선(金璇, 1568~1642)과 송도공이 비석을 세웠는데, 송도공의 묘갈에 대해 시서댁에서 시비가 있었다고 하였다. 시서 후손에 유력한 사람이 있으면 합향 문제를 의논해 보라고 하고, 시서도 합향하는 것이 어떤지 물었으며, 나학곤(羅學坤) 씨와 합력할 것을 권하였다. 자금(資金)은 발의가 된 후에 마련하고, 뜻이 있는 나주의 사림(士林)도 찾아서 공의(公議)로 발기(發起)하자고 하였다. 그리고 광주향교에 소장된 유안(儒案)을 베껴서 보내줄 것을 부탁하였다.
    나해륜(羅海崙, 1583~1659)은 본관이 나주(羅州)이고, 자는 응숙(應淑), 호는 송도(松島)이다. 아버지는 나덕겸(羅德謙)이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때 부모를 모시고 덕룡산(德龍山)으로 피난하였고,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유생들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원문텍스트
    [미상]
    記憶을 더듬어 보건대
    健齋公 旌烈祠碑는 谿谷撰文, 立碑는
    市西, 松島 두 분이 하셨는데 碑文에 照昭
    하니 또 松島公墓碣로 碑後에 市西宅에서 若干是
    非을 했드래요. 1) 市西가 松島公보다 훨신 年長
    이요. 擧義文에 居首요.
    2) 市西가 松島公의 妻伯父인데 더〔너〕무 踈홀이
    對했다고.
    市西後裔에 有力한 분이 있으면
    가) 旌烈祠에 松島公配〔合〕享하는 事을 議論해
    보시는데 何如며
    나) 市西■도 合享함이 如何오.(吾不願)
    天老公配位가 健齋公의 孫婿가 되지요.
    學坤(翰圭)氏가 天老後파지요. 學坤氏
    와 合力하여 봄이 如何
    甲子倡義錄에는 擧義通文에 列名된 분이
    市西, 吾羅는 松島, 石澗, 石壕, 石磵子俊
    判官宅 德昌인데
    石壕公은 谿磵祠에 合配되어 있슴직 한데

    于先 宗氏가 市西宅, 學坤氏, 旌烈祠 有司하고
    相議하사 發議가 된 後에 □□資金을 마련
    합시다. 見物生心이라. 羅州士林有志도 차저서
    公議로 發起합시다
    一臂之役은 하오리다
    光州鄕校 藏 儒案(鄙先祖 天祜 着名文書)
    抄를 보내 주소서(되도록 全文을)
    10/8朝 益從

    羅州 南山 旌烈祠 碑閣 外 階上에
    追配事實記 立碑하면 尤有光이라
    이 ■■(件은) 合享先事는 鹿岩宅에서 해 냅시다
    立碑件은 松島派가 合力해서 成就
    합시다.

    (皮封_前面)
    光州市 東區 東明二洞 207-60
    羅琪洙 貴下

    (皮封_背面)
    서울市 城北區 貞陵四洞 260-94
    羅益榮